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仁川市社区居民健康信息接受度与健康行为的关系","authors":"Sun Yang, Kyoung-Ok Park","doi":"10.31324/jrs.2018.06.26.2.6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일부 인천지역의 성인 거주자들이 인식하는 건강정보 수용 수준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구청 중 본 조사연구에 협조를 허락한 2개 구청에 조사기간동안 민원업무를 위해 방문한 60세 미만 성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0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지는 일반적 특성, 인지된 건강정보 수용 수준(노출과 수용), 건강행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수된 응답은 모두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건강정보 노출 인식은 수용 인식과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465, p<.001),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수용 인식 간에도 약하지만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85, p<.05). 그러나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노출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행동과 관련된 유의미한 요인은 성, 연령,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수용 인식이었으며 이 요인들의 대상자 건강행동에 대한 분산설명력은 29.6%였다. 여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강정보 수용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건강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단순한 건강정보 노출을 넘어 정보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목표 대상의 관련 특성을 규명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PeriodicalId":43723,"journal":{"name":"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volume":"1 1","pages":""},"PeriodicalIF":0.5000,"publicationDate":"2018-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Association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ir health behaviors in Incheon\",\"authors\":\"Sun Yang, Kyoung-Ok Park\",\"doi\":\"10.31324/jrs.2018.06.26.2.6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일부 인천지역의 성인 거주자들이 인식하는 건강정보 수용 수준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구청 중 본 조사연구에 협조를 허락한 2개 구청에 조사기간동안 민원업무를 위해 방문한 60세 미만 성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0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지는 일반적 특성, 인지된 건강정보 수용 수준(노출과 수용), 건강행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수된 응답은 모두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건강정보 노출 인식은 수용 인식과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465, p<.001),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수용 인식 간에도 약하지만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85, p<.05). 그러나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노출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행동과 관련된 유의미한 요인은 성, 연령,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수용 인식이었으며 이 요인들의 대상자 건강행동에 대한 분산설명력은 29.6%였다. 여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강정보 수용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건강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단순한 건강정보 노출을 넘어 정보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목표 대상의 관련 특성을 규명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PeriodicalId\":43723,\"journal\":{\"name\":\"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volume\":\"1 1\",\"pages\":\"\"},\"PeriodicalIF\":0.5000,\"publicationDate\":\"2018-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24/jrs.2018.06.26.2.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24/jrs.2018.06.26.2.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摘要
本论文是为了查明部分仁川地区成人居住者所认识的健康信息接受水平和健康行动之间的关联性而实施的。位于仁川广域市的区厅中,允许协助本调查研究的2个区厅在调查期间以为信访业务访问的未满60岁的成人地区居民为对象,实施了自我填写式问卷调查,共有180人回答了调查。调查纸由一般特性、认知健康信息接受水平(暴露和接受)和健康行动构成,回收的回答都通过SPSS程序进行了分析。健康信息暴露认识与接受认识有中等程度的正相关(r=465、p(.001)、健康行动和接受健康信息的认识之间虽然较弱,但存在正相关关系(r=。185, p < 0.05)。但是健康行动和健康信息暴露认识之间并没有发现有意义的关联。回归分析结果显示,与健康行动相关的有意义的因素是性、年龄、健康关心度、健康信息接受认识,这些因素对对象健康行动的分散说明力为29.6%。女性、年龄越大、对健康的关心度越高、接受健康信息的分数越高,健康行动分数就越高。笔者提议,以以上研究结果为基础,在开发地区社会健康交流项目时,有必要超越单纯的健康信息暴露,查明并适用能够提高信息接受度的目标对象的相关特性。
Association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perceived acceptance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ir health behaviors in Incheon
본 논문은 일부 인천지역의 성인 거주자들이 인식하는 건강정보 수용 수준과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구청 중 본 조사연구에 협조를 허락한 2개 구청에 조사기간동안 민원업무를 위해 방문한 60세 미만 성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0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조사지는 일반적 특성, 인지된 건강정보 수용 수준(노출과 수용), 건강행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회수된 응답은 모두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건강정보 노출 인식은 수용 인식과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465, p<.001),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수용 인식 간에도 약하지만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185, p<.05). 그러나 건강행동과 건강정보 노출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행동과 관련된 유의미한 요인은 성, 연령, 건강관심도, 건강정보수용 인식이었으며 이 요인들의 대상자 건강행동에 대한 분산설명력은 29.6%였다. 여성이고,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관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건강정보 수용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행동 점수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건강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단순한 건강정보 노출을 넘어 정보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목표 대상의 관련 특성을 규명하고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期刊介绍:
The Australasian Journal of Regional Studies is published by the Australia and New Zealand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International Inc. (ANZRSAI), which is a non-profit organisation dedicated to the promotion of efficient and effect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through research,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f ideas. Its interests cover a wide range of Australian and international regional issues with a major focus on the Asia-Pacific region. Its goal is to provide a platform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regional analysis. Submissions which fall within this general framework of regional analysis, policy, practice and development are welcome. The journal includes research notes and reviews of books, is a refereed journal published three times ye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