历时视角下的多词性研究2——以脱语法化为中心

Won-young Heo, Dae-hee Choi
{"title":"历时视角下的多词性研究2——以脱语法化为中心","authors":"Won-young Heo, Dae-hee Choi","doi":"10.30774/yjll.2023.06.54.16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통시적 관점의 일환으로써 문법화 현상을 통한 품사 통용의 해석을 시도했다면, 여기서는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통시적 연구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조명한다.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문법화를 통해 품사 통용의 통시적 해석을 시도했다. 그 주된 논의는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품사의 위계를 나누고, 품사 통용의 원인을 “문법화에 놓인 단어의 탈범주화”로 설명하는 것이다. 물론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품사 통용의 모든 사례를 문법화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도 언급한다. 아울러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를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 보았다. 이들은 어원,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라는 세 가지 근거를 통해 역문법화가 증명된다. 3장에서는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는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가 있다. 우선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는 그 어원을 따짐으로써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언제’는 ‘어느 + 적 + -의’의 구성이 한 단어로 준 것이다. 이때의 ‘-의’는 부사격조사이므로 ‘언제’의 기본 품사는 부사이다. 즉 대명사 ‘언제’는 부사 ‘언제’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또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는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 ‘하나, 둘, 셋, 넷, …’의 연속적인 양수사 관계를 갖는다. 이때 같은 양수사인 ‘둘, 셋, 넷, …’ 등은 모두 명사로 쓰이지 않는다. 이들의 연속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면, ‘하나’의 기본 품사는 ‘수사’로 봐야 한다. 즉 명사 ‘하나’는 수사 ‘하나’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한편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는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보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조사로 쓰이기 시작하는데, 부사의 쓰임새는 20세기에 와서야 확인된다. 이는 ‘보다’의 기본 품사를 조사로 봐야 하는 근거이다. 즉 부사 ‘보다’는 조사 ‘보다’가 역문법화된 것이다.","PeriodicalId":497977,"journal":{"name":"Yeongju eo'mun","volume":"1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tudy on the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2 - Focused on the Degrammaticalization -\",\"authors\":\"Won-young Heo, Dae-hee Choi\",\"doi\":\"10.30774/yjll.2023.06.54.16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통시적 관점의 일환으로써 문법화 현상을 통한 품사 통용의 해석을 시도했다면, 여기서는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통시적 연구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조명한다.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문법화를 통해 품사 통용의 통시적 해석을 시도했다. 그 주된 논의는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품사의 위계를 나누고, 품사 통용의 원인을 “문법화에 놓인 단어의 탈범주화”로 설명하는 것이다. 물론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품사 통용의 모든 사례를 문법화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도 언급한다. 아울러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를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 보았다. 이들은 어원,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라는 세 가지 근거를 통해 역문법화가 증명된다. 3장에서는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는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가 있다. 우선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는 그 어원을 따짐으로써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언제’는 ‘어느 + 적 + -의’의 구성이 한 단어로 준 것이다. 이때의 ‘-의’는 부사격조사이므로 ‘언제’의 기본 품사는 부사이다. 즉 대명사 ‘언제’는 부사 ‘언제’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또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는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 ‘하나, 둘, 셋, 넷, …’의 연속적인 양수사 관계를 갖는다. 이때 같은 양수사인 ‘둘, 셋, 넷, …’ 등은 모두 명사로 쓰이지 않는다. 이들의 연속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면, ‘하나’의 기본 품사는 ‘수사’로 봐야 한다. 즉 명사 ‘하나’는 수사 ‘하나’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한편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는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보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조사로 쓰이기 시작하는데, 부사의 쓰임새는 20세기에 와서야 확인된다. 이는 ‘보다’의 기본 품사를 조사로 봐야 하는 근거이다. 즉 부사 ‘보다’는 조사 ‘보다’가 역문법화된 것이다.\",\"PeriodicalId\":497977,\"journal\":{\"name\":\"Yeongju eo'mun\",\"volume\":\"1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eongju eo'mu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4/yjll.2023.06.54.1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eongju eo'mu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0774/yjll.2023.06.54.1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这项研究试图从通诗的观点来解释词类通用。以前的研究试图通过语法化现象解释词类通用,而在这里则以反语法化现象为中心解释词类通用。第2章将介绍对词类通用的通时性研究的成果和局限性。在许元英、崔大熙(2022)上,试图通过语法化来解释词类通用的通时性。其主要讨论是根据语法性的程度划分词类的等级,将词类通用的原因解释为“语法化中单词的脱范畴化”。当然,在许元英、崔大熙(2022)中也提到了不能用语法解释所有词类通用的事例的事实。同时还将“副词-代名词”通用语“什么时候”、“修辞-名词”通用语“一个”、“调查-副词”通用语“看”视为通过反语法化的词类通用事例。通过语源、与连续单词的关系、文献中登场时期等三个根据,可以证明逆向语法化。第三章具体记述了通过反语法化的词类通用事例。通过反语法化的词类通用事例有“副词-代名词”通用语“何时”、“修辞-名词”通用语“一个”、“调查-副词”通用语“看”。首先,通过分析“副词-代名词”的通用语“何时”的语源,可以证明逆向语法化。“什么时候”是由“某个+积+ -的”构成用一个词给的。这时的“-义”是副词格调词,所以“何时”的基本词类是副词。也就是说,代名词“什么时候”是副词“什么时候”的反语法化。另外,“修辞-名词”的通用语“一”可以在与连续单词的关系中证明反语法化。“一”有“一、二、三、四、……”的连续受让关系。这时,同样的正数“二,三,四,……”等都不作为名词使用。考虑到他们之间的连续关系,“一个”的基本词类应该看作是“修辞”。也就是说名词“一”是修辞“一”的反语法化。另外,“助词-副词”的通用语“看”在文献中登场的时期,可以证明反语法化。“看”从18世纪文献开始作为调查,副词的用途直到20世纪才被确认。这是调查“看”的基本词类的根据。即副词“看”是调查“看”的反语法化。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Study on the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2 - Focused on the Degrammaticalization -
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통시적 관점의 일환으로써 문법화 현상을 통한 품사 통용의 해석을 시도했다면, 여기서는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통시적 연구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조명한다.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문법화를 통해 품사 통용의 통시적 해석을 시도했다. 그 주된 논의는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품사의 위계를 나누고, 품사 통용의 원인을 “문법화에 놓인 단어의 탈범주화”로 설명하는 것이다. 물론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품사 통용의 모든 사례를 문법화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도 언급한다. 아울러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를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 보았다. 이들은 어원,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라는 세 가지 근거를 통해 역문법화가 증명된다. 3장에서는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는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가 있다. 우선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는 그 어원을 따짐으로써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언제’는 ‘어느 + 적 + -의’의 구성이 한 단어로 준 것이다. 이때의 ‘-의’는 부사격조사이므로 ‘언제’의 기본 품사는 부사이다. 즉 대명사 ‘언제’는 부사 ‘언제’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또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는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 ‘하나, 둘, 셋, 넷, …’의 연속적인 양수사 관계를 갖는다. 이때 같은 양수사인 ‘둘, 셋, 넷, …’ 등은 모두 명사로 쓰이지 않는다. 이들의 연속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면, ‘하나’의 기본 품사는 ‘수사’로 봐야 한다. 즉 명사 ‘하나’는 수사 ‘하나’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한편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는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보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조사로 쓰이기 시작하는데, 부사의 쓰임새는 20세기에 와서야 확인된다. 이는 ‘보다’의 기본 품사를 조사로 봐야 하는 근거이다. 즉 부사 ‘보다’는 조사 ‘보다’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Study on the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2 - Focused on the Degrammaticalization -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