个人信息保护法对GDPR及第四次产业革命对应方案的研究

홍선기, 고영미
{"title":"个人信息保护法对GDPR及第四次产业革命对应方案的研究","authors":"홍선기, 고영미","doi":"10.17252/dlr.2019.43.1.011","DOIUrl":null,"url":null,"abstract":"2018년 5월에 GDPR(Regulation (EU) 2016/679)이 발효됨에 따라 EU의 각 회원국들은 자신들의 개인정보 관련법을 개정하는 한편, 유럽 내에서 통일적으로 적용될 가이드라인을 정비하는 등 GDPR의 발효에 따른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GDPR에서 인정하고 있는 입법재량에 대한 대응에서 이미 각 회원국은 새로운 입법이나 기존의 법제를 통해서 상당히 GDPR에 근접한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GDPR의 발효에 따른 EU 회원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과 4차산업혁명과의 관계는 향후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와 정책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GDPR 보다 규범력이 약했던 EU 개인정보보호지침(95/46/EC)이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의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면 2016년에 통과된 GDPR은 보다 막강한 국제적 영향력을 지닐 것으로 쉽게 예측된다. 따라서 GDPR은 비단 유럽을 넘어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국제적 기준으로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런 연유로 GDPR의 도입에 따른 EU의 주요 회원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의 개인정보보호관련 법제와 정책의 비교 분석은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대응 및 법제의 개선방향을 찾는데 좋은 시사점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 대부분의 산업은 사실상 빅데이터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개인정보의 활용과 남용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결국 정보주체의 권리를 얼마나 잘 보호함으로써 그 남용의 폐해를 막아내는가이다. 이런 관점에서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일반법으로서의 성격을 보다 공고히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같은 감독기관의 강력한 제재권한 강화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규정의 보완도 요구된다.","PeriodicalId":197197,"journal":{"name":"Dankook Law Riview","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개인정보보호법의 GDPR 및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authors\":\"홍선기, 고영미\",\"doi\":\"10.17252/dlr.2019.43.1.011\",\"DOIUrl\":null,\"url\":null,\"abstract\":\"2018년 5월에 GDPR(Regulation (EU) 2016/679)이 발효됨에 따라 EU의 각 회원국들은 자신들의 개인정보 관련법을 개정하는 한편, 유럽 내에서 통일적으로 적용될 가이드라인을 정비하는 등 GDPR의 발효에 따른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GDPR에서 인정하고 있는 입법재량에 대한 대응에서 이미 각 회원국은 새로운 입법이나 기존의 법제를 통해서 상당히 GDPR에 근접한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GDPR의 발효에 따른 EU 회원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과 4차산업혁명과의 관계는 향후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와 정책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GDPR 보다 규범력이 약했던 EU 개인정보보호지침(95/46/EC)이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의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면 2016년에 통과된 GDPR은 보다 막강한 국제적 영향력을 지닐 것으로 쉽게 예측된다. 따라서 GDPR은 비단 유럽을 넘어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국제적 기준으로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런 연유로 GDPR의 도입에 따른 EU의 주요 회원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의 개인정보보호관련 법제와 정책의 비교 분석은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대응 및 법제의 개선방향을 찾는데 좋은 시사점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 대부분의 산업은 사실상 빅데이터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개인정보의 활용과 남용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결국 정보주체의 권리를 얼마나 잘 보호함으로써 그 남용의 폐해를 막아내는가이다. 이런 관점에서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일반법으로서의 성격을 보다 공고히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같은 감독기관의 강력한 제재권한 강화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규정의 보완도 요구된다.\",\"PeriodicalId\":197197,\"journal\":{\"name\":\"Dankook Law Riview\",\"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ankook Law Ri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252/dlr.2019.43.1.0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Dankook Law Ri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252/dlr.2019.43.1.0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随着GDPR(Regulation,欧盟)2016/679)于2018年5月生效,欧盟各成员国在修改自己的个人信息相关法律的同时,整理在欧洲内统一适用的指标等,正在为GDPR的生效做出各种努力。特别是在应对GDPR认可的立法裁量上,各会员国已经通过新的立法或现有的法制,制定出相当接近GDPR的个人信息保护规定。随着GDPR的生效,欧盟成员国的个人信息保护法制的改善和与第4次产业革命的关系,预计将对今后韩国的个人信息保护法制和政策具有重要的意义。如果规范力比现在的GDPR弱的EU个人信息保护方针(95/46/EC)引领了美国这个超级大国的变化,那么很容易预测2016年通过的GDPR将会具有更强大的国际影响力。因此,预计GDPR将超越欧洲,成为个人信息保护法制的国际标准。因此,随着GDPR的引进,欧盟的主要成员国德国、英国、法国的个人信息保护相关法制和政策的比较分析,将会成为寻找我国个人信息保护法制的应对及法制改善方向的很好的启示。一般来说,第四次产业革命到来后,大部分产业实际上将依赖大数据。在这种情况下,个人信息的利用和滥用是不可避免的事实。在这种情况下,重要的是如何保护信息主体的权利,从而防止滥用的弊端。从这一点看,为加强信息主体的权利,有必要从法制角度进一步巩固我们个人信息保护法作为普通法的性质。另外,还应该考虑加强个人信息保护委员会等监督机关的强力制裁权限。不仅如此,还需要完善有关个人信息转移到国外的规定。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개인정보보호법의 GDPR 및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2018년 5월에 GDPR(Regulation (EU) 2016/679)이 발효됨에 따라 EU의 각 회원국들은 자신들의 개인정보 관련법을 개정하는 한편, 유럽 내에서 통일적으로 적용될 가이드라인을 정비하는 등 GDPR의 발효에 따른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GDPR에서 인정하고 있는 입법재량에 대한 대응에서 이미 각 회원국은 새로운 입법이나 기존의 법제를 통해서 상당히 GDPR에 근접한 개인정보보호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GDPR의 발효에 따른 EU 회원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선과 4차산업혁명과의 관계는 향후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법제와 정책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GDPR 보다 규범력이 약했던 EU 개인정보보호지침(95/46/EC)이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의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면 2016년에 통과된 GDPR은 보다 막강한 국제적 영향력을 지닐 것으로 쉽게 예측된다. 따라서 GDPR은 비단 유럽을 넘어서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국제적 기준으로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런 연유로 GDPR의 도입에 따른 EU의 주요 회원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의 개인정보보호관련 법제와 정책의 비교 분석은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대응 및 법제의 개선방향을 찾는데 좋은 시사점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 대부분의 산업은 사실상 빅데이터에 의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개인정보의 활용과 남용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결국 정보주체의 권리를 얼마나 잘 보호함으로써 그 남용의 폐해를 막아내는가이다. 이런 관점에서 정보주체의 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일반법으로서의 성격을 보다 공고히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같은 감독기관의 강력한 제재권한 강화도 고민해 보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규정의 보완도 요구된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공정거래법상의3배 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위조 상품 유통에 대한온라인상거래매개자의 책임 유류분반환청구와 과세에 관한 연구 계약금계약의 법적 성질에 관한논의의 검토와 민법 제565조해약금 규정의 해석 사법정의의 실현방안* - 사법제도의 개선을 중심으로 -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