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Wook Kim, Gi-Hyeon Kim, Young-Soo Kim, Young-Il Jang
{"title":"无机污泥控制低强度材料的工程特性","authors":"Young-Wook Kim, Gi-Hyeon Kim, Young-Soo Kim, Young-Il Jang","doi":"10.4334/jkci.2023.35.5.5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골재 채취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유동성 채움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단위결합 재량 및 배합요인에 따른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기성 슬러지의 특성 분석 결과 75 μm 이하의 미립분이 약85 %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소성 점토인 CL로 분류되었다. 무기성 슬러지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은 시멘트 복합체의 고형분 함량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CI Committe 229’에서 요구하는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배합조건은 단위결합재량 160 kg/m³ 및 W/B 475 %의 조건에서 확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는 응집제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무기성 슬러지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응집제양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7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Using Inorganic Sludge\",\"authors\":\"Young-Wook Kim, Gi-Hyeon Kim, Young-Soo Kim, Young-Il Jang\",\"doi\":\"10.4334/jkci.2023.35.5.5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골재 채취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유동성 채움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단위결합 재량 및 배합요인에 따른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기성 슬러지의 특성 분석 결과 75 μm 이하의 미립분이 약85 %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소성 점토인 CL로 분류되었다. 무기성 슬러지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은 시멘트 복합체의 고형분 함량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CI Committe 229’에서 요구하는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배합조건은 단위결합재량 160 kg/m³ 및 W/B 475 %의 조건에서 확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는 응집제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무기성 슬러지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응집제양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7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334/jkci.2023.35.5.5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Materials Scienc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334/jkci.2023.35.5.5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Materials Scienc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为了研究骨材开采和生产过程中产生的无机性污泥的流动性填充材料的适用性,将研究根据单位结合裁量和配合因素的物理、力学特性。无机质污泥的特性分析结果显示,75 μm以下的微粒约构成85%,被分类为低素黏土CL。武器充分利用省勒的流动性复议的流动性及材料分离抵抗食物填满水泥复合体的고형분含量的比率在受影响的分析了,在“aci committe 229”要求的流动性,材料分离断然抵抗性及压缩强度特性的配合条件是满足单位结合裁量160 kg / m³及w / b 475 %的条件下确保首的可能了。骨料生产过程中产生的武器省勒虽然发生凝集提议影响,造成材料分离现象,考虑到有可能为了扩大武器落在污泥的利用省,落在污泥中包括凝集第羊对质量管理需要,通过后续的研究将能够扩大操作性值得期待。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Using Inorganic Sludge
본 연구에서는 골재 채취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유동성 채움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단위결합 재량 및 배합요인에 따른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기성 슬러지의 특성 분석 결과 75 μm 이하의 미립분이 약85 %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소성 점토인 CL로 분류되었다. 무기성 슬러지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은 시멘트 복합체의 고형분 함량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CI Committe 229’에서 요구하는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배합조건은 단위결합재량 160 kg/m³ 및 W/B 475 %의 조건에서 확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는 응집제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무기성 슬러지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응집제양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