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서 가치투자전략의 성과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국내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이관영
{"title":"주식시장에서 가치투자전략의 성과와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국내 주식시장을 중심으로","authors":"이관영","doi":"10.22510/KJOFM.2019.36.2.0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가치투자전략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장영광, 김종택(2003)의 연구방법과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으로 나누어 국내 주식시장의 특성에 따라 가치투자전략의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분석 하였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기간동안 국내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주식을 대상으로 가치투자전략의 성과를 측정한 결과 B/M, E/P, C/P, S/P, 기업규모 등 가치비율이 높은 가치주의 성과가 가치비율이 낮은 성장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보유기간 수익률이 나타났다. 가치주와 성장주의 보유기간 수익률 차이는 3, 6, 9, 12, 24, 36개월 동안 모든 기간 걸쳐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기간이 길어질수록 보다 큰 차이를 보였고 코스닥시장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코스닥시장에는 성장주가 더 많이 분포되어 있고 유가증권시장에는 가치주가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치주와 성장주의 차이는 주식시장의 상승기(up-market periods)보다는 하락기(down-market periods)에 더욱 분명하고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치비율에 따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nFF(1992)와 LSV(1994)는 초과수익률(가치프리미엄)의 원천으로 각각 위험요인가설(risk based hypothesis)과 과잉반응가설(over reaction hypothesis)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요인을 크게 기업고유의 위험(도산예측변수)과 주가의 시장 변동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비율과 도산예측변수를 함께 고려한 2차원 차익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고 샤프지수가 양(+)의 값을 보여 위험요인으로는 가치프리미엄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n연구결과는 기존 연구와 상이한 경우가 있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시기와 주식의 상장시장 등에 따라서 가치비율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치투자전략을 활용함에 있어서 이를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56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2510/KJOFM.2019.36.2.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서 가치투자전략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하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장영광, 김종택(2003)의 연구방법과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다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으로 나누어 국내 주식시장의 특성에 따라 가치투자전략의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분석 하였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기간동안 국내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주식을 대상으로 가치투자전략의 성과를 측정한 결과 B/M, E/P, C/P, S/P, 기업규모 등 가치비율이 높은 가치주의 성과가 가치비율이 낮은 성장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보유기간 수익률이 나타났다. 가치주와 성장주의 보유기간 수익률 차이는 3, 6, 9, 12, 24, 36개월 동안 모든 기간 걸쳐 전반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기간이 길어질수록 보다 큰 차이를 보였고 코스닥시장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코스닥시장에는 성장주가 더 많이 분포되어 있고 유가증권시장에는 가치주가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치주와 성장주의 차이는 주식시장의 상승기(up-market periods)보다는 하락기(down-market periods)에 더욱 분명하고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치비율에 따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FF(1992)와 LSV(1994)는 초과수익률(가치프리미엄)의 원천으로 각각 위험요인가설(risk based hypothesis)과 과잉반응가설(over reaction hypothesis)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요인을 크게 기업고유의 위험(도산예측변수)과 주가의 시장 변동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비율과 도산예측변수를 함께 고려한 2차원 차익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고 샤프지수가 양(+)의 값을 보여 위험요인으로는 가치프리미엄을 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기존 연구와 상이한 경우가 있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시기와 주식의 상장시장 등에 따라서 가치비율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치투자전략을 활용함에 있어서 이를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股票市场价值投资战略成果与风险因素研究:以国内股票市场为中心
本研究对国内股市中是否存在价值投资战略的超额收益率进行了实证分析。利用张荣光、金钟泽(2003)的研究方法和最近的资料进行分析,再将其分为有价证券市场和kosdaq市场,比较分析根据国内股票市场的特性,价值投资战略的成果会有怎样的变化。2009年至2017年的研究期间国内有价证券市场及面向在kosdaq市场上市的股票价值投资战略的成果,测量的结果b / m, e / p, c / p, s / p、企业规模等价值比率较高注意成果价值比率较低的成长股相比,统计上高得留意的期限收益率出现了。价值股和增长股的持有期间收益率差距在3、6、9、12、24、36个月期间,在所有期间都表现得非常明显,但时间越长,差距就越大,在kosdaq市场上表现得越明显。据调查,kosdaq市场的成长型股票分布更多,有价证券市场的价值股分布更多。另外,价值股和성장주의差异是股市的上升期(up - market periods)相比下跌期(down - market periods)被确认为更清晰,大了,按照价值比率有价证券市场和kosdaq市场上出现了不同的差异。ff(1992)和lsv(1994)分别为超额收益率(价值溢价)的源泉危险因素(risk based假说hypothesis和over reaction hypothesis。本研究将危险因素大致分为企业固有的危险(破产预测变数)和股价的市场变动性。研究结果显示,同时考虑价值比率和破产预测变数的二维差价投资组合的收益率仍然很高,夏普指数显示出量(+)的值,因此不能很好地说明价值溢价是危险因素。研究结果与现有研究存在不同的情况,因此根据构成有价证券组合的时间和股票的上市市场等,价值比率的结果可能会有所不同,因此判断认为,在运用价值投资战略时,应该考虑到这一点。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Crucial Measures against Financial Disputes: Culture, Law, and Education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upply of Trade Credit The Effect of the Main Debtor Group System on Corporate Value The Role of Credit Limit in Household Optimal Portfolio and Consumption The Peer Effect on Capital Structure: Evidence from Korea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