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Study of the Optical System Design of a Reflective LED Stand to Reduce Glare","authors":"Michael Kong, M. Jung","doi":"10.3807/KJOP.2020.31.6.334","DOIUrl":null,"url":null,"abstract":"기존의 조명은 광원으로 백열등과 형광등을 사용하였지만 최근 효율, 수명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 는 LED로 광원이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LED는 작은 면 적에서 고휘도의 빛이 발산됨에 따라 천장등, 스탠드 조명과 같은 실내 조명으로 사용될 경우, 높은 휘도와 hot spot으로 인한 불균일한 휘도 분포로 인하여 눈부심을 발생시킨다. 이 러한 눈부심은 피로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활동에 방해를 주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조명의 광학계 설계가 이루어져 야 한다. 특히 LED 스탠드의 경우 사용자의 눈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며, 장시간 사용되기 때문에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기존 LED 스탠드의 경우, 추가적인 광 학계 없이 확산판이나 아크릴판 등을 사용하여 눈부심을 감 소시키려고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그림 1과 같이 LED의 노 출로 인해 hot spot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부심이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의 hot spot으로 인한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해 간접광을 형성하는 반사형 LED 스탠드 설 계를 진행하고, 기존 LED 스탠드 제품과의 휘도 비교 및 분 석을 통해 반사형 LED 스탠드의 눈부심을 평가하였다. 또 Study of the Optical System Design of a Reflective LED Stand to Reduce Glare","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1 1","pages":"334-343"},"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20-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7/KJOP.2020.31.6.33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OPTIC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기존의 조명은 광원으로 백열등과 형광등을 사용하였지만 최근 효율, 수명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 는 LED로 광원이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LED는 작은 면 적에서 고휘도의 빛이 발산됨에 따라 천장등, 스탠드 조명과 같은 실내 조명으로 사용될 경우, 높은 휘도와 hot spot으로 인한 불균일한 휘도 분포로 인하여 눈부심을 발생시킨다. 이 러한 눈부심은 피로감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활동에 방해를 주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조명의 광학계 설계가 이루어져 야 한다. 특히 LED 스탠드의 경우 사용자의 눈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며, 장시간 사용되기 때문에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기존 LED 스탠드의 경우, 추가적인 광 학계 없이 확산판이나 아크릴판 등을 사용하여 눈부심을 감 소시키려고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그림 1과 같이 LED의 노 출로 인해 hot spot이 발생하기 때문에 눈부심이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의 hot spot으로 인한 눈부심을 감소시키기 위해 간접광을 형성하는 반사형 LED 스탠드 설 계를 진행하고, 기존 LED 스탠드 제품과의 휘도 비교 및 분 석을 통해 반사형 LED 스탠드의 눈부심을 평가하였다. 또 Study of the Optical System Design of a Reflective LED Stand to Reduce Glare
现有的照明光源使用白炽灯和日光灯,但最近光源被在效率、寿命及环境方面具有优秀特性的LED所代替。但是LED在小的面面积上散发出高亮度的光,在室内使用时,会因较高的亮度和hot spot引起的不均匀的亮度分布而产生耀眼。这种耀眼不仅会让人感到疲劳,还会妨碍使用者的活动,因此应该考虑到这一点,对照明的光学设计进行设计。特别是LED台灯的位置接近使用者的眼睛,使用时间长,因此为了减少耀眼感的研究是必需的。对于现有的LED灯,在没有额外光学界的情况下,使用扩散板或丙烯酸板等来减少耀眼,但是在这种情况下,正如图1所示,LED的溢出会产生hot spot,因此不会消除耀眼。因此本论文为了减少LED的hot spot引起的耀眼,进行了间接光的反射型LED台灯设计,通过与现有LED台灯产品的亮度比较及分析,评价了反射型LED台灯的耀眼。a Reflective LED Stand to Reduce Gl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