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Pyung-Gang Jung, Gahee Jung, Gayeong Kim, Jung Hun Kim
{"title":"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authors":"Pyung-Gang Jung, Gahee Jung, Gayeong Kim, Jung Hun Kim","doi":"10.15753/aje.2023.9.24.3.44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13명과 기관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시작, 내가 경험한 프로그램의 특징,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 프로그램의 보완점, 새로운 발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5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14개 주제모음과 3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에는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해 의심과 기대가 공존하였으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점차 효과성에 만족하고, 아동과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하는 등의 인식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에게 실행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적인 제안을 논의하였다.","PeriodicalId":36650,"journ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3/aje.2023.9.24.3.44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2","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13명과 기관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시작, 내가 경험한 프로그램의 특징,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 프로그램의 보완점, 새로운 발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5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14개 주제모음과 3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에는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해 의심과 기대가 공존하였으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점차 효과성에 만족하고, 아동과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하는 등의 인식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에게 실행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적인 제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