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title":"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authors":"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doi":"10.21848/asr.200052","DOIUrl":null,"url":null,"abstract":"말더듬은 선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의 상호작 용으로 발생하는 다면적인 장애이다(Guitar, 2014; Manning, 2010). 이러한 말더듬의 발생과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기질(temperament)이 제시되었다(Anderson et al., 2003). 기질이란 생의 초기부터 보이는 개인의 특성으로 한 개인의 행동 양식과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적 상황 에 따라 반응하고 대처하는 기제이다(Rothbart & Derryberry, 1981). 이와 관련하여 Riley & Riley(2000)는 말더듬아동의 진 단에 관한 포괄적인 시각을 포함한 수정된 구성모델(revised component model, RCM)을 제시하였다. 수정된 구성 모델에 따르면 말더듬과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 구 성요소, 즉 신체적 특질, 기질적 요인, 청자의 반응이며 이러한 다면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전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다. 특히 기질적 요인으로는 높은 자기 기대와 과도한 민감성이 제시되었으며 대략적으로 40~60%의 아동이 이러한 기질적 요 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질적 특성이 관 찰되는 경우에는 임상가는 아동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 동의 경험 등을 같이 이야기하는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 즉 기질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이를 적절히 파악하고 임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말더듬는 사람의 기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 되었는데 우선 여러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는 사람들이 기질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말더듬성인은 일반인과 비교, 민감성, 완벽주의, 불안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인식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이러한 고정관념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언어재 활사, 말더듬아동의 부모, 언어병리학 전공자 등 다양한 집단에 서 공유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말더듬아동의 부모는 말더듬아동이 요구가 많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Jeonggwan Bareum Psychology Communication Center,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44 1","pages":"339-34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5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말더듬은 선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의 상호작 용으로 발생하는 다면적인 장애이다(Guitar, 2014; Manning, 2010). 이러한 말더듬의 발생과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기질(temperament)이 제시되었다(Anderson et al., 2003). 기질이란 생의 초기부터 보이는 개인의 특성으로 한 개인의 행동 양식과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적 상황 에 따라 반응하고 대처하는 기제이다(Rothbart & Derryberry, 1981). 이와 관련하여 Riley & Riley(2000)는 말더듬아동의 진 단에 관한 포괄적인 시각을 포함한 수정된 구성모델(revised component model, RCM)을 제시하였다. 수정된 구성 모델에 따르면 말더듬과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 구 성요소, 즉 신체적 특질, 기질적 요인, 청자의 반응이며 이러한 다면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전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다. 특히 기질적 요인으로는 높은 자기 기대와 과도한 민감성이 제시되었으며 대략적으로 40~60%의 아동이 이러한 기질적 요 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질적 특성이 관 찰되는 경우에는 임상가는 아동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 동의 경험 등을 같이 이야기하는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 즉 기질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이를 적절히 파악하고 임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말더듬는 사람의 기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 되었는데 우선 여러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는 사람들이 기질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말더듬성인은 일반인과 비교, 민감성, 완벽주의, 불안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인식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이러한 고정관념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언어재 활사, 말더듬아동의 부모, 언어병리학 전공자 등 다양한 집단에 서 공유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말더듬아동의 부모는 말더듬아동이 요구가 많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Jeonggwan Bareum Psychology Communication Center,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