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生活体育活动对提高老年人淋病效果的研究:对成功老化政策性意义的探索性分析","authors":"허만형, 이명재","doi":"10.17327/IPPA.2019.33.2.006","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은 노인 인구 비율이 14%를 넘긴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으로 생활체육의 임파워먼트 제고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인구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이 생활체육과 결부하여 임파워먼트 제고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임파워먼트는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단면 중 하나라는 사실이 검증되고 있다. 18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육 활동을 하는 노년층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은 의미성, 자신감/자기결정력, 영향력, 그리고 집단 임파워먼트라는 사실이 나타났다. 한국 노인을 대상의 선행연구에서처럼 자신감과 자기결정력은 두 개의 요인으로 나누어지지 않았다. 네 개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생활체육은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에서 의미성, 자신감/자기결정력. 그리고 집단 임파워먼트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은 자신감/자기결정력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영향력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태도는 임파워먼트의 어떤 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생활체육 활동을 통하여 노인 임파워먼트는 제고될 수 있으며 노인들의 주체적인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정책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93332,"journ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volume":"34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생활체육 활동의 노인 임파워먼트 제고 효과에 관한 연구: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책적 의미의 탐색적 분석\",\"authors\":\"허만형, 이명재\",\"doi\":\"10.17327/IPPA.2019.33.2.006\",\"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은 노인 인구 비율이 14%를 넘긴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으로 생활체육의 임파워먼트 제고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인구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이 생활체육과 결부하여 임파워먼트 제고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임파워먼트는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단면 중 하나라는 사실이 검증되고 있다. 18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육 활동을 하는 노년층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은 의미성, 자신감/자기결정력, 영향력, 그리고 집단 임파워먼트라는 사실이 나타났다. 한국 노인을 대상의 선행연구에서처럼 자신감과 자기결정력은 두 개의 요인으로 나누어지지 않았다. 네 개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생활체육은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에서 의미성, 자신감/자기결정력. 그리고 집단 임파워먼트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은 자신감/자기결정력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영향력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태도는 임파워먼트의 어떤 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생활체육 활동을 통하여 노인 임파워먼트는 제고될 수 있으며 노인들의 주체적인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정책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93332,\"journ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volume\":\"34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27/IPPA.2019.33.2.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LSE public policy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27/IPPA.2019.33.2.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생활체육 활동의 노인 임파워먼트 제고 효과에 관한 연구: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책적 의미의 탐색적 분석
한국은 노인 인구 비율이 14%를 넘긴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으로 생활체육의 임파워먼트 제고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인구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요인이 생활체육과 결부하여 임파워먼트 제고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임파워먼트는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단면 중 하나라는 사실이 검증되고 있다. 18개 항목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활체육 활동을 하는 노년층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은 의미성, 자신감/자기결정력, 영향력, 그리고 집단 임파워먼트라는 사실이 나타났다. 한국 노인을 대상의 선행연구에서처럼 자신감과 자기결정력은 두 개의 요인으로 나누어지지 않았다. 네 개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수로 하고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생활체육은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에서 의미성, 자신감/자기결정력. 그리고 집단 임파워먼트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은 자신감/자기결정력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영향력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태도는 임파워먼트의 어떤 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생활체육 활동을 통하여 노인 임파워먼트는 제고될 수 있으며 노인들의 주체적인 삶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정책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