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国内水泥/混凝土中氯化物含量现状及相关规范建议","authors":"Hyeon-Woo Lee, Yong-Sik Yoon, Sung-Chul Bae, Seung-Jun Kwon","doi":"10.4334/jkci.2023.35.5.49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크리트 구조 염화물량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관련 규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초기 염화물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 6개 사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시편의 염화물량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레미콘 2개 사의 염화물 모니터링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염화물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온전극법을 기반으로 모르타르 시편의 염화물량 평가 결과, 0.1530~0.2710 kg/m³의 값이 평가되었으며 시멘트량이 전체 질량의 2/3인 것을 고려하면 낮은 수준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의 염화물량은 5 수준의 설계기준강도 등급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는데 강도등급이 높아질수록 사용된 시멘트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염화물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시편에서는 측정 장비의 종류에 따라 측정값의 20~30 %에 해당하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내 레미콘사의 염화물 함유량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35~4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회수율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일부 시점에서 높은 시멘트의 염화물량과 해사의 사용으로 보고되었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5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urrent Status of Chloride Content in Domestic Cement/Concrete and Recommendations for Related Specifications\",\"authors\":\"Hyeon-Woo Lee, Yong-Sik Yoon, Sung-Chul Bae, Seung-Jun Kwon\",\"doi\":\"10.4334/jkci.2023.35.5.49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크리트 구조 염화물량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관련 규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초기 염화물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 6개 사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시편의 염화물량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레미콘 2개 사의 염화물 모니터링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염화물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온전극법을 기반으로 모르타르 시편의 염화물량 평가 결과, 0.1530~0.2710 kg/m³의 값이 평가되었으며 시멘트량이 전체 질량의 2/3인 것을 고려하면 낮은 수준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의 염화물량은 5 수준의 설계기준강도 등급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는데 강도등급이 높아질수록 사용된 시멘트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염화물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시편에서는 측정 장비의 종류에 따라 측정값의 20~30 %에 해당하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내 레미콘사의 염화물 함유량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35~4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회수율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일부 시점에서 높은 시멘트의 염화물량과 해사의 사용으로 보고되었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5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334/jkci.2023.35.5.4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Materials Scienc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334/jkci.2023.35.5.49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Materials Science","Score":null,"Total":0}
Current Status of Chloride Content in Domestic Cement/Concrete and Recommendations for Related Specification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크리트 구조 염화물량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관련 규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초기 염화물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 6개 사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시편의 염화물량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레미콘 2개 사의 염화물 모니터링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염화물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온전극법을 기반으로 모르타르 시편의 염화물량 평가 결과, 0.1530~0.2710 kg/m³의 값이 평가되었으며 시멘트량이 전체 질량의 2/3인 것을 고려하면 낮은 수준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의 염화물량은 5 수준의 설계기준강도 등급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는데 강도등급이 높아질수록 사용된 시멘트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염화물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시편에서는 측정 장비의 종류에 따라 측정값의 20~30 %에 해당하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내 레미콘사의 염화물 함유량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35~4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회수율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일부 시점에서 높은 시멘트의 염화물량과 해사의 사용으로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