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女性实习制度的再就业效应:基于Heckman模型和序贯中介效应","authors":"Min-Jeng Bark","doi":"10.20484/klog.27.1.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충북여성인턴제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여성인턴제 참여자와 미참여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여성인턴제 참여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으로는 내적 통제, 일·가정 양립갈등, 타인학습, 자기성찰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학습과 자기성찰은 재취업과 역량개발 및 고용가능성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역량 개발은 재취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고용가능성은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로는 타인학습, 정보탐색, 자기성찰 등 무형식학습활동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역량 개발이 가지는 매개효과가 검증된 반면, 고용가능성은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순차적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독립변수가 정보탐색인 경우와 자기성찰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인턴제는 미시적으로는 여성들에게 지속적 경제활동에 디딤돌이 되고, 거시적으로는 지역 여건에 맞는 공공・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창출하여 수요와 공급을 매칭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인턴제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여성인턴제 참여자들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조직 내 구성원을 통한 학습이나 자기성찰을 지원하여야 한다.","PeriodicalId":17977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Reemployment Effect of the Female Internship System: Focusing on the Heckman Model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authors\":\"Min-Jeng Bark\",\"doi\":\"10.20484/klog.27.1.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충북여성인턴제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여성인턴제 참여자와 미참여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여성인턴제 참여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으로는 내적 통제, 일·가정 양립갈등, 타인학습, 자기성찰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학습과 자기성찰은 재취업과 역량개발 및 고용가능성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역량 개발은 재취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고용가능성은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로는 타인학습, 정보탐색, 자기성찰 등 무형식학습활동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역량 개발이 가지는 매개효과가 검증된 반면, 고용가능성은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순차적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독립변수가 정보탐색인 경우와 자기성찰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인턴제는 미시적으로는 여성들에게 지속적 경제활동에 디딤돌이 되고, 거시적으로는 지역 여건에 맞는 공공・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창출하여 수요와 공급을 매칭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인턴제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여성인턴제 참여자들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조직 내 구성원을 통한 학습이나 자기성찰을 지원하여야 한다.\",\"PeriodicalId\":17977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volume\":\"2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484/klog.27.1.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484/klog.27.1.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Reemployment Effect of the Female Internship System: Focusing on the Heckman Model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충북여성인턴제의 효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북여성인턴제 참여자와 미참여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 방식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여성인턴제 참여자의 재취업 결정요인으로는 내적 통제, 일·가정 양립갈등, 타인학습, 자기성찰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학습과 자기성찰은 재취업과 역량개발 및 고용가능성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역량 개발은 재취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고용가능성은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로는 타인학습, 정보탐색, 자기성찰 등 무형식학습활동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역량 개발이 가지는 매개효과가 검증된 반면, 고용가능성은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순차적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독립변수가 정보탐색인 경우와 자기성찰인 경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인턴제는 미시적으로는 여성들에게 지속적 경제활동에 디딤돌이 되고, 거시적으로는 지역 여건에 맞는 공공・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창출하여 수요와 공급을 매칭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인턴제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여성인턴제 참여자들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조직 내 구성원을 통한 학습이나 자기성찰을 지원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