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神病中的投射性认同与约翰·马尔科维奇

IF 0.1 4区 艺术学 0 FILM, RADIO, TELEVISION Cineforum Pub Date : 2015-08-31 DOI:10.19119/CF.2015.08.21.39
Jungmin Oh
{"title":"精神病中的投射性认同与约翰·马尔科维奇","authors":"Jungmin Oh","doi":"10.19119/CF.2015.08.21.3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여러 개념 중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다루되, 알프레드 히치콕의 (1960)와 스파이크 존스의 (1960)라는 두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I부에서는 프로이트, 페렌치, 아브라함이 말하는 외부투사와 내부투사의 의미를 정리한다. 그리고 II부에서는 외부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게 되는 동기나 조건인 갈망과 선망, 부인(否認)을 검토한 후 투사 대상을 비워내는 문제나 대상의 고유자질에 대한 문제등의 특징을 다룬다. 이 때, 같은 외부투사적 동일시란기제라도 바로 ‘입장 고안’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점 역시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의 노먼의 경우는 외부로 투사되는 자신의 부분이 투사대상인 어머니 안에 완전히 매몰되지만 의 크랙, 라티, 맥신 등은 ‘입장 고안’에 성공하였기에 각자의 리비도와 꿈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논함에 있어 두 영화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기에 노먼의 심리는 실지로 정신 분석할 만한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다. 반면 는 인물들 자체의 정신분석적 가치 외에도, ‘인형극’이나 ‘통로’라는 영화적 설정으로써 외부투사적 동일시란 무의식적 심리기제를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PeriodicalId":10322,"journal":{"name":"Cineforum","volume":"21 1","pages":"39-74"},"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5-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rojective Identification in Psycho and Being John Malkovich\",\"authors\":\"Jungmin Oh\",\"doi\":\"10.19119/CF.2015.08.21.3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여러 개념 중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다루되, 알프레드 히치콕의 (1960)와 스파이크 존스의 (1960)라는 두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I부에서는 프로이트, 페렌치, 아브라함이 말하는 외부투사와 내부투사의 의미를 정리한다. 그리고 II부에서는 외부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게 되는 동기나 조건인 갈망과 선망, 부인(否認)을 검토한 후 투사 대상을 비워내는 문제나 대상의 고유자질에 대한 문제등의 특징을 다룬다. 이 때, 같은 외부투사적 동일시란기제라도 바로 ‘입장 고안’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점 역시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의 노먼의 경우는 외부로 투사되는 자신의 부분이 투사대상인 어머니 안에 완전히 매몰되지만 의 크랙, 라티, 맥신 등은 ‘입장 고안’에 성공하였기에 각자의 리비도와 꿈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논함에 있어 두 영화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기에 노먼의 심리는 실지로 정신 분석할 만한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다. 반면 는 인물들 자체의 정신분석적 가치 외에도, ‘인형극’이나 ‘통로’라는 영화적 설정으로써 외부투사적 동일시란 무의식적 심리기제를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PeriodicalId\":10322,\"journal\":{\"name\":\"Cineforum\",\"volume\":\"21 1\",\"pages\":\"39-74\"},\"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5-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ine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119/CF.2015.08.21.39\",\"RegionNum\":4,\"RegionCategory\":\"艺术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FILM, RADIO, TELEVISION\",\"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ine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119/CF.2015.08.21.39","RegionNum":4,"RegionCategory":"艺术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FILM, RADIO, TELEVISION","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本研究在精神分析学的多个概念中,将其视为外部斗士,并以阿尔弗雷德·希区科克(1960年)和斯克·琼斯(1960年)两部电影为对象进行了分析。为此,I部整理了弗洛伊德,费伦奇,亚伯拉罕所说的外部斗士和内部斗士的意义。在第II部中,他研究了外部投射同一性的动机和条件,即渴望和羡慕,以及在研究了否定之后,排除投射对象的问题,以及对象的固有素质问题等特征。在这种情况下,即使是同样的外部斗士式的等同看待机制,也会根据“立场构思”的成功与否,呈现出多样的形态,这一点也可以具体地证明。《诺曼》的情况是,投射到外部的自己部分完全被投射到投射对象的母亲体内,但《诺曼》的快克、拉蒂、玛克辛等人成功地完成了“立场构思”,从而实现了各自的利比多和梦想。同时,在以外部斗士的等同看待为中心进行讨论时,应关注两部电影的不同点。因为是真实故事的基础,所以诺曼的心理有充分的现实根据可以进行精神分析。相反,除了人物本身的精神分析价值外,通过“木偶剧”或“通道”等电影设定,象征性地体现了外部斗士的等同看待无意识的心理机制。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Psycho and Being John Malkovich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의 여러 개념 중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다루되, 알프레드 히치콕의 (1960)와 스파이크 존스의 (1960)라는 두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I부에서는 프로이트, 페렌치, 아브라함이 말하는 외부투사와 내부투사의 의미를 정리한다. 그리고 II부에서는 외부투사적 동일시가 일어나게 되는 동기나 조건인 갈망과 선망, 부인(否認)을 검토한 후 투사 대상을 비워내는 문제나 대상의 고유자질에 대한 문제등의 특징을 다룬다. 이 때, 같은 외부투사적 동일시란기제라도 바로 ‘입장 고안’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띤다는 점 역시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의 노먼의 경우는 외부로 투사되는 자신의 부분이 투사대상인 어머니 안에 완전히 매몰되지만 의 크랙, 라티, 맥신 등은 ‘입장 고안’에 성공하였기에 각자의 리비도와 꿈을 실현시킨다. 아울러, 외부투사적 동일시를 중심으로 논함에 있어 두 영화의 차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기에 노먼의 심리는 실지로 정신 분석할 만한 현실적 근거가 충분하다. 반면 는 인물들 자체의 정신분석적 가치 외에도, ‘인형극’이나 ‘통로’라는 영화적 설정으로써 외부투사적 동일시란 무의식적 심리기제를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Cineforum
Cineforum FILM, RADIO, TELEVISION-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Memory and Oblivion: Bong Joon-ho"s Mother A Filmic Narrative for Postwar Democracy: Shohei Imamura"s Jukigeki during the high-growth period A Generic Study of Male Melodrama in the Post-IMF Korean Cinema How does a film produce ‘the Real’?: A focus on Declaration of Idiot (1983)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Representation of women in film of Lee Changdong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