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Film sounds connoting various auditive objects - Focusing on The Age of Shadows","authors":"Eun-hye Kim, Won-Duck Lee","doi":"10.19119/cf.2017.08.27.289","DOIUrl":null,"url":null,"abstract":"영화 속 사운드는 영상의 리얼리티를 돕기도 하고 감정을 증폭시킨다. 또한, 청각적 표현으로 인해 영상의 움직임은 가속화 되고 심도 깊은 표현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영상과 사운드는 수직적, 수평적인 관계를 속에서 상호작용을 한다. 영화 속에는 다양한 종류의 사운드와 음악이 쓰이는데 그 범위는 생각보다 넓다. 리얼 사운드, 20세기 음악에서 시도된 여러 가지 사조를 포함한 난해한 소리에서 부터 비선율적인 음악, 소음, 타악기적인 소리 등, 다양한 소리의 객체(sound object)들은 영화 사운드 표현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소음이나 그 동안 흔히 사용되지 않았던 소리들이 소리의 객체로 등장한 것은 구체음악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구체음악의 등장은 음 소재의 확장에 있어서 일대 변혁을 가져오게 되었고, 다양한 음 소재의 사용으로 영화 속 음악과 음향의 경계는 불확실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청각적 표현들은 영화의 내러티브를 더 섬세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영화 〈밀정〉은 일제하 암울하고 불안정한 시대의 이야기이다. 등장인물간의 갈등과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 불확실한 시대적 배경을 영화의 사운드 역시 불분명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다. 타악기적인 음색의 지속적인 사용, 불협화음의 등장, 비 선율적인 음악의 사용으로 인해, 음악인지 음향인지 혹은 엠비언스 인지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불확실한 시대상이 서사에 표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영화의 모티브는 사운드 연출에 적용되었다.","PeriodicalId":10322,"journal":{"name":"Cineforum","volume":"27 1","pages":"289-310"},"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7-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ine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119/cf.2017.08.27.289","RegionNum":4,"RegionCategory":"艺术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FILM, RADIO, TELEVISION","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영화 속 사운드는 영상의 리얼리티를 돕기도 하고 감정을 증폭시킨다. 또한, 청각적 표현으로 인해 영상의 움직임은 가속화 되고 심도 깊은 표현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영상과 사운드는 수직적, 수평적인 관계를 속에서 상호작용을 한다. 영화 속에는 다양한 종류의 사운드와 음악이 쓰이는데 그 범위는 생각보다 넓다. 리얼 사운드, 20세기 음악에서 시도된 여러 가지 사조를 포함한 난해한 소리에서 부터 비선율적인 음악, 소음, 타악기적인 소리 등, 다양한 소리의 객체(sound object)들은 영화 사운드 표현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소음이나 그 동안 흔히 사용되지 않았던 소리들이 소리의 객체로 등장한 것은 구체음악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구체음악의 등장은 음 소재의 확장에 있어서 일대 변혁을 가져오게 되었고, 다양한 음 소재의 사용으로 영화 속 음악과 음향의 경계는 불확실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청각적 표현들은 영화의 내러티브를 더 섬세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영화 〈밀정〉은 일제하 암울하고 불안정한 시대의 이야기이다. 등장인물간의 갈등과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 불확실한 시대적 배경을 영화의 사운드 역시 불분명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다. 타악기적인 음색의 지속적인 사용, 불협화음의 등장, 비 선율적인 음악의 사용으로 인해, 음악인지 음향인지 혹은 엠비언스 인지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불확실한 시대상이 서사에 표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영화의 모티브는 사운드 연출에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