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lwoo Lee, Kyu-suck Choi, Seok Won Jeong, H. Kim, Y. Seo
{"title":"内分泌干扰物研究综述及展望","authors":"Chulwoo Lee, Kyu-suck Choi, Seok Won Jeong, H. Kim, Y. Seo","doi":"10.3803/JKES.2009.24.1.7","DOIUrl":null,"url":null,"abstract":"1996년 테오 콜본이 저술한 「도둑맞은 미래(Our Stolen Future)」가 출간되면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일명 환경호르몬) 이 세계적으로 센세이셔날한 반향을 불러온 바 있다[1]. 그 후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내분비계 장애 독성에 대한 메카니 즘을 경쟁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동시에 위해성 평가를 위한 노력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독성작용과 환경 또는 식품중 위해성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해서는 아직도 상당 부분이 규 명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국민들은 막연한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 및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을 가려내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는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시험기술과 방법들이 우선적으로 확립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 중 실태조사, 용량-반응 평가, 노출량 산정 및 위해도 산출 등 일련의 위해성 평가과 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원인규 명과 이을 예방하고 저감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몇 단계 진일보한 기술과 평가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1985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5","resultStr":"{\"title\":\"An Overview and Future Perspective on Endocrine Disruptors\",\"authors\":\"Chulwoo Lee, Kyu-suck Choi, Seok Won Jeong, H. Kim, Y. Seo\",\"doi\":\"10.3803/JKES.2009.24.1.7\",\"DOIUrl\":null,\"url\":null,\"abstract\":\"1996년 테오 콜본이 저술한 「도둑맞은 미래(Our Stolen Future)」가 출간되면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일명 환경호르몬) 이 세계적으로 센세이셔날한 반향을 불러온 바 있다[1]. 그 후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내분비계 장애 독성에 대한 메카니 즘을 경쟁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동시에 위해성 평가를 위한 노력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독성작용과 환경 또는 식품중 위해성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해서는 아직도 상당 부분이 규 명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국민들은 막연한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 및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을 가려내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는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시험기술과 방법들이 우선적으로 확립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 중 실태조사, 용량-반응 평가, 노출량 산정 및 위해도 산출 등 일련의 위해성 평가과 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원인규 명과 이을 예방하고 저감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몇 단계 진일보한 기술과 평가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11985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5\",\"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3/JKES.2009.24.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3/JKES.2009.24.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 Overview and Future Perspective on Endocrine Disruptors
1996년 테오 콜본이 저술한 「도둑맞은 미래(Our Stolen Future)」가 출간되면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일명 환경호르몬) 이 세계적으로 센세이셔날한 반향을 불러온 바 있다[1]. 그 후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내분비계 장애 독성에 대한 메카니 즘을 경쟁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동시에 위해성 평가를 위한 노력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내분비계장애물질의 독성작용과 환경 또는 식품중 위해성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내분비계장애물질에 대해서는 아직도 상당 부분이 규 명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국민들은 막연한 불안감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 및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내분비계장애물질들을 가려내고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 는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시험기술과 방법들이 우선적으로 확립되어야 하고, 이를 토대로 환경 중 실태조사, 용량-반응 평가, 노출량 산정 및 위해도 산출 등 일련의 위해성 평가과 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원인규 명과 이을 예방하고 저감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몇 단계 진일보한 기술과 평가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