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考虑城市和公路能耗的c级电动汽车行驶里程优化","authors":"Jinhyuk Seok, Hanbit Lee, Jongsoo Lee","doi":"10.3795/ksme-a.2023.47.9.7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에서는 C-segment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에 대한 설계 인자를 분석하고, 제안된 조건과 결합하여 최적의 주행거리를 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RUISE M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차량 시스템 수준의 1D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심 및 고속도로 주행 조건에서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해석한다. CRUISE M 사용 프로그램은 개념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써 완성차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는 정부 공인 인증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확인한다. 해석의 설계 인자는 주행거리와의 영향도를 분석하여 선별한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를 빠르게 추정할 수 있는 대리 모델을 생성하고 NSGA-2를 이용해 제한 조건을 반영한 최적 설계를 도출한다. 최적 설계 결과는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확보한다.","PeriodicalId":23293,"journal":{"name":"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volume":"68 1","pages":"0"},"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Driving Mileage Optimization of a C-segment Electric Vehicle Considering City and Highway Energy Consumption\",\"authors\":\"Jinhyuk Seok, Hanbit Lee, Jongsoo Lee\",\"doi\":\"10.3795/ksme-a.2023.47.9.7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에서는 C-segment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에 대한 설계 인자를 분석하고, 제안된 조건과 결합하여 최적의 주행거리를 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RUISE M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차량 시스템 수준의 1D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심 및 고속도로 주행 조건에서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해석한다. CRUISE M 사용 프로그램은 개념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써 완성차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는 정부 공인 인증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확인한다. 해석의 설계 인자는 주행거리와의 영향도를 분석하여 선별한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를 빠르게 추정할 수 있는 대리 모델을 생성하고 NSGA-2를 이용해 제한 조건을 반영한 최적 설계를 도출한다. 최적 설계 결과는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확보한다.\",\"PeriodicalId\":23293,\"journal\":{\"name\":\"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volume\":\"68 1\",\"pages\":\"0\"},\"PeriodicalIF\":0.2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95/ksme-a.2023.47.9.7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ENGINEERING, MECHANICAL\",\"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95/ksme-a.2023.47.9.7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ENGINEERING, MECHANICAL","Score":null,"Total":0}
Driving Mileage Optimization of a C-segment Electric Vehicle Considering City and Highway Energy Consumption
본 논문에서는 C-segment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에 대한 설계 인자를 분석하고, 제안된 조건과 결합하여 최적의 주행거리를 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RUISE M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차량 시스템 수준의 1D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심 및 고속도로 주행 조건에서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해석한다. CRUISE M 사용 프로그램은 개념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써 완성차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는 정부 공인 인증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확인한다. 해석의 설계 인자는 주행거리와의 영향도를 분석하여 선별한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를 빠르게 추정할 수 있는 대리 모델을 생성하고 NSGA-2를 이용해 제한 조건을 반영한 최적 설계를 도출한다. 최적 설계 결과는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확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