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最小入射角影响的多周期孔阵列等离子体彩色滤光片","authors":"Ki Won Jeong, Y. Do","doi":"10.3807/KJOP.2020.31.3.148","DOIUrl":null,"url":null,"abstract":"컬러필터는 빛에서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을 분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액정 디스 플레이, 이미지 센서 등 이미징 디바이스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컬러필터는 안 료와 염료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빛, 열 및 화학물질 노출에 의해 색이 변하거나 필터성능이 저하된다. 이런 내구 성 문제는 디스플레이의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더 불어 일반적인 컬러필터 제작에 사용되는 포토 리소그래피, 잉크젯 프린팅은 제작할 수 있는 화소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지고 화소의 크기가 작아지는 이미징 디 바이스의 동향에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컬러필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Polyperiodic-hole-array Plasmonic Color Filter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Angle of Incidence","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1 1","pages":"148-154"},"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Polyperiodic-hole-array Plasmonic Color Filter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Angle of Incidence\",\"authors\":\"Ki Won Jeong, Y. Do\",\"doi\":\"10.3807/KJOP.2020.31.3.148\",\"DOIUrl\":null,\"url\":null,\"abstract\":\"컬러필터는 빛에서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을 분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액정 디스 플레이, 이미지 센서 등 이미징 디바이스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컬러필터는 안 료와 염료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빛, 열 및 화학물질 노출에 의해 색이 변하거나 필터성능이 저하된다. 이런 내구 성 문제는 디스플레이의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더 불어 일반적인 컬러필터 제작에 사용되는 포토 리소그래피, 잉크젯 프린팅은 제작할 수 있는 화소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지고 화소의 크기가 작아지는 이미징 디 바이스의 동향에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컬러필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Polyperiodic-hole-array Plasmonic Color Filter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Angle of Incidence\",\"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1 1\",\"pages\":\"148-154\"},\"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7/KJOP.2020.31.3.14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OPTICS\",\"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7/KJOP.2020.31.3.14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OPTIC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彩色过滤器具有将人类在光线中能够识别的可视光线领域进行分类的特性,这一特性被用于液晶显示器、图像传感器等成像设备领域。但是,一般广泛使用的彩色过滤器使用眼药水和染料制作而成,因此会因光、热及化学物质的暴露而变色或降低过滤性能。这种耐久性问题直接影响显示屏的寿命。更夸张的是,一般彩色过滤器制作时使用的图像处理、喷墨打印,由于所能制作的像素大小有限,不适合厚度变薄、像素变小的影像设备的动向。Polyperiodic-hole-array Plasmonic Color Filter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Angle of Incidence
Polyperiodic-hole-array Plasmonic Color Filter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Angle of Incidence
컬러필터는 빛에서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을 분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액정 디스 플레이, 이미지 센서 등 이미징 디바이스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컬러필터는 안 료와 염료를 사용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빛, 열 및 화학물질 노출에 의해 색이 변하거나 필터성능이 저하된다. 이런 내구 성 문제는 디스플레이의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더 불어 일반적인 컬러필터 제작에 사용되는 포토 리소그래피, 잉크젯 프린팅은 제작할 수 있는 화소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지고 화소의 크기가 작아지는 이미징 디 바이스의 동향에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컬러필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Polyperiodic-hole-array Plasmonic Color Filter for Minimizing the Effect of Angle of Inc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