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Narrative Inquiry on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authors":"K. Kang","doi":"10.14697/JKASE.2016.36.2.0221","DOIUrl":null,"url":null,"abstract":"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고 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이 주목받고 있다 . 또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교사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다 . 교사의 교수 능력과 관련해 Shulman(1987)은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적 지식을 통합한 형태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강조하였다. 또한 Schőn(1983, 1987)은 반성을 통한 활동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반성적 과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또한 Feiman(1980)은 교사교육이 교사의 비판적 반성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 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들 (Richert, 1990; Valli, 1993; Zeichner, 1983)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Zeichner & Liston(1987) 은 이제까지의 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성장을 방해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충분히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관련하여 포트폴리오 활용은 학습자의 특성을 발견하고 학습활동이나 성장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역할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 포트폴리오는 흔히 주어진 영역에서 학습자의 관심, 능력, 진도, 성취를 파악할 수 있는 의도적 자료모음집으로 정의되고 있다(Winsor & Ellefson, 1996). 특히 학습 성과물 모음집이라고 볼 수 있는 학습 포트폴리오는 학습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시험 준비자료로서도 기능하고 학업의 전체 과정을 성찰하게 한다(Park & Bae, 2008). 또한 학습 포트폴리오는 개인의 학습 과정과 학습 성과를 연결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Takona & Wilburn, 2004). 학습 포트폴리오는 학습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비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포트폴리오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하는 등의 활동들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지닌다 . 특히 포트폴리오 적용의 장점으로 학습자의 학습목표 설정을 격려하고, 학습 흥미와 자신감을 높이는 점 등이 있다 (Cho, 2001: Stone, 1998). 특히 포트폴리오는 학습자의 내적 사고를 촉진하고 자기평가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roll","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6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2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고 그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이 주목받고 있다 . 또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교사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다 . 교사의 교수 능력과 관련해 Shulman(1987)은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적 지식을 통합한 형태의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강조하였다. 또한 Schőn(1983, 1987)은 반성을 통한 활동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반성적 과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또한 Feiman(1980)은 교사교육이 교사의 비판적 반성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 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들 (Richert, 1990; Valli, 1993; Zeichner, 1983)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Zeichner & Liston(1987) 은 이제까지의 교사교육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성장을 방해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충분히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관련하여 포트폴리오 활용은 학습자의 특성을 발견하고 학습활동이나 성장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역할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 포트폴리오는 흔히 주어진 영역에서 학습자의 관심, 능력, 진도, 성취를 파악할 수 있는 의도적 자료모음집으로 정의되고 있다(Winsor & Ellefson, 1996). 특히 학습 성과물 모음집이라고 볼 수 있는 학습 포트폴리오는 학습의 발달 과정을 한 눈에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시험 준비자료로서도 기능하고 학업의 전체 과정을 성찰하게 한다(Park & Bae, 2008). 또한 학습 포트폴리오는 개인의 학습 과정과 학습 성과를 연결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Takona & Wilburn, 2004). 학습 포트폴리오는 학습 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예비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포트폴리오 작성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하는 등의 활동들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지닌다 . 특히 포트폴리오 적용의 장점으로 학습자의 학습목표 설정을 격려하고, 학습 흥미와 자신감을 높이는 점 등이 있다 (Cho, 2001: Stone, 1998). 특히 포트폴리오는 학습자의 내적 사고를 촉진하고 자기평가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rro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