鼻窦炎控制装置的研制与应用初探

Q3 Medicine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Pub Date : 2020-10-31 DOI:10.21848/asr.200060
Yun-Kyung Song
{"title":"鼻窦炎控制装置的研制与应用初探","authors":"Yun-Kyung Song","doi":"10.21848/asr.200060","DOIUrl":null,"url":null,"abstract":"과다비성(hypernasality)은 비음을 제외한 자음 및 모음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산출하는 동안 비강공명이 지나치게 많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이와 같은 증상은 연인두 부전 (velopharyngeal dysfunction)에 그 원인을 두고 있는데, 이는 비강으로 음파가 전달되지 않아야 할 때, 즉 비음이 아닌 소리 를 낼 때 비강 안으로 음파가 부적절하게 전달되는 것을 말한 다. 또한 비강누출(nasal emission)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과 같은 압력 자음을 산출할 때 연인두 부전으로 그 폐쇄가 적절 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코로 기류가 새어나가는 현상이다. 이 새 어나가는 기류가 소리로 들리면 청취 가능한 비강누출(audible nasal emission)이라고 하며, 소리로 들리지 않으면 무음성 비 강누출(inaudible nasal emission)이라고 한다. 연인두 부전이 있는 대상자는 과다비성에 비강누출이 동반될 수도 있고 과다 비성만 있는 경우도 있다(Kummer, 2016).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의 질환이 연인두 부전 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를 보이 는 대상에서 과다비성 및 비강누출의 문제는 빈번하게 말 명료 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reed 2014; Duffy, 2016). 또한 선천성 기형인 구개열(cleft palate)이 있는 경우, 1차 구개열 봉합 수술 후에도 흔히 연인두 부전을 나타낼 수 있다(Kummer, 2016). 한편 모든 말장애의 궁극적 치료 목표는 명료하고 자연스러 운 말이다. 의사소통장애 대상자의 최종 치료 목표가 말 명료 도의 향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말 명료도는 아주 중요한 영 역이다.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음을 정확하 게 말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자음정확도, 조음기관의 운동능력 을 나타내는 조음교대운동능력, 공명, 운율, 호흡, 발성 등이 있 다(Kim, 2002; Han, 2009). 이 요소들 중에서 공명문제는 행 동적 접근법인 언어치료 행위만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 다. 즉 연습을 통하여 기형이 있거나 약화 또는 마비된 근육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완전함 을 기대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구개열 아동은 1차 봉합수술 이후 연인두 부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보통 인두피판술(pharyngeal flap)과 같은 2차 수술을 하여 비강으로 소리가 새어나가는 것 을 조절하고자 한다(Yoo et al., 2000). 그러나 이 2차 수술은 만 4세는 되어야 가능해지기 때문에 초기 말소리 발달 문제가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A Preliminary Study","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A Preliminary Study\",\"authors\":\"Yun-Kyung Song\",\"doi\":\"10.21848/asr.200060\",\"DOIUrl\":null,\"url\":null,\"abstract\":\"과다비성(hypernasality)은 비음을 제외한 자음 및 모음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산출하는 동안 비강공명이 지나치게 많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이와 같은 증상은 연인두 부전 (velopharyngeal dysfunction)에 그 원인을 두고 있는데, 이는 비강으로 음파가 전달되지 않아야 할 때, 즉 비음이 아닌 소리 를 낼 때 비강 안으로 음파가 부적절하게 전달되는 것을 말한 다. 또한 비강누출(nasal emission)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과 같은 압력 자음을 산출할 때 연인두 부전으로 그 폐쇄가 적절 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코로 기류가 새어나가는 현상이다. 이 새 어나가는 기류가 소리로 들리면 청취 가능한 비강누출(audible nasal emission)이라고 하며, 소리로 들리지 않으면 무음성 비 강누출(inaudible nasal emission)이라고 한다. 연인두 부전이 있는 대상자는 과다비성에 비강누출이 동반될 수도 있고 과다 비성만 있는 경우도 있다(Kummer, 2016).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의 질환이 연인두 부전 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를 보이 는 대상에서 과다비성 및 비강누출의 문제는 빈번하게 말 명료 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reed 2014; Duffy, 2016). 또한 선천성 기형인 구개열(cleft palate)이 있는 경우, 1차 구개열 봉합 수술 후에도 흔히 연인두 부전을 나타낼 수 있다(Kummer, 2016). 한편 모든 말장애의 궁극적 치료 목표는 명료하고 자연스러 운 말이다. 의사소통장애 대상자의 최종 치료 목표가 말 명료 도의 향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말 명료도는 아주 중요한 영 역이다.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음을 정확하 게 말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자음정확도, 조음기관의 운동능력 을 나타내는 조음교대운동능력, 공명, 운율, 호흡, 발성 등이 있 다(Kim, 2002; Han, 2009). 이 요소들 중에서 공명문제는 행 동적 접근법인 언어치료 행위만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 다. 즉 연습을 통하여 기형이 있거나 약화 또는 마비된 근육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완전함 을 기대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구개열 아동은 1차 봉합수술 이후 연인두 부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보통 인두피판술(pharyngeal flap)과 같은 2차 수술을 하여 비강으로 소리가 새어나가는 것 을 조절하고자 한다(Yoo et al., 2000). 그러나 이 2차 수술은 만 4세는 되어야 가능해지기 때문에 초기 말소리 발달 문제가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A Preliminary Study\",\"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6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6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过多非声(hypernasality)是指在以正常方法计算除鼻音以外的辅音和元音时,产生过多的鼻腔共鸣。通常这种症状的原因是双鼻腔发育不全(velopharyngeal dysfunction),即当声波不能向鼻腔传递时,即发出非鼻音的声音时,声波不适当地向鼻腔内传递。另外,鼻腔泄漏(nasal emission)是在计算出破裂音、破裂音、摩擦音等压力辅音时,因双侧不全导致其封闭不适当,导致气流向鼻子泄漏的现象。如果听到声音,则称为可听到的鼻腔泄漏(audible nasal emission);如果听不到声音,则称为无声音鼻腔泄漏(inaudible nasal emission)。患有恋头不全的人可能伴有鼻腔泄漏或鼻腔泄漏(Kummer, 2016)。一般来说,中枢神经系统或末梢神经系统的疾病会导致人的头不全,特别是松弛型和僵硬型麻痹马障碍的对象中,过多的非性和鼻腔泄漏问题频繁地对语言清晰度产生负面影响(Freed 2014;duffy, 2016)。另外,患有先天性畸形的腭裂,在第一次腭裂缝合手术后也经常会出现颞顶衰竭(Kummer, 2016)。另外,所有语言障碍的最终治疗目标都非常明确和自然。沟通障碍对象的最终治疗目标可以说是提高语言明了度,因此语言明了度是非常重要的领域。影响说话明确性的因素有,表示正确说出辅音程度的辅音准确度;表示调音器官运动能力的调音交替运动能力;共鸣、韵律、呼吸、发声等(Kim, 2002;han, 2009)。在这些因素中,共鸣问题仅靠行动接近法——语言治疗行为来解决是有限的。也就是说,通过练习使畸形、衰弱、麻痹的肌肉发挥正常功能有困难,期待完全也有困难。因此,腭裂儿童在第一次缝合手术后,如果被判断为患有双颊部不全,通常会进行类似于咽头瓣手术的第二次手术,以控制声音从鼻腔传出(Yoo et al., 2000)。但由于第二次手术要到4周岁才能完成,所以早期语音发育问题是: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A Preliminary Study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A Preliminary Study
과다비성(hypernasality)은 비음을 제외한 자음 및 모음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산출하는 동안 비강공명이 지나치게 많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이와 같은 증상은 연인두 부전 (velopharyngeal dysfunction)에 그 원인을 두고 있는데, 이는 비강으로 음파가 전달되지 않아야 할 때, 즉 비음이 아닌 소리 를 낼 때 비강 안으로 음파가 부적절하게 전달되는 것을 말한 다. 또한 비강누출(nasal emission)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과 같은 압력 자음을 산출할 때 연인두 부전으로 그 폐쇄가 적절 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코로 기류가 새어나가는 현상이다. 이 새 어나가는 기류가 소리로 들리면 청취 가능한 비강누출(audible nasal emission)이라고 하며, 소리로 들리지 않으면 무음성 비 강누출(inaudible nasal emission)이라고 한다. 연인두 부전이 있는 대상자는 과다비성에 비강누출이 동반될 수도 있고 과다 비성만 있는 경우도 있다(Kummer, 2016).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의 질환이 연인두 부전 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를 보이 는 대상에서 과다비성 및 비강누출의 문제는 빈번하게 말 명료 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reed 2014; Duffy, 2016). 또한 선천성 기형인 구개열(cleft palate)이 있는 경우, 1차 구개열 봉합 수술 후에도 흔히 연인두 부전을 나타낼 수 있다(Kummer, 2016). 한편 모든 말장애의 궁극적 치료 목표는 명료하고 자연스러 운 말이다. 의사소통장애 대상자의 최종 치료 목표가 말 명료 도의 향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말 명료도는 아주 중요한 영 역이다.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음을 정확하 게 말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자음정확도, 조음기관의 운동능력 을 나타내는 조음교대운동능력, 공명, 운율, 호흡, 발성 등이 있 다(Kim, 2002; Han, 2009). 이 요소들 중에서 공명문제는 행 동적 접근법인 언어치료 행위만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 다. 즉 연습을 통하여 기형이 있거나 약화 또는 마비된 근육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완전함 을 기대하는 것도 곤란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구개열 아동은 1차 봉합수술 이후 연인두 부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보통 인두피판술(pharyngeal flap)과 같은 2차 수술을 하여 비강으로 소리가 새어나가는 것 을 조절하고자 한다(Yoo et al., 2000). 그러나 이 2차 수술은 만 4세는 되어야 가능해지기 때문에 초기 말소리 발달 문제가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Hypernasality Control Device: A Preliminary Study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Medicine-Otorhinolaryngology
CiteScore
0.70
自引率
0.00%
发文量
29
期刊最新文献
Research on Effective Methodology for Hearing Impairment Rehabilitation; Based on a Diary Study for Elderly OnlineAuditory Training Self-Reported Hearing Difficulties and Hearing Aid Uptak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patial Hearing Questionnaire in Cochlear Implant Users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Speech Production Mechanism of Patients with Dysarthria Caused by Acute Brain Injury in Korea The Necessity for Auditory Training with Idiomatic Expressions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