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Settlement and Return to the Local Youth","authors":"Changok Um, Kwang Uk Roh, Sang Woo Park","doi":"10.31324/JRS.2018.09.26.3.259","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에서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은 지역경제활력과 잠재성장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방소멸’의 가장 중요한 원인 역시 지방 청년의 수도권 유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연구성과도 상당하게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최근 변화하고 있는 청년층의 이동과 직업선택의 특성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원인으로 경제적 요인만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 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청년의 유출과 유출청년의 지방 귀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청년의 지방 유출과 귀환의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관계적 요인과 주체적 요인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만족도가 청년의 정착과 귀환에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만족도는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방의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에 정착시키고 유출된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으로 귀환시키는 정책은 경제적 정책뿐만 아니라 지역문화의 혁신, 사회적 관계자본 형성 그리고 청년의 주체적 참여를 확장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PeriodicalId":43723,"journal":{"name":"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volume":"32 1","pages":""},"PeriodicalIF":0.5000,"publicationDate":"2018-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24/JRS.2018.09.26.3.25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한국에서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은 지역경제활력과 잠재성장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방소멸’의 가장 중요한 원인 역시 지방 청년의 수도권 유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연구성과도 상당하게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최근 변화하고 있는 청년층의 이동과 직업선택의 특성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원인으로 경제적 요인만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 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청년의 유출과 유출청년의 지방 귀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청년의 지방 유출과 귀환의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관계적 요인과 주체적 요인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만족도가 청년의 정착과 귀환에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만족도는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방의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에 정착시키고 유출된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으로 귀환시키는 정책은 경제적 정책뿐만 아니라 지역문화의 혁신, 사회적 관계자본 형성 그리고 청년의 주체적 참여를 확장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期刊介绍:
The 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is published by the Australia and New Zealand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International Inc. (ANZRSAI), which is a non-profit organisation dedicated to the promotion of efficient and effect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through research,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f ideas. Its interests cover a wide range of Australian and international regional issues with a major focus on the Asia-Pacific region. Its goal is to provide a platform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regional analysis. Submissions which fall within this general framework of regional analysis, policy, practice and development are welcome. The journal includes research notes and reviews of books, is a refereed journal published three times ye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