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 Park, Dong-Hwa Kang, Michael Kong, Eun-Ji Kim, Yefang Lee, Ye-Ji Jo, M. Jung
{"title":"光学系统制造中小误差影响下火焰探测器测试灯反射面形状的研究","authors":"H. Park, Dong-Hwa Kang, Michael Kong, Eun-Ji Kim, Yefang Lee, Ye-Ji Jo, M. Jung","doi":"10.3807/KJOP.2018.29.6.233","DOIUrl":null,"url":null,"abstract":"불꽃감지기란 불꽃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파장을 감지하는 장치로,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탐지하여 인간이 인지 가능하 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불꽃감지기용 테스트램프는 불꽃과 비슷한 파장대의 빛을 방사시키는 휴대용 조명 기구로, 불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충분히 성능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불꽃감지기 성능 확인에 사용된다. 실제 화재에 가까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테스트램프는 높 은 광량의 빛을 평행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중앙 빛을 제어하는 반사경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는 것 이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해 제작 시 성능이 크게 떨어져 충 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광학계 내부 에 사용되는 반사경의 형상, 위치 및 제작 공차에 대한 분석 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거리 8000 mm, 조사영역 1000 mm × Study of the Reflector Shape of a Test Lamp for a Flame Detector with Little Influence of Error in Optical-system Fabrication","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29 1","pages":"233-240"},"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8-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Study of the Reflector Shape of a Test Lamp for a Flame Detector with Little Influence of Error in Optical-system Fabrication\",\"authors\":\"H. Park, Dong-Hwa Kang, Michael Kong, Eun-Ji Kim, Yefang Lee, Ye-Ji Jo, M. Jung\",\"doi\":\"10.3807/KJOP.2018.29.6.233\",\"DOIUrl\":null,\"url\":null,\"abstract\":\"불꽃감지기란 불꽃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파장을 감지하는 장치로,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탐지하여 인간이 인지 가능하 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불꽃감지기용 테스트램프는 불꽃과 비슷한 파장대의 빛을 방사시키는 휴대용 조명 기구로, 불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충분히 성능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불꽃감지기 성능 확인에 사용된다. 실제 화재에 가까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테스트램프는 높 은 광량의 빛을 평행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중앙 빛을 제어하는 반사경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는 것 이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해 제작 시 성능이 크게 떨어져 충 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광학계 내부 에 사용되는 반사경의 형상, 위치 및 제작 공차에 대한 분석 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거리 8000 mm, 조사영역 1000 mm × Study of the Reflector Shape of a Test Lamp for a Flame Detector with Little Influence of Error in Optical-system Fabrication\",\"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29 1\",\"pages\":\"233-240\"},\"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8-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7/KJOP.2018.29.6.2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OPTICS\",\"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7/KJOP.2018.29.6.2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OPTIC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火花感知器是感知火花产生的特殊波长的装置,在初期迅速探测火灾,发出人类可以认知的信号。火花感知器用测试灯是放射与火花相似波长的光的便携式照明器具,具有在不能使用火的场所也可以充分进行性能评价的优点,因此被用于确认火花感知器的性能。为了营造接近火灾的环境,测试灯的高光量的光平行进行非常重要。但是由于很难正确固定控制中央光的反射镜的位置的缺点,在制作时性能大幅下降,不能起到充分的功能的情况较多。因此,有必要对光学学界内部使用的反射镜的形状、位置及制作空差进行分析。本论文调查距离8000毫米,调查区域1000毫米× Study of the Reflector Shape of a Test Lamp for a Flame Detector with Little Influence of Error in Optical-system Fabrication
Study of the Reflector Shape of a Test Lamp for a Flame Detector with Little Influence of Error in Optical-system Fabrication
불꽃감지기란 불꽃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파장을 감지하는 장치로,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탐지하여 인간이 인지 가능하 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불꽃감지기용 테스트램프는 불꽃과 비슷한 파장대의 빛을 방사시키는 휴대용 조명 기구로, 불을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서도 충분히 성능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불꽃감지기 성능 확인에 사용된다. 실제 화재에 가까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테스트램프는 높 은 광량의 빛을 평행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중앙 빛을 제어하는 반사경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는 것 이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해 제작 시 성능이 크게 떨어져 충 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광학계 내부 에 사용되는 반사경의 형상, 위치 및 제작 공차에 대한 분석 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조사거리 8000 mm, 조사영역 1000 mm × Study of the Reflector Shape of a Test Lamp for a Flame Detector with Little Influence of Error in Optical-system Fabr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