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证券公司推荐项目的成果分析(Performance Measure on Stocks Recommended by Securities Firms in Korea)","authors":"Dong Han, Dong-hee Cho","doi":"10.2139/ssrn.3017063","DOIUrl":null,"url":null,"abstract":"<b>Korean Abstract:</b> 포트폴리오 성과측정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CAPM을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은 대용포트폴리오와 측정대상 포트폴리오의 측정오류로 인하여 성과의 과대 혹은 과소평가의 현상을 유발 시키게된다.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역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측정 불가능한 진정한 β와 α의 범위를 제시하여 해당 포트폴리오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존재한다는 판단의 오류를 막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 10개사가 매년 초(혹은 말)에 발표하는 우수종목(Top Picks)에 대한 장기(1년) 성과측정을 조사기간 7년에 걸쳐 직접과 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회귀식의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증권사 Top Picks 포트폴리오들에 대한 유의한 초과수익률은 전 조사기간에 걸쳐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다른 전통적인 성과분석 방법(Sharpe 지수, Treynor 지수와 시장조정모형)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시장대비 전 증권사가 7년 조사기간 중 4년 이상의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별 성과순위는 매년 달라져 우수성과의 지속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올바른 위험의 측정 없이 성과측정을 할 경우 증권사의 Top Picks는 일반투자자에게 정보의 가치는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수종목을 추천하는 증권사의 우월성은 지속된다고는 볼 수 없다. 한편 위험을 고려할 경우, 진정한 위험계수(β)와 초과수익률계수(α)를 측정할 수 없는 현실에서 α의 범위로 보수적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증권사 Top Picks는 정보의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br><br><b>English Abstract:</b>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stocks(Top Picks) recommended by major securities firms in Korea. When CAPM-based empirical models are used to measure the portfolio abnormal returns, the presence of either benchmark error and/or nonsynchronous trading of portfolio stocks tends to cause the estimated beta to be biased downward, thus causing the estimated alpha to be generally biased upward. In order to avoid the judgement about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this study applies the direct and reverse regressions which can provide a lower bound and an upper bound in the unknown true beta and the alpha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op Picks. The results from direct-reverse regressions show that most of top Picks over 7 years measurement periods have shown no significant abnormal returns. However, when other performance measure methods (Sharpe index, Treynor index and Market adjusted model) are used, all of Top Picks from all securities firms have shown high values than the market(KOSPI) more than 4 yea out of 7 examining periods. However, judging from the Friedman Test results for rank correl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past performances of securities firms do not effect on the performances of the following periods. From the general investors'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to be valuable. But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ies firm's past performance could not be valuable. However, from academic point of view, when we measure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based on the conservative risk measure,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not be valuable.","PeriodicalId":287077,"journal":{"name":"ERN: Asia & Pacific (Emerging Markets) (Topic)","volume":"35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2-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증권사 추천종목에 대한 성과분석 (Performance Measure on Stocks Recommended by Securities Firms in Korea)\",\"authors\":\"Dong Han, Dong-hee Cho\",\"doi\":\"10.2139/ssrn.3017063\",\"DOIUrl\":null,\"url\":null,\"abstract\":\"<b>Korean Abstract:</b> 포트폴리오 성과측정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CAPM을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은 대용포트폴리오와 측정대상 포트폴리오의 측정오류로 인하여 성과의 과대 혹은 과소평가의 현상을 유발 시키게된다.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역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측정 불가능한 진정한 β와 α의 범위를 제시하여 해당 포트폴리오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존재한다는 판단의 오류를 막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 10개사가 매년 초(혹은 말)에 발표하는 우수종목(Top Picks)에 대한 장기(1년) 성과측정을 조사기간 7년에 걸쳐 직접과 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회귀식의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증권사 Top Picks 포트폴리오들에 대한 유의한 초과수익률은 전 조사기간에 걸쳐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다른 전통적인 성과분석 방법(Sharpe 지수, Treynor 지수와 시장조정모형)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시장대비 전 증권사가 7년 조사기간 중 4년 이상의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별 성과순위는 매년 달라져 우수성과의 지속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올바른 위험의 측정 없이 성과측정을 할 경우 증권사의 Top Picks는 일반투자자에게 정보의 가치는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수종목을 추천하는 증권사의 우월성은 지속된다고는 볼 수 없다. 한편 위험을 고려할 경우, 진정한 위험계수(β)와 초과수익률계수(α)를 측정할 수 없는 현실에서 α의 범위로 보수적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증권사 Top Picks는 정보의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br><br><b>English Abstract:</b>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stocks(Top Picks) recommended by major securities firms in Korea. When CAPM-based empirical models are used to measure the portfolio abnormal returns, the presence of either benchmark error and/or nonsynchronous trading of portfolio stocks tends to cause the estimated beta to be biased downward, thus causing the estimated alpha to be generally biased upward. In order to avoid the judgement about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this study applies the direct and reverse regressions which can provide a lower bound and an upper bound in the unknown true beta and the alpha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op Picks. The results from direct-reverse regressions show that most of top Picks over 7 years measurement periods have shown no significant abnormal returns. However, when other performance measure methods (Sharpe index, Treynor index and Market adjusted model) are used, all of Top Picks from all securities firms have shown high values than the market(KOSPI) more than 4 yea out of 7 examining periods. However, judging from the Friedman Test results for rank correl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past performances of securities firms do not effect on the performances of the following periods. From the general investors'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to be valuable. But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ies firm's past performance could not be valuable. However, from academic point of view, when we measure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based on the conservative risk measure,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not be valuable.\",\"PeriodicalId\":287077,\"journal\":{\"name\":\"ERN: Asia & Pacific (Emerging Markets) (Topic)\",\"volume\":\"35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2-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RN: Asia & Pacific (Emerging Market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0170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RN: Asia & Pacific (Emerging Market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0170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在评估有价证券组合成果时,以通常使用的CAPM为基础的测量方法,会因代用有价证券组合和测试对象有价证券组合的测量错误而导致成果的夸大或过低评价现象。为了纠正这一错误,本论文提出了一种利用逆向回归分析,提出无法测定的真正的β和α的范围,防止在不存在相应有价证券组合的超额收益率的情况下仍然存在的判断错误的方法。为此,对国内10家大型公司在每年年初(或年末)发表的优秀项目(Top Picks)的长期(1年)成果测定,经过7年的调查期间,直接进行了逆向回归分析。反向回归的结果显示,在整个调查期间,大部分证券公司Top Picks有价证券组合的显著超额收益率都没有发现。另外,如果使用其他传统的成果分析方法(Sharpe指数、Treynor指数和市场调整模型),所有证券公司在7年的调查中显示出了4年以上的优越结果。但据调查,各证券公司的成果排名每年都发生变化,因此与优秀性没有持续性。在没有进行正确的风险测定的情况下,进行成果测定的情况下,证券公司的Top Picks可以看作是对一般投资者来说具有信息的价值。但是,不能说推荐优秀项目的证券公司的优越性会持续下去。另外,考虑到风险,在无法测定真正的风险系数(β)和超额收益率系数(α)的现实情况下,如果以α的范围保守地判断,证券公司Top Picks就不能认为有信息的价值。英语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stocks(Top Picks) recommended by major securities firms in Korea。When CAPM-based empirical models are used to measure the portfolio abnormal returns;benchmark error and/or nonsynchronous trading of portfolio stocks tends to cause the estimated beta to be biased downward;thus causing the estimated alpha to be generally biased upward。In order to avoid the judgement about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this study applies the direct and reverse regressions which can provide a lower bound and an upper bound in the unknown true beta and the alpha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op Picks。The results from direct-reverse regressions show that most of top Picks over 7 years measurement periods have shown no significant abnormal returns。However, when other performance measure methods (Sharpe index, Treynor index and Market adjusted model) are used,韩国综合股价指数(KOSPI) more than 4 yea out of 7 examining periods。However, judging from the Friedman Test results for rank correl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past performances of securities firms do not effect on the performances of the following periods。From the general investors'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to be valuable。But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ies firm's past performance could not be valuable。However, from academic point of view, when we measure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based on the conservative risk measure,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not be valuable。
증권사 추천종목에 대한 성과분석 (Performance Measure on Stocks Recommended by Securities Firms in Korea)
Korean Abstract: 포트폴리오 성과측정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CAPM을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은 대용포트폴리오와 측정대상 포트폴리오의 측정오류로 인하여 성과의 과대 혹은 과소평가의 현상을 유발 시키게된다.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역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측정 불가능한 진정한 β와 α의 범위를 제시하여 해당 포트폴리오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존재한다는 판단의 오류를 막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 10개사가 매년 초(혹은 말)에 발표하는 우수종목(Top Picks)에 대한 장기(1년) 성과측정을 조사기간 7년에 걸쳐 직접과 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회귀식의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증권사 Top Picks 포트폴리오들에 대한 유의한 초과수익률은 전 조사기간에 걸쳐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다른 전통적인 성과분석 방법(Sharpe 지수, Treynor 지수와 시장조정모형)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시장대비 전 증권사가 7년 조사기간 중 4년 이상의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별 성과순위는 매년 달라져 우수성과의 지속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올바른 위험의 측정 없이 성과측정을 할 경우 증권사의 Top Picks는 일반투자자에게 정보의 가치는 있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수종목을 추천하는 증권사의 우월성은 지속된다고는 볼 수 없다. 한편 위험을 고려할 경우, 진정한 위험계수(β)와 초과수익률계수(α)를 측정할 수 없는 현실에서 α의 범위로 보수적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증권사 Top Picks는 정보의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없을 것이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erformance of stocks(Top Picks) recommended by major securities firms in Korea. When CAPM-based empirical models are used to measure the portfolio abnormal returns, the presence of either benchmark error and/or nonsynchronous trading of portfolio stocks tends to cause the estimated beta to be biased downward, thus causing the estimated alpha to be generally biased upward. In order to avoid the judgement about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this study applies the direct and reverse regressions which can provide a lower bound and an upper bound in the unknown true beta and the alpha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op Picks. The results from direct-reverse regressions show that most of top Picks over 7 years measurement periods have shown no significant abnormal returns. However, when other performance measure methods (Sharpe index, Treynor index and Market adjusted model) are used, all of Top Picks from all securities firms have shown high values than the market(KOSPI) more than 4 yea out of 7 examining periods. However, judging from the Friedman Test results for rank correl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past performances of securities firms do not effect on the performances of the following periods. From the general investors' point of view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to be valuable. But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ies firm's past performance could not be valuable. However, from academic point of view, when we measure the abnormal returns of Top Picks based on the conservative risk measure, the information about top Picks could not be valu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