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Dissecting Profitability Premium in Korean Stock Markets","authors":"Minki Kim, 김동석, 정진수","doi":"10.22510/kjofm.2018.35.4.00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에서는 2001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주식수익률 이상 현상 중 하나인 수익성 프리머엄의 발생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거시경제 요인 및 수익성 모방요인을 이용한 검증 결과,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에 대한 보상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고, 오히려 정보 불확실성 및 주식의 차익거래 제한 정도가 높을수록 수익성 프리미엄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익성 프리미엄의 장기 회귀가 나타나지 않아, 이로부터 투자자의 사후 과잉반응보다 사전 과소반응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의 대표적인 투자자 과소 반응에 대한 행동 재무학 모형을 활용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Hong and Stein(1999)의 투자자 무관심 모형이 수익성 프리미엄을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39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2001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주식수익률 이상 현상 중 하나인 수익성 프리머엄의 발생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거시경제 요인 및 수익성 모방요인을 이용한 검증 결과,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에 대한 보상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고, 오히려 정보 불확실성 및 주식의 차익거래 제한 정도가 높을수록 수익성 프리미엄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익성 프리미엄의 장기 회귀가 나타나지 않아, 이로부터 투자자의 사후 과잉반응보다 사전 과소반응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의 대표적인 투자자 과소 반응에 대한 행동 재무학 모형을 활용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Hong and Stein(1999)의 투자자 무관심 모형이 수익성 프리미엄을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