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 Yeong Kim, H. Shin, Do Kyung Lee, Dong Hun Kim, Jun Lee, Kuk Ju Kim, Sun Kwon Kim
{"title":"A Case of Unusual Suicide due to Overlapping Inhalation of Nitrous Oxide and Carbon Monoxide","authors":"Jin Yeong Kim, H. Shin, Do Kyung Lee, Dong Hun Kim, Jun Lee, Kuk Ju Kim, Sun Kwon Kim","doi":"10.7580/kjlm.2020.44.4.173","DOIUrl":null,"url":null,"abstract":"아산화질소(nitrous oxide, N2O)는 우리에게 ‘웃음가스’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의료용 마취보조제, 공업용 반도체 세정 제, 휘핑크림 제조 시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이다. 환경부는 2017년 7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령’을 개정 해 아산화질소를 환각물질로 지정, 아산화질소를 흡입하거나 이런 목적으로 소지·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하지만 ‘휘 핑가스 해피벌룬’으로 집·호텔 등에서 소란을 피우며 환각파 티를 벌이고, 노래방에서 분무기를 이용해 휘핑가스를 흡입 하는 등 아산화질소를 환각목적으로 구매해 흡입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면서 2019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아산화질 소를 온라인에서 구매해 환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막고 자 휘핑크림 제조용 소형용기 아산화질소 제품의 제조·수입· 유통을 전면금지하고, 아산화질소는 2.5 L 이상의 고압금속 제 용기에만 충전하도록 하는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 개 정안을 만든 후 1년여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2020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아산화질소는 반복 흡입 시 저산소혈증을 유 Korean J Leg Med 2020;44:173-177 https://doi.org/10.7580/kjlm.2020.44.4.173","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20.44.4.17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아산화질소(nitrous oxide, N2O)는 우리에게 ‘웃음가스’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의료용 마취보조제, 공업용 반도체 세정 제, 휘핑크림 제조 시 식품첨가물 등으로 사용되는 화학물질 이다. 환경부는 2017년 7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령’을 개정 해 아산화질소를 환각물질로 지정, 아산화질소를 흡입하거나 이런 목적으로 소지·판매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하지만 ‘휘 핑가스 해피벌룬’으로 집·호텔 등에서 소란을 피우며 환각파 티를 벌이고, 노래방에서 분무기를 이용해 휘핑가스를 흡입 하는 등 아산화질소를 환각목적으로 구매해 흡입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면서 2019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아산화질 소를 온라인에서 구매해 환각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막고 자 휘핑크림 제조용 소형용기 아산화질소 제품의 제조·수입· 유통을 전면금지하고, 아산화질소는 2.5 L 이상의 고압금속 제 용기에만 충전하도록 하는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 개 정안을 만든 후 1년여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2020년 3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아산화질소는 반복 흡입 시 저산소혈증을 유 Korean J Leg Med 2020;44:173-177 https://doi.org/10.7580/kjlm.2020.44.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