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鸟人的单镜头效果:现实主义美学与幻觉","authors":"Jae-Hyung Ryu","doi":"10.19119/CF.2016.04.23.75","DOIUrl":null,"url":null,"abstract":"(Birdman, 2014)은 아카데미(Academy Awards), 골든 글로브(Golden Globe Awards)를 비롯한 전 세계 90여 시상식에서 249개 부문의 수상 후보가 되었음은 물론 이 중 173개의 트로피를 차지함으로써 그 작품성을 공히 인정받은 바 있다. 이 이처럼 작품성을 인정받은 데에는 주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영화 전체가 싱글 쇼트 영화(single shot film)인 것처럼 연출된 롱 테이크 기교, 즉 싱글 쇼트 효과(single shot effect)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이 연구는 에서 재현되는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적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답을 구하기 위해 롱 테이크 미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롱 테이크 기법과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에서 사실주의 미학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장면들과 사실주의적 환상을 재현하는 장면들에 대한 세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싱글 쇼트 효과는 내러티브와의 관련성 및 그 표현적 의도에 따라 때로는 사실주의적 롱 테이크 미학을 취하고 때로는 사실주의적 환상을 창조하면서 롱 테이크의 정 반대 지점에 위치하기도 하였다. 롱 테이크를 자처하는 하나의 기교가 사실주의와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싱글 쇼트 효과는 하나의 기교이지만 이 연구는 이에 대해 특수효과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사실주의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롱 테이크와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 연구를 이론적 토대로 삼아 사실주의 담론 하에서의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사실주의 이론과 롱 테이크 담론의 확장을 꾀하였다는 데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수효과로서의 기능적 측면보다 사실주의의 미학적 측면에 집중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인 동시에 효율성이라 하겠다.","PeriodicalId":10322,"journal":{"name":"Cineforum","volume":"23 1","pages":"75-110"},"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Birdman's Single Shot Effect: Realist Aesthetics and the Illusion\",\"authors\":\"Jae-Hyung Ryu\",\"doi\":\"10.19119/CF.2016.04.23.75\",\"DOIUrl\":null,\"url\":null,\"abstract\":\"(Birdman, 2014)은 아카데미(Academy Awards), 골든 글로브(Golden Globe Awards)를 비롯한 전 세계 90여 시상식에서 249개 부문의 수상 후보가 되었음은 물론 이 중 173개의 트로피를 차지함으로써 그 작품성을 공히 인정받은 바 있다. 이 이처럼 작품성을 인정받은 데에는 주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영화 전체가 싱글 쇼트 영화(single shot film)인 것처럼 연출된 롱 테이크 기교, 즉 싱글 쇼트 효과(single shot effect)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이 연구는 에서 재현되는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적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답을 구하기 위해 롱 테이크 미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롱 테이크 기법과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에서 사실주의 미학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장면들과 사실주의적 환상을 재현하는 장면들에 대한 세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싱글 쇼트 효과는 내러티브와의 관련성 및 그 표현적 의도에 따라 때로는 사실주의적 롱 테이크 미학을 취하고 때로는 사실주의적 환상을 창조하면서 롱 테이크의 정 반대 지점에 위치하기도 하였다. 롱 테이크를 자처하는 하나의 기교가 사실주의와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싱글 쇼트 효과는 하나의 기교이지만 이 연구는 이에 대해 특수효과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사실주의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롱 테이크와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 연구를 이론적 토대로 삼아 사실주의 담론 하에서의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사실주의 이론과 롱 테이크 담론의 확장을 꾀하였다는 데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수효과로서의 기능적 측면보다 사실주의의 미학적 측면에 집중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인 동시에 효율성이라 하겠다.\",\"PeriodicalId\":10322,\"journal\":{\"name\":\"Cineforum\",\"volume\":\"23 1\",\"pages\":\"75-110\"},\"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6-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ine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119/CF.2016.04.23.75\",\"RegionNum\":4,\"RegionCategory\":\"艺术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FILM, RADIO, TELEVISION\",\"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ineforum","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9119/CF.2016.04.23.75","RegionNum":4,"RegionCategory":"艺术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0","JCRName":"FILM, RADIO, TELEVISION","Score":null,"Total":0}
Birdman's Single Shot Effect: Realist Aesthetics and the Illusion
(Birdman, 2014)은 아카데미(Academy Awards), 골든 글로브(Golden Globe Awards)를 비롯한 전 세계 90여 시상식에서 249개 부문의 수상 후보가 되었음은 물론 이 중 173개의 트로피를 차지함으로써 그 작품성을 공히 인정받은 바 있다. 이 이처럼 작품성을 인정받은 데에는 주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영화 전체가 싱글 쇼트 영화(single shot film)인 것처럼 연출된 롱 테이크 기교, 즉 싱글 쇼트 효과(single shot effect)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이 연구는 에서 재현되는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적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답을 구하기 위해 롱 테이크 미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롱 테이크 기법과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에서 사실주의 미학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장면들과 사실주의적 환상을 재현하는 장면들에 대한 세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싱글 쇼트 효과는 내러티브와의 관련성 및 그 표현적 의도에 따라 때로는 사실주의적 롱 테이크 미학을 취하고 때로는 사실주의적 환상을 창조하면서 롱 테이크의 정 반대 지점에 위치하기도 하였다. 롱 테이크를 자처하는 하나의 기교가 사실주의와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싱글 쇼트 효과는 하나의 기교이지만 이 연구는 이에 대해 특수효과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사실주의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롱 테이크와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 연구를 이론적 토대로 삼아 사실주의 담론 하에서의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사실주의 이론과 롱 테이크 담론의 확장을 꾀하였다는 데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수효과로서의 기능적 측면보다 사실주의의 미학적 측면에 집중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인 동시에 효율성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