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authors":"HeeCheong Chon","doi":"10.21848/ASR.200089","DOIUrl":null,"url":null,"abstract":"발달성 말더듬(이하 말더듬)은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 지지 않은 말장애이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말더듬의 원인과 진전(지속과 회복),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유전, 언어, 말운동통제,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말더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Felsenfeld et al., 2000; Ludlow & Loucks, 2003; Postma & Kolk, 1993; Yairi & Ambrose, 2005; Yairi et al., 1996).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 로 하여 말더듬은 다요인적인 관점에서 설명되기도 한다. 즉, 하나 의 단일 요인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말더듬이 시작되고 진전된다는 것이다(Smith & Kelly, 1997). 심리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유창성을 설명한 내적수정가설 (covert repair hypothesis) (Kolk & Postma, 1997; Postma & Kolk, 1993)은 화자가 발화를 산출하기 전에 내면적 감독과정 (internal monitoring process)을 통해 자신이 계획한 메시지에 음운적, 구문적, 의미적 측면의 오류가 있는지 감시하게 되며, 오류가 감지될 경우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말을 산출 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때 내적으로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으로 인해 비유창성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말더듬는 사람 은 자신이 산출하고자 하는 발화의 언어형식 구성 단계(formulation stage)에서 이루어지는 음운적 부호화(phonological encoding)가 비정상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음운 목표를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며, 음성계획(phonetic plan) 과정에서 오 류가 더 많이 발생하고 감지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 를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이 일반인에 비해 빈번하고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비유창성 또한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Postma & Kolk, 1993). 또한 길고 복잡한 혹은 발음하기 어려 운 발화를 산출할 때 음성계획 과정에서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 고 감지되어 비유창성 또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Kolk & Postma, 1997). 이와 관련하여 말더듬 장애의 핵심적인 자질인 ‘진성비유창성(stuttering-like disfluency, SLD)’과 구문적 측 면과의 관련성을 살핀 선행연구들은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발 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48 1","pages":"52-59"},"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발달성 말더듬(이하 말더듬)은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 지지 않은 말장애이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말더듬의 원인과 진전(지속과 회복),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유전, 언어, 말운동통제,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말더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Felsenfeld et al., 2000; Ludlow & Loucks, 2003; Postma & Kolk, 1993; Yairi & Ambrose, 2005; Yairi et al., 1996).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 로 하여 말더듬은 다요인적인 관점에서 설명되기도 한다. 즉, 하나 의 단일 요인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말더듬이 시작되고 진전된다는 것이다(Smith & Kelly, 1997). 심리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유창성을 설명한 내적수정가설 (covert repair hypothesis) (Kolk & Postma, 1997; Postma & Kolk, 1993)은 화자가 발화를 산출하기 전에 내면적 감독과정 (internal monitoring process)을 통해 자신이 계획한 메시지에 음운적, 구문적, 의미적 측면의 오류가 있는지 감시하게 되며, 오류가 감지될 경우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말을 산출 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때 내적으로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으로 인해 비유창성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말더듬는 사람 은 자신이 산출하고자 하는 발화의 언어형식 구성 단계(formulation stage)에서 이루어지는 음운적 부호화(phonological encoding)가 비정상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음운 목표를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며, 음성계획(phonetic plan) 과정에서 오 류가 더 많이 발생하고 감지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 를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이 일반인에 비해 빈번하고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비유창성 또한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Postma & Kolk, 1993). 또한 길고 복잡한 혹은 발음하기 어려 운 발화를 산출할 때 음성계획 과정에서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 고 감지되어 비유창성 또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Kolk & Postma, 1997). 이와 관련하여 말더듬 장애의 핵심적인 자질인 ‘진성비유창성(stuttering-like disfluency, SLD)’과 구문적 측 면과의 관련성을 살핀 선행연구들은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발 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