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emonics for Key Phenomenology of Hyperkinetic Disorders

Woong-Woo Lee
{"title":"Mnemonics for Key Phenomenology of Hyperkinetic Disorders","authors":"Woong-Woo Lee","doi":"10.17340/jkna.2023.3.17","DOIUrl":null,"url":null,"abstract":"Received May 22, 2023 Revised June 13, 2023 Accepted June 13, 2023 이상운동 질환의 현상학(phenomenology)은 운동과다(hyperkinesia)와 운동 과소(hypokinesia)를 나누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운동과소의 대표적인 것은 운 동완만(bradykinesia)으로, 이는 파킨슨증(Parkinsonism)의 핵심 증상이기도 하다. 운동과다는 운동과소보다 더 많은 표현형이 있어 모두 기억하기는 쉽지 않게 느껴진다. 하지만 대표적인 다섯 개의 표현형을 기억한다면 거의 대부분의 운동과 다 증상을 설명할 수 있다. 운동과다의 대표적인 표현형인 근긴장이상증(dystonia), 무도증(chorea), 실조 증(ataxia), 근간대경련(myoclonus), 떨림(tremor)의 앞 글자만 따면 “Dys-ChoAt-My-Trem”이라는 말로 축약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을 보면 “이상하게 열차에서 춤추고 있는 장면”, 즉 “디스-코-앳-마이-트렘”이므로 이상운동 질환 중에 운동과다 의 대표적인 현상학을 기억하기 위해 활용되기 좋다(Fig.). 물론 각각의 정의는 익숙 해지도록 숙지해야 한다.","PeriodicalId":43708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volume":"5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40/jkna.2023.3.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Received May 22, 2023 Revised June 13, 2023 Accepted June 13, 2023 이상운동 질환의 현상학(phenomenology)은 운동과다(hyperkinesia)와 운동 과소(hypokinesia)를 나누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운동과소의 대표적인 것은 운 동완만(bradykinesia)으로, 이는 파킨슨증(Parkinsonism)의 핵심 증상이기도 하다. 운동과다는 운동과소보다 더 많은 표현형이 있어 모두 기억하기는 쉽지 않게 느껴진다. 하지만 대표적인 다섯 개의 표현형을 기억한다면 거의 대부분의 운동과 다 증상을 설명할 수 있다. 운동과다의 대표적인 표현형인 근긴장이상증(dystonia), 무도증(chorea), 실조 증(ataxia), 근간대경련(myoclonus), 떨림(tremor)의 앞 글자만 따면 “Dys-ChoAt-My-Trem”이라는 말로 축약할 수 있다. 다음 그림을 보면 “이상하게 열차에서 춤추고 있는 장면”, 즉 “디스-코-앳-마이-트렘”이므로 이상운동 질환 중에 운동과다 의 대표적인 현상학을 기억하기 위해 활용되기 좋다(Fig.). 물론 각각의 정의는 익숙 해지도록 숙지해야 한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多动障碍关键现象学助记法
Received May 22、2023 Revised June 13、2023 Accepted June 13、2023以上运动疾病的现态学(phenomenology)从区分运动过多(hyperkinesia)和运动过少(hypokinesia)开始。运动过少的代表性症状是运动完万(bradykinesia),这也是帕金森症(Parkinsonism)的核心症状。运动过多比运动过少有更多的表现型,所以很难全部记住。但是如果记住5个代表性的表现型,几乎可以说明大部分的运动和多症状。只要取运动过多的代表性表现型肌紧张异常症(dystonia)、无道症(chorea)、失调症(ataxia)、肌大痉挛(myoclonus)、抖动(tremor)的前一个字,就可以用“Dys-ChoAt-My-Trem”来简称。在下面的图片中,“奇怪地在列车上跳舞的场面”,即“disco - at - my - trem”,很好地用于记住异常运动疾病中运动过多的代表性现象学(Fig.)。当然,每个定义都要熟悉。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Comparative Analysis on Methylation Levels of Nerve and Stress Related Genes in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Patients Easy Tip for History Taking in Epileptic Seizures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in Ethical Approach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Neurogenic Orthostatic Hypotension According to the Pattern of Orthostatic Blood Pressure Drop in Patients with Orthostatic Intolerance Vogt-Koyanagi-Harada Disease Presented with Bilateral Optic Disc Edema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