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ies on Social Minorities and Human Rights Discourse : Focusing on Migrant Workers and Sexual Minorities

Sookyung Kim
{"title":"Policies on Social Minorities and Human Rights Discourse : Focusing on Migrant Workers and Sexual Minorities","authors":"Sookyung Kim","doi":"10.22417/DPSS.2019.04.12.1.85","DOIUrl":null,"url":null,"abstract":"소수자 관련 사안에 있어 인권은 권익옹호 담론을 구성하는 거대한 축이다. 인권은 어떤 경우에도 양보할 수 없는 보편타당한 절대적 진리로 인식되기 때문에 소수자 권익을 인권의 문제로 환원시킬 경우 대중에게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인권 담론을 전면에 내세워 권익향상을 도모하는 대표적 소수자 집단으로는 이주노동자와 성소수자를 들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인권을 중요한 어젠다로 설정하고 소수자 권익의 법제화를 추진해왔다.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고용허가제)과 포괄적 차별금지법(이하 차별금지법)이 그 예다. 이주노동자 진영은 인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고 착취적인 산업연수생제 폐지를 요구한 결과 2004년 고용허가제가 도입되었다. 반면 성소수자 운동은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 차별을 금하는 차별금지법 제정 시도가 여러 차례 무산되었다. 두 운동 진영 모두 인권을 전면에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개혁에 있어 상이한 결과를 가져온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은 두 운동진영의 인권담론이 펼쳐진 사회적 배경과 소수자 인권 문제를 둘러싼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 등을 분석함으로써 소수자 인권담론이 서로 다른 정책 결과로 이어진 이유와 배경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PeriodicalId":318794,"journal":{"name":"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417/DPSS.2019.04.12.1.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소수자 관련 사안에 있어 인권은 권익옹호 담론을 구성하는 거대한 축이다. 인권은 어떤 경우에도 양보할 수 없는 보편타당한 절대적 진리로 인식되기 때문에 소수자 권익을 인권의 문제로 환원시킬 경우 대중에게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인권 담론을 전면에 내세워 권익향상을 도모하는 대표적 소수자 집단으로는 이주노동자와 성소수자를 들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인권을 중요한 어젠다로 설정하고 소수자 권익의 법제화를 추진해왔다.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고용허가제)과 포괄적 차별금지법(이하 차별금지법)이 그 예다. 이주노동자 진영은 인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고 착취적인 산업연수생제 폐지를 요구한 결과 2004년 고용허가제가 도입되었다. 반면 성소수자 운동은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 차별을 금하는 차별금지법 제정 시도가 여러 차례 무산되었다. 두 운동 진영 모두 인권을 전면에 내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개혁에 있어 상이한 결과를 가져온 이유는 무엇일까. 본 논문은 두 운동진영의 인권담론이 펼쳐진 사회적 배경과 소수자 인권 문제를 둘러싼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 등을 분석함으로써 소수자 인권담론이 서로 다른 정책 결과로 이어진 이유와 배경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社会少数群体政策与人权话语:以农民工和性少数群体为中心
在少数人相关事件上,人权是构成权益拥护论的巨大轴心。人权被认为是在任何情况下都不能让步的普遍、妥当的绝对真理,因此,如果将少数权益还原为人权问题,将对大众具有强大的说服力。把人权问题摆在首位,谋求提高权益的代表性少数集团有移居劳动者和性少数者。两个集团都将人权设定为重要议题,推进少数权益的法制化。例如,《有关雇用外国劳动者的法律》(以下简称雇用许可制)和《全面禁止歧视法》(以下简称禁止歧视法)。移民劳动者阵营提出人权侵害问题,要求废除剥削性产业研修生制,结果在2004年引进了雇用许可制。与此相反,尽管性少数者运动做出了很多努力,但制定禁止性少数者歧视的禁止歧视法的尝试多次流产。虽然两个运动阵营都把人权放在首位,但在制度改革上却出现不同结果的原因是什么?本论文的目的在于,通过分析两个运动阵营展开人权讨论的社会背景和围绕少数人人权问题的行为者之间的相互作用等,探索少数人人权讨论导致不同政策结果的原因和背景。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eelings of young generation in Korea, represented by media o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region of origin : Focused on the employment process of local youth and provincial college students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Use of “Individualized Support Service for Older Adults” Users : Applying the Andersen & Newman Model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at Out-of-School Youth Support Centers The Contribution of Hippocampal Research to the Debate between Behaviorism and Cognitivism Analysis of the rise of online news and changes in press dependence on press releases : Focusing on the consistency of sentences between Samsung Electronics" press releases and major newspaper articles between 2004 and 2019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