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语音障碍儿童的非母语言语加工","authors":"임동선","doi":"10.15724/JSLHD.2010.19.4.0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말 처리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 중 하나인, 외국인의 억양을 이용하여 음운장애 아동의 어려움이 소리 개념(sound representation)에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비원어민의 말, 즉 모국어가 다른 외국인의 말(non-native speech) 처리능력을 비교하였다. 총 55명의...","PeriodicalId":76660,"journal":{"name":"Th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volume":"19 1","pages":"133-14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0-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Non-native Speech Processing by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authors\":\"임동선\",\"doi\":\"10.15724/JSLHD.2010.19.4.0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말 처리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 중 하나인, 외국인의 억양을 이용하여 음운장애 아동의 어려움이 소리 개념(sound representation)에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비원어민의 말, 즉 모국어가 다른 외국인의 말(non-native speech) 처리능력을 비교하였다. 총 55명의...\",\"PeriodicalId\":76660,\"journal\":{\"name\":\"Th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volume\":\"19 1\",\"pages\":\"133-146\"},\"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0-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24/JSLHD.2010.19.4.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24/JSLHD.2010.19.4.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Non-native Speech Processing by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본 연구의 목적은 말 처리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 중 하나인, 외국인의 억양을 이용하여 음운장애 아동의 어려움이 소리 개념(sound representation)에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운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비원어민의 말, 즉 모국어가 다른 외국인의 말(non-native speech) 처리능력을 비교하였다. 총 55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