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预备教师的市民教育力量强化教育方案研究","authors":"김국현","doi":"10.15801/je.1.125.201906.25","DOIUrl":null,"url":null,"abstract":"초·중등학교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발달과 이에 기초한 학교 시민교육 역량발달을 목표로 포함한다.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교원양성대학별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표준 모델을 구안하고 타당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교육 역량발달은 전공 및 교양과정, 생활관교육과정, 현직교사의 협업교육 같은 학부-대학원 연계, 대학별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예비교사의 학교 시민성, 지역 시민성, 국가 시민성, 세계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발달과 함께 학교 시민교육을 설계 및 실행하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 역량강화 교육과정 신설 및 개선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자각과 공동체 삶에서의 변혁적 실천을 위해서는 민주적 자기 결정권과 책무성을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 학습하도록 교수와 예비교사 수강생의 시민교육 교육과정 공동설계(citizenship curriculum co-design)와 같은 시민교육의 민주적 혁신이 중요하다.","PeriodicalId":35843,"journal":{"name":"Journal of Ethics","volume":"49 1","pages":"25-49"},"PeriodicalIF":0.9000,"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 교육방안 연구\",\"authors\":\"김국현\",\"doi\":\"10.15801/je.1.125.201906.25\",\"DOIUrl\":null,\"url\":null,\"abstract\":\"초·중등학교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발달과 이에 기초한 학교 시민교육 역량발달을 목표로 포함한다.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교원양성대학별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표준 모델을 구안하고 타당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교육 역량발달은 전공 및 교양과정, 생활관교육과정, 현직교사의 협업교육 같은 학부-대학원 연계, 대학별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예비교사의 학교 시민성, 지역 시민성, 국가 시민성, 세계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발달과 함께 학교 시민교육을 설계 및 실행하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 역량강화 교육과정 신설 및 개선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자각과 공동체 삶에서의 변혁적 실천을 위해서는 민주적 자기 결정권과 책무성을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 학습하도록 교수와 예비교사 수강생의 시민교육 교육과정 공동설계(citizenship curriculum co-design)와 같은 시민교육의 민주적 혁신이 중요하다.\",\"PeriodicalId\":35843,\"journal\":{\"name\":\"Journal of Ethics\",\"volume\":\"49 1\",\"pages\":\"25-49\"},\"PeriodicalIF\":0.9000,\"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th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01/je.1.125.201906.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ETHICS\",\"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Eth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801/je.1.125.201906.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ETHICS","Score":null,"Total":0}
초·중등학교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발달과 이에 기초한 학교 시민교육 역량발달을 목표로 포함한다. 예비교사의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교원양성대학별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표준 모델을 구안하고 타당한 접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교육 역량발달은 전공 및 교양과정, 생활관교육과정, 현직교사의 협업교육 같은 학부-대학원 연계, 대학별 연수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다. 시민교육 역량 강화교육은 예비교사의 학교 시민성, 지역 시민성, 국가 시민성, 세계 시민성, 디지털 시민성 발달과 함께 학교 시민교육을 설계 및 실행하는 전문성을 함양하는 시민교육 역량강화 교육과정 신설 및 개선을 통해 추진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의 시민 정체성 자각과 공동체 삶에서의 변혁적 실천을 위해서는 민주적 자기 결정권과 책무성을 구체적인 삶의 체험으로 학습하도록 교수와 예비교사 수강생의 시민교육 교육과정 공동설계(citizenship curriculum co-design)와 같은 시민교육의 민주적 혁신이 중요하다.
期刊介绍:
The Journal of Ethics: An International Philosophical Review seeks to publish articles on a wide range of topics in ethics, philosophically construed, including such areas as ethical theory, social, political, and legal philosophy, applied ethics, meta-ethics, the metaphysics of morality, and the history of ethics. The Journal of Ethics publishes work from a wide variety of styl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analytic tradition and hermeneutics. The Journal of Ethics is also interested in ethical thinking that is enriched by psychology, sociology and other empirical disciplines. The Journal of Ethics is primarily an organ of philosophical research, although it publishes work on topics of concern to academics and professionals alike. The journal also seeks to publish the highest quality commentaries on works published in its pages. Its double-blind review process must ensure analytical acuity as well as depth and range of philosophical scholarship.
At the moment, the journal does not publish book re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