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融投资产品不当销售受害者特征、投诉行为类型及影响因素研究

Min-Joo Gwak
{"title":"金融投资产品不当销售受害者特征、投诉行为类型及影响因素研究","authors":"Min-Joo Gwak","doi":"10.36029/fpr.2023.08.16.3.11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불완전판매로 인한 금융민원이 발생함에 따라 금융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금융투자상품 이용소비자의 피해 경험과 소비자 불만호소행동의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3년 이내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면서 금융피해를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전문 리서치 업체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금융투자상품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금융 피해 경험을 살펴본 결과, 금융소비자의 위험성향에 맞지 않는 금융상품을 판매하거나 설명의 의무를 게을리하는 등 여전히 불완전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금융소비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금융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대면 방식보다는 비대면 방식으로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투자하는 목적으로 여유자금 마련(28.5%)과 노후자금 마련(26.8%)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금융투자상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 1순위는 금융 전문 웹사이트나 앱(19.2%)이 아닌 SNS(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융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불만호소행동 유형 중 무행동, 금융회사 직접대응, 퇴출, 부정적 구전활동 등을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정신적으로 힘들 것 같아서’(26.5%)와 ‘처리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26.0%)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금융 특성 중 자기과신 성향과 금융지식 수준이 높고, 투자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불만호소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발생한 경우 자신의 불만을 표현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불만호소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00529,"journal":{"name":"FINANCIAL PLANNING REVIEW","volume":"10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Characteristics of Victims of mis-sold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nd a Study on the Types of Complaining Behavior and Determinants\",\"authors\":\"Min-Joo Gwak\",\"doi\":\"10.36029/fpr.2023.08.16.3.11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불완전판매로 인한 금융민원이 발생함에 따라 금융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금융투자상품 이용소비자의 피해 경험과 소비자 불만호소행동의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3년 이내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면서 금융피해를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전문 리서치 업체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금융투자상품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금융 피해 경험을 살펴본 결과, 금융소비자의 위험성향에 맞지 않는 금융상품을 판매하거나 설명의 의무를 게을리하는 등 여전히 불완전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금융소비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금융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대면 방식보다는 비대면 방식으로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투자하는 목적으로 여유자금 마련(28.5%)과 노후자금 마련(26.8%)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금융투자상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 1순위는 금융 전문 웹사이트나 앱(19.2%)이 아닌 SNS(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융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불만호소행동 유형 중 무행동, 금융회사 직접대응, 퇴출, 부정적 구전활동 등을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정신적으로 힘들 것 같아서’(26.5%)와 ‘처리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26.0%)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금융 특성 중 자기과신 성향과 금융지식 수준이 높고, 투자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불만호소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발생한 경우 자신의 불만을 표현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불만호소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00529,\"journal\":{\"name\":\"FINANCIAL PLANNING REVIEW\",\"volume\":\"10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FINANCIAL PLANNING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029/fpr.2023.08.16.3.1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FINANCIAL PLANNING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029/fpr.2023.08.16.3.1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是金融消费者保护制度得以实行,但仍因售不完全金融发生信访,随着金融损失可以减少方案,金融投资商品,利用消费者的损失经验和消费者不满察看了呼吁行动的决定。为此,以最近3年内进行金融投资商品交易时遭受金融损失的消费者为对象,利用网上专门调查企业实施了问卷调查,主要研究结果如下。你们第一,利用金融投资商品的消费者的金融损失经验观察结果,金融消费者的危险倾向,不符合金融商品销售或疏于解释的义务等仍不完全销售实现金融消费者们认识了。第二,有金融受害经验的消费者以非面对面方式购买金融投资商品的比率高于面对面方式,以投资为目的筹集剩余资金(28.5%)和筹集养老资金(26.8%)的比率较高。另外,获得金融投资商品相关信息的途径第一位不是金融专门网站或应用程序(19.2%),而是SNS(21.5%)。第三,有金融受害经验的消费者在不满号召行动类型中,主要进行无行动、直接应对金融公司、退出、否定性口头活动等。特别是,对于不采取任何行动的原因,26.5%的人认为“精神上可能会很吃力”,26.0%的人认为“不知道如何处理”。第四,在金融特性中,自我过度信任倾向和金融知识水平高,有投资者教育经验的人会积极呼吁不满。第五,在金融投资商品交易过程中发生损失时,影响表达自己不满的主要变数是对呼吁不满行动的肯定态度。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Characteristics of Victims of mis-sold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nd a Study on the Types of Complaining Behavior and Determinants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불완전판매로 인한 금융민원이 발생함에 따라 금융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금융투자상품 이용소비자의 피해 경험과 소비자 불만호소행동의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최근 3년 이내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면서 금융피해를 경험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전문 리서치 업체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금융투자상품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금융 피해 경험을 살펴본 결과, 금융소비자의 위험성향에 맞지 않는 금융상품을 판매하거나 설명의 의무를 게을리하는 등 여전히 불완전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금융소비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금융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대면 방식보다는 비대면 방식으로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투자하는 목적으로 여유자금 마련(28.5%)과 노후자금 마련(26.8%)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금융투자상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 1순위는 금융 전문 웹사이트나 앱(19.2%)이 아닌 SNS(21.5%)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융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불만호소행동 유형 중 무행동, 금융회사 직접대응, 퇴출, 부정적 구전활동 등을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정신적으로 힘들 것 같아서’(26.5%)와 ‘처리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26.0%)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금융 특성 중 자기과신 성향과 금융지식 수준이 높고, 투자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적극적인 불만호소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는 과정에서 피해가 발생한 경우 자신의 불만을 표현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불만호소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The Value of Holistic Financial Advice Investors' Response to Market Volatility and Financial Sophistication Issue Information Delaying until it is definitely too late –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procrastination in estate planning Mapping the Terrain: Strategies for Building Effective University Financial Planning Program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