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Unusual Asphyxia: Two Autopsy Cases Report","authors":"Y. Na, J. Park","doi":"10.7580/kjlm.2020.44.3.123","DOIUrl":null,"url":null,"abstract":"질식사(asphyxia)는 2017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 통계 에 따르면 외인사 중 세 번째로 빈번하게 일어날 정도로 흔한 사인 중 하나이다. 질식사의 주된 기전은 경부압박질식사(목 졸림질식사, asphyxia due to neck compression)이고, 비 구폐색성 질식사, 기도폐쇄성 질식사가 그 뒤를 이었으며, 경 부압박질식사는 의사, 교사, 액사 순이었다. 한편, 전체 질식 사에 대한 사망의 종류는 자살이 가장 흔하였으며, 사고사, 타살 순으로 많았다[1]. 저자들은 최근 넥타이와 밀가루를 이용하여 자살한 질식 사 사례와 안마기에 의한 사고성 질식사 사례 등 특이한 부검 례를 경험하였다. 이 사례들은 국내에 보고된 바가 없는 매우 독특하고 드문 형태의 질식사 사례들로서 문헌 고찰과 함께 이 를 보고하고자 하며, 법의학 감정에 있어서 사인과 사망의 종 류를 판단하는 데 변사 현장의 중요성을 함께 논하고자 한다.","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20.44.3.1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질식사(asphyxia)는 2017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검 통계 에 따르면 외인사 중 세 번째로 빈번하게 일어날 정도로 흔한 사인 중 하나이다. 질식사의 주된 기전은 경부압박질식사(목 졸림질식사, asphyxia due to neck compression)이고, 비 구폐색성 질식사, 기도폐쇄성 질식사가 그 뒤를 이었으며, 경 부압박질식사는 의사, 교사, 액사 순이었다. 한편, 전체 질식 사에 대한 사망의 종류는 자살이 가장 흔하였으며, 사고사, 타살 순으로 많았다[1]. 저자들은 최근 넥타이와 밀가루를 이용하여 자살한 질식 사 사례와 안마기에 의한 사고성 질식사 사례 등 특이한 부검 례를 경험하였다. 이 사례들은 국내에 보고된 바가 없는 매우 독특하고 드문 형태의 질식사 사례들로서 문헌 고찰과 함께 이 를 보고하고자 하며, 법의학 감정에 있어서 사인과 사망의 종 류를 판단하는 데 변사 현장의 중요성을 함께 논하고자 한다.
窒息死亡(asphyxia)是2017年国立科学调查研究院尸检统计中第三频繁发生的常见死因。窒息死亡的主要原因是颈部压迫窒息死亡(asphyxia due to neck compression),其次是鼻口闭塞性窒息死亡和呼吸道闭塞性窒息死亡,轻度压迫窒息死亡的顺序是医生、教师、额死。另一方面,全体窒息死亡的死亡种类中自杀最常见,事故死亡,他杀的顺序最多[1]。作者最近经历了利用领带和面粉自杀的窒息死亡事例和按摩器导致的事故性窒息死亡事例等特殊的尸检事例。这些事例是国内没有报告过的非常独特而罕见的窒息死亡的事例,在进行文献考察的同时报告这些事例,同时讨论在法医学鉴定中判断死因和死亡种类时,死亡现场的重要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