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性暴力决定因素的社会经济分析

Sangkyom Kim
{"title":"韩国性暴力决定因素的社会经济分析","authors":"Sangkyom Kim","doi":"10.36889/kcr.2019.06.30.2.1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사회 · 경제적 관점에서 성폭력 원인을 분석하였다.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성욕을 해소한다는 가정하에 성폭력 모형을 완성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성폭력 발생률을 종속변수, 그리고 살인발생률, 소득, 남녀비율, 남성고용률, 남성유배자비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은 13개 지역으로 구성된 1998~2010년 기간의 패널(panel)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비용과 편익 분석에 따른 개인의 경제적 선택과 성욕 해소 경로를 제한 또는 확대하는 제도나 활동이 성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매매를 불법화한 성매매특별법은 성폭력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남성이 많은 지역일수록 성폭력 발생률이 낮았다. 그리고 짝을 찾는 것을 어렵게 하는 남녀 간의 성비 불균형은 성폭력 발생률을 높였다. 대부분의 기존 범죄 연구와 마찬가지로 성폭력범죄에서도 적발 가능성과 처벌강도가 범죄 발생률에 영향을 미쳤다. 치안 수준이 열악한 지역에서 성폭력 발생률이 높았고, 수감에 따른 기회비용 높은 지역에서는 성폭력 발생률이 낮았다.","PeriodicalId":355700,"journal":{"name":"KOREAN CRIMINOLOGICAL REVIEW","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ocioeconomic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Sexual Violence in Korea\",\"authors\":\"Sangkyom Kim\",\"doi\":\"10.36889/kcr.2019.06.30.2.14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사회 · 경제적 관점에서 성폭력 원인을 분석하였다.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성욕을 해소한다는 가정하에 성폭력 모형을 완성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성폭력 발생률을 종속변수, 그리고 살인발생률, 소득, 남녀비율, 남성고용률, 남성유배자비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은 13개 지역으로 구성된 1998~2010년 기간의 패널(panel)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비용과 편익 분석에 따른 개인의 경제적 선택과 성욕 해소 경로를 제한 또는 확대하는 제도나 활동이 성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매매를 불법화한 성매매특별법은 성폭력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남성이 많은 지역일수록 성폭력 발생률이 낮았다. 그리고 짝을 찾는 것을 어렵게 하는 남녀 간의 성비 불균형은 성폭력 발생률을 높였다. 대부분의 기존 범죄 연구와 마찬가지로 성폭력범죄에서도 적발 가능성과 처벌강도가 범죄 발생률에 영향을 미쳤다. 치안 수준이 열악한 지역에서 성폭력 발생률이 높았고, 수감에 따른 기회비용 높은 지역에서는 성폭력 발생률이 낮았다.\",\"PeriodicalId\":355700,\"journal\":{\"name\":\"KOREAN CRIMINOLOGICAL REVIEW\",\"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CRIMINOLOGICAL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889/kcr.2019.06.30.2.1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CRIMINOLOGICAL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889/kcr.2019.06.30.2.14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论文从社会、经济的角度分析了性暴力的原因。在以最小化费用的方法消除个人性欲的假设下,完成了性暴力模型。模型验证以性暴力发生率为隶属变数,杀人发生率,收入,男女比例,男性雇佣率,男性流放费用率为独立变数,进行回归分析。回归分析使用了由13个地区组成的1998 - 2010年期间的面板资料。分析结果显示,根据费用和利益分析限制或扩大个人经济选择和消除性欲途径的制度或活动对性暴力产生了直接影响。具体来说,将性交易非法化的《性交易特别法》会增加性暴力发生率,有配偶的男性越多的地区,性暴力发生率就越低。而且,使寻找配偶变得困难的男女间的性比不均衡,提高了性暴力发生率。与大部分现有的犯罪研究一样,性暴力犯罪的揭发可能性和处罚强度也对犯罪率产生了影响。治安水平恶劣的地区的性暴力发生率较高,收监机会费用较高的地区的性暴力发生率较低。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Socioeconomic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Sexual Violence in Korea
본 논문은 사회 · 경제적 관점에서 성폭력 원인을 분석하였다.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개인이 성욕을 해소한다는 가정하에 성폭력 모형을 완성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성폭력 발생률을 종속변수, 그리고 살인발생률, 소득, 남녀비율, 남성고용률, 남성유배자비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은 13개 지역으로 구성된 1998~2010년 기간의 패널(panel)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비용과 편익 분석에 따른 개인의 경제적 선택과 성욕 해소 경로를 제한 또는 확대하는 제도나 활동이 성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매매를 불법화한 성매매특별법은 성폭력 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남성이 많은 지역일수록 성폭력 발생률이 낮았다. 그리고 짝을 찾는 것을 어렵게 하는 남녀 간의 성비 불균형은 성폭력 발생률을 높였다. 대부분의 기존 범죄 연구와 마찬가지로 성폭력범죄에서도 적발 가능성과 처벌강도가 범죄 발생률에 영향을 미쳤다. 치안 수준이 열악한 지역에서 성폭력 발생률이 높았고, 수감에 따른 기회비용 높은 지역에서는 성폭력 발생률이 낮았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German Traffic Data Retention Violates EU law and Criminal Policy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Judgement of the CJEU on 20.09.2022, C-793/19 and C-794/19 - Effects of Punitive Criminal Justice Policy on Trial Outcomes - Focusing on Crimes of Obstruction of Justice Crime and Consensus of Collective Efficacy 전자정보의 압수수색과 피의자의 참여권 -대법원 입장의 비판적 수용 및 독일 논의의 참고-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IO Act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