Development of Natural Purification Technology Considering Material Cycle in River Reaches

H. Lim, Jae-Roh Park
{"title":"Development of Natural Purification Technology Considering Material Cycle in River Reaches","authors":"H. Lim, Jae-Roh Park","doi":"10.17820/ERI.2016.3.4.213","DOIUrl":null,"url":null,"abstract":"*Corresponding author: jrpark@kict.re.kr, ORCID0000-0002-6854-3074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수질오염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인간의 활동에 의 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지표수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의 저해를 초래하고 수자원 이용이나 생태계를 파괴 하는 현상’이라고 서술되어 있다. 자연상태의 오염되지 않 은 하천은 하천 본래의 자정작용에 의한 수질정화능력을 보유하지만,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등 오염물질의 유입이 증가되면 하천은 점차 자정능력을 상실하기 시작하고 오염된 하천으로 전락하여 결국 하천의 생태계 마저 위협받게 된다. 하천의 수질개선 및 생태복원을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G-7 환경기술개발사 업의 일환으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국내 여건에 맞 는 자연형 하천공법의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MOE 2002),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03 년부터 2007년까지 하천 생태기능 복원을 위한 핵심기술, 하천의 어도를 비롯한 생태통로 조성기술, 습지조성기술 개발, 습지 생태계 훼손지역 복원 및 관리기술 등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였다 (MOE 2004).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는 건설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 일환으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자연식생을 이용한 하천 및 하수정화기술 실 용화’ 과제를 수행하였고 (MCT 2003), Eco-River21 연 구단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하천과 관련된 종합적 인 연구개발을 추진하였으나 하천과 수변공간을 연계한 수질정화 관련 기술개발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Eco-River21 연구단에서 부족했던 수질정화 관련 연 구 및 기술개발을 위하여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물관리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그린리버 연구단에서 ‘자연과 인간 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술개발’ 과제를 수행 중에 있 다 (MLIT 2015). 본 특집호에 소개될 논문은 그린리버 연 구단 과제의 제 3세부 과제인 ‘하천구역 내 물질순환을 고 려한 자연정화기술개발’ 과제에서 수행 중인 기술을 논문 으로 수록하였다. ‘하천구역내 물질순환을 고려한 자연정 화기술개발’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 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첫째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 단 융복합기술 개발’, 둘째 ‘자연적/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하도내 수질정화 기술 개발’, 셋째 ‘그린에너지를 활용한 정체수역 수질개선 융복합기술 개발’ 과제이다. 상기 과제 의 주요 목표는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비점오염원과 오염 된 하천수를 정화하고, 하천공간 및 저수로에 친환경 소재 를 활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건천화를 예방하는데 있다. 또한, 하천 및 호소의 정체수역에서 융복합 자연정화기법","PeriodicalId":415343,"journal":{"nam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820/ERI.2016.3.4.21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Corresponding author: jrpark@kict.re.kr, ORCID0000-0002-6854-3074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수질오염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인간의 활동에 의 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지표수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의 저해를 초래하고 수자원 이용이나 생태계를 파괴 하는 현상’이라고 서술되어 있다. 자연상태의 오염되지 않 은 하천은 하천 본래의 자정작용에 의한 수질정화능력을 보유하지만,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등 오염물질의 유입이 증가되면 하천은 점차 자정능력을 상실하기 시작하고 오염된 하천으로 전락하여 결국 하천의 생태계 마저 위협받게 된다. 하천의 수질개선 및 생태복원을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G-7 환경기술개발사 업의 일환으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국내 여건에 맞 는 자연형 하천공법의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MOE 2002),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03 년부터 2007년까지 하천 생태기능 복원을 위한 핵심기술, 하천의 어도를 비롯한 생태통로 조성기술, 습지조성기술 개발, 습지 생태계 훼손지역 복원 및 관리기술 등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였다 (MOE 2004).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는 건설핵심기술 연구개발사업 일환으로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자연식생을 이용한 하천 및 하수정화기술 실 용화’ 과제를 수행하였고 (MCT 2003), Eco-River21 연 구단에서 2006년부터 2011년까지 하천과 관련된 종합적 인 연구개발을 추진하였으나 하천과 수변공간을 연계한 수질정화 관련 기술개발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Eco-River21 연구단에서 부족했던 수질정화 관련 연 구 및 기술개발을 위하여 2012년부터 2018년까지 물관리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그린리버 연구단에서 ‘자연과 인간 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술개발’ 과제를 수행 중에 있 다 (MLIT 2015). 본 특집호에 소개될 논문은 그린리버 연 구단 과제의 제 3세부 과제인 ‘하천구역 내 물질순환을 고 려한 자연정화기술개발’ 과제에서 수행 중인 기술을 논문 으로 수록하였다. ‘하천구역내 물질순환을 고려한 자연정 화기술개발’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 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첫째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 단 융복합기술 개발’, 둘째 ‘자연적/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하도내 수질정화 기술 개발’, 셋째 ‘그린에너지를 활용한 정체수역 수질개선 융복합기술 개발’ 과제이다. 상기 과제 의 주요 목표는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비점오염원과 오염 된 하천수를 정화하고, 하천공간 및 저수로에 친환경 소재 를 활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건천화를 예방하는데 있다. 또한, 하천 및 호소의 정체수역에서 융복합 자연정화기법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考虑河段物质循环的自然净化技术的发展
*Corresponding author: jrpark@kict.re.kr, ORCID0000-0002-6854-3074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all rights reserved。this is an open -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reativecommons attribution non - commercial license (http: / /听说过。org / licenses / by - nc / 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从水质污染的词典意义来看,“人类活动产生的污染物质流入地表水或地下水,导致水质受到阻碍,水资源利用和生态系统遭到破坏的现象”。自然状态不被污染的河流,河流本来拥有的自净作用的水处理能力,但应当按照城镇化和产业化进行农村面源及面源等污染物流入增加,河流就开始逐步丧失能力和被污染的河流,最终沦落为河流的生态系统也将受到威胁。河流的水质改善及生态修复为环境部为g - 7环境技术开发工作的一部分,在1997年至2002年“国内符合条件的自然型河流完成工艺的开发”课题;(moe, 2002)、下一代核心技术开发事业的一环,2003年至2007年恢复河流生态功能的核心技术,即使河流在内的营造生态通道技术,完成了湿地建造技术开发、湿地生态破坏地区复原及管理技术等相关课题(MOE 2004)。另外,国土交通部作为建设核心技术研究开发事业的一环,从2000年到2003年完成了“利用自然植被的河川及下水道净化技术的实用化”课题(MCT 2003);2006年至2011年,Eco-River21研究院进行了河流相关的综合研究开发,但未能进行连接河流和水边空间的水质净化技术开发。为了开发Eco-River21研究团所缺乏的水质净化相关研究及技术开发,作为2012年至2018年水管理研究事业的一环,绿色河流研究团正在执行“开发自然与人类共存的生态河流技术开发”课题(MLIT 2015)。本特辑中将介绍的论文收录了green river联盟球队课题的第三个细节课题“试图改善河川区域内物质循环的自然净化技术开发”课题中正在执行的技术。在“考虑河川区域内物质循环的自然净化技术开发”课题中,正在执行以下三个课题。第一,“利用水边空间开发污染负荷低减及次段融合技术”;第二,“开发利用自然/环保材料的河道内水质净化技术”;第三,“开发利用绿色能源的停滞水域水质改善融合技术”。上述课题的主要目标是,利用水边空间净化沸点污染源和被污染的河流,在河川空间及水库利用环保材料,改善水质,预防干天化。以及在河流及湖泊的静止水域融合复合自然净化技术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Calculation (Comput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Swimming Fish Species Living in Miho Stream in Geum River Water System Development of Surface Velocity Measurement Technique without Reference Points Using UAV Image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CO2 Efflux from the Forest Soil Surface by Multi-Channel Automated Chamber Systems Changes i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tream Habitats wit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River-Crossing Structures in the Geum-gang River, South Kore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ontinuous Erosion Control Dam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