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평가 시대의 질투와 시기 그리고 '보통의 삶'의 가능성- 한국 드라마 연구

장정윤
{"title":"상대평가 시대의 질투와 시기 그리고 '보통의 삶'의 가능성- 한국 드라마 연구","authors":"장정윤","doi":"10.18856/JPN.2017.23.2.01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상대평가에 의해 뽑히거나 아니면 뽑히지 않는 극한의 경쟁 체제 속에서 청년들이 느끼는 질투와 시기 감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질투와 시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면 이 감정을 통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웹툰 을 각색하여 2016년에 TV 드라마로 방영된 을 분석한다. 이 드라마는 캠퍼스 로맨스를 표방하지만, 그 이면에는 상대 평가로 끊임없이 경쟁하고 질투와 시기심을 느끼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김상철, 유정, 홍설이 느끼는 시기와 질투 감정은 두 가지 감정 양상을 보여준다. 우선, 김상철이 느끼는 시기심은 자신보다 우월한 것을 뛰어넘어보도록 자극하는 감정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낙담하게 만드는 감정이다. 김상철이 느끼는 시기심은 상대평가 체제 속에서 ‘보통의 삶’을 꿈꾸기조차 힘들어진 냉혹한 현실을 드러낸다. 한편, 경제적 배경이 너무 다른 유정과 홍설은 서로를 통해 시기와 질투 감정을 느끼고, 또한 주위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게 되면서 점차 자기 자신과 타인이 처한 상황을 알아가게 된다. 이 논문은 시기와 질투 감정이 경쟁에만 매달리게 만드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대표 감정으로 규정하고 이 감정이 개인들에게 허세, 낙담, 분노, 무감각으로 나타나는 상황을 분석하려고 한다.","PeriodicalId":423882,"journal":{"name":"Journal of Popular Narrative","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Popular Narrativ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856/JPN.2017.23.2.0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이 논문은 상대평가에 의해 뽑히거나 아니면 뽑히지 않는 극한의 경쟁 체제 속에서 청년들이 느끼는 질투와 시기 감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질투와 시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면 이 감정을 통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웹툰 을 각색하여 2016년에 TV 드라마로 방영된 을 분석한다. 이 드라마는 캠퍼스 로맨스를 표방하지만, 그 이면에는 상대 평가로 끊임없이 경쟁하고 질투와 시기심을 느끼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김상철, 유정, 홍설이 느끼는 시기와 질투 감정은 두 가지 감정 양상을 보여준다. 우선, 김상철이 느끼는 시기심은 자신보다 우월한 것을 뛰어넘어보도록 자극하는 감정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낙담하게 만드는 감정이다. 김상철이 느끼는 시기심은 상대평가 체제 속에서 ‘보통의 삶’을 꿈꾸기조차 힘들어진 냉혹한 현실을 드러낸다. 한편, 경제적 배경이 너무 다른 유정과 홍설은 서로를 통해 시기와 질투 감정을 느끼고, 또한 주위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게 되면서 점차 자기 자신과 타인이 처한 상황을 알아가게 된다. 이 논문은 시기와 질투 감정이 경쟁에만 매달리게 만드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대표 감정으로 규정하고 이 감정이 개인들에게 허세, 낙담, 분노, 무감각으로 나타나는 상황을 분석하려고 한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相对评价时代的嫉妒和猜疑以及《普通生活》的可能性——韩剧研究
这篇论文被相对,要么被拔不出来的极限的竞争体制中,青年们感受到的嫉妒和时间观察我们感情的特征,如果不能摆脱嫉妒和时机,通过感情能适应社会的有目的的办法。为此,这篇论文将改编网络漫画,对2016年电视剧播出的情况进行分析。这部电视剧虽然标榜校园罗曼史,但是在其背后却出现了通过相对评价不断竞争,感到嫉妒和妒忌的多样的人物。金相哲、有贞、洪雪的时期和嫉妒感情表现出两种感情。首先,金相哲感受到的妒忌心不是刺激他超越自己优越的感情,而是在现实中让他失望的感情。金相哲感受到的妒忌心暴露出了在相对评价体制下,连梦想“普通生活”都变得艰难的冷酷现实。另一方面,经济背景太不一样的刘正和洪雪通过彼此产生妒忌和嫉妒的感情,并且随着理解周围人的感情,逐渐了解自己和他人所处的状况。该论文将嫉妒和嫉妒感情规定为在只执着于竞争的现代韩国社会中不可避免的代表感情,并试图分析这种感情在个人身上表现为虚张声势、失望、愤怒、麻木的状况。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Infection and Mutation—On the H. P. Lovecraft’s fiction and “Project LC. RC” A Study on the ‘Zombie Narrative’ in Modern Korean Novels Group storytelling with multi-storyteller in single person media game contents on Youtube—focused on viewer-participating contents in channel Imagination of Infection in SF and Zombie Narratives Japanese Settlers’ Film Culture in Keijo(京城) as seen through Film ephemera printed in the 1920s and 1930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