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Factors Affect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of the Elderly","authors":"KyooSang Kim, J. Lee, Junghwa Bahng","doi":"10.21848/ASR.200088","DOIUrl":null,"url":null,"abstract":"의학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수명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서 노 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3%를 차지함으로써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2018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14.3%에 이르러 고령사회가 되어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20%를 넘는 초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노인 인구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 폭하고 있다. 난청은 노인에게 있어서 3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문제이다. 노화에 따른 청력의 변화는 청년 집단에 비해 노인 집단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변화는 언어인지력의 차이로 나타난다(Dubno et al., 1997; Plomp & Mimpen, 1979). 노인의 언어인지에 대한 어려움은 청년과는 달리 그 정도가 크 고,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에도 영향을 미쳐 노인의 가족과의 관 계 및 사회적으로도 고립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노화로 인하여 말초청각뿐만 아니라 중추청각 처리 능력도 저하되기 때문에 언어인지와 관련된 여러 문제가 발생 한다(Humes, 1996; Pichora-Fuller & Singh, 2006). 노인의 어음역의 청력저하와 더불어 특징적인 고음역의 더 큰 청력손 실은 특히 불리한 청취 조건에서 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같은 실행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Rosemann & Thiel, 2020). 작업기억은 주어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과제를 수행 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Baddeley, 1986; Daneman & Carpenter, 1980; Montgomery, 1995)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이 깊 으며(Cleary et al., 2001; Pisoni, 2000; Pisoni & Cleary, 2003), 구체적으로 새로운 정보들을 이미 알고 있는 자신의 기억이나 청력 등을 통하여 장기기억으로 가기 전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되는 과정과 관련된 능력을 일컫는다(Geers et al., 2000). 작업 기억은 인간이 즉각적으로 환경을 이해하고, 심리적으로 표상하 도록 하며, 과거의 경험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게 한다. 또한 새로 운 지식 습득, 문제 해결, 목표 구성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Baddeley et al., 2001). 작업기억은 크게 시공간 스케치판(visuospatial sketchpad) 과 음운회로(phonological loop)의 두 체계가 있다. 음운회로는 청각적 정보를 유지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청감각 저장소 (auditory sensory store)로 작업기억을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역 Factors Affect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of the Elderly KyooSang Kim, Jae Hee Lee, Junghwa Bah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Medical Center, Seoul,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Seoul, Korea","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13 1","pages":"35-43"},"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8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의학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수명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서 노 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3%를 차지함으로써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2018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14.3%에 이르러 고령사회가 되어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20%를 넘는 초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노인 인구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 폭하고 있다. 난청은 노인에게 있어서 3번째로 많이 나타나는 문제이다. 노화에 따른 청력의 변화는 청년 집단에 비해 노인 집단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변화는 언어인지력의 차이로 나타난다(Dubno et al., 1997; Plomp & Mimpen, 1979). 노인의 언어인지에 대한 어려움은 청년과는 달리 그 정도가 크 고,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에도 영향을 미쳐 노인의 가족과의 관 계 및 사회적으로도 고립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노화로 인하여 말초청각뿐만 아니라 중추청각 처리 능력도 저하되기 때문에 언어인지와 관련된 여러 문제가 발생 한다(Humes, 1996; Pichora-Fuller & Singh, 2006). 노인의 어음역의 청력저하와 더불어 특징적인 고음역의 더 큰 청력손 실은 특히 불리한 청취 조건에서 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같은 실행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Rosemann & Thiel, 2020). 작업기억은 주어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과제를 수행 하기 위한 인지적 능력(Baddeley, 1986; Daneman & Carpenter, 1980; Montgomery, 1995)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이 깊 으며(Cleary et al., 2001; Pisoni, 2000; Pisoni & Cleary, 2003), 구체적으로 새로운 정보들을 이미 알고 있는 자신의 기억이나 청력 등을 통하여 장기기억으로 가기 전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되는 과정과 관련된 능력을 일컫는다(Geers et al., 2000). 작업 기억은 인간이 즉각적으로 환경을 이해하고, 심리적으로 표상하 도록 하며, 과거의 경험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게 한다. 또한 새로 운 지식 습득, 문제 해결, 목표 구성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Baddeley et al., 2001). 작업기억은 크게 시공간 스케치판(visuospatial sketchpad) 과 음운회로(phonological loop)의 두 체계가 있다. 음운회로는 청각적 정보를 유지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청감각 저장소 (auditory sensory store)로 작업기억을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역 Factors Affect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of the Elderly KyooSang Kim, Jae Hee Lee, Junghwa Bah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Medical Center, Seoul,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Seoul, Korea
随着医学的发展,人的寿命逐渐增加,老年人口所占的比例越来越大。我国已经于2000年65岁以上的老人人口占全部人口的7.3%,使老龄化社会(aging society), 2018年65岁以上的人口达到14.3%,老龄社会成为了比其他任何国家都正在迅速老龄化进程,2025年超过20%,预计将进入超老龄社会。随着社会的老龄化,老年人口对健康的关心正在增加。听力障碍对老人来说是第三多的问题。与青年群体相比,老年群体的听力随老化而变化明显,这一变化表现为语言认知能力的差异(Dubno et al., 1997;plomp & mimpen, 1979)。老人对语言认知的困难与青年不同,程度较大,而且对日常生活的沟通也会产生影响,有可能成为老人与家人的关系及在社会上被孤立的原因。随着时间的推移,由于老化,不仅是末梢听觉,中枢听觉处理能力也会下降,因此会出现许多与语言认知相关的问题(Humes, 1996;pichora - fuller &辛格,2006)。随着老年人语音听力的下降,特征高音的听力受损,特别是在不利的听力条件下,难以理解语言,并影响工作记忆(Rosemann & Thiel, 2020)。工作记忆(Baddeley, 1986;daneman & carpenter, 1980;Montgomery(1995),与沟通能力密切相关(Cleary et al., 2001;pisoni, 2000;Pisoni & Cleary, 2003),具体指通过已经知道新信息的自己的记忆或听力等,在进入长期记忆之前暂时储存的过程相关的能力(Geers et al., 2000)。工作记忆使人类能够立即理解环境,从心理上进行表象,并拥有有关过去经验的信息。此外,学习新知识、解决问题、构成目标等也会产生影响(Baddeley et al., 2001)。工作记忆大致分为两个系统:时空草图(visuospatial sketchpad)和音韵电路(phonological loop)。音韵电路是一种具有维持和处理听觉信息作用的听觉感觉仓库,是激活工作记忆的重要的逆Factors Affect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of the Elderly KyooSang Kim, Jae Hee Lee;首尔医学中心,Seoul Medical Center, Seoul,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