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首尔单身家庭空间分布与流动模式的实证分析","authors":"Byun Mi-ree, Bo-gyeong Min, Park, Minjin","doi":"10.31693/kjps.2019.12.42.4.91","DOIUrl":null,"url":null,"abstract":"서울의 가구형태는 4인가구 중심에서 1인가구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서울의 3가구 중 1가구(2015년 기준 29.5%)는 1인가구이며, 1인가구는 규모뿐 아니라 증가 속도도 빠르다. 이 글은 서울시 1인가구의 집단별 공간분포와 이동특성, 그리고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이다. 서울시의 1인가구를 세 집단(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해 통계청의 국내인구이동통계 원자료를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과 주거이동 유형을 분석했다. 이동유형은 서울시내 이동과 서울시와 경기도간 행정경계를 넘어서는 이동을 나눠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서울시 내부 이동의 경우 전체적으로 인접지역과의 이동이 일반적이나 1인가구 최다 밀집지역인 관악구는 인근 지역 뿐 아니라 강서구, 광진구 등 비교적 원거리 지역과의 이동도 많이 나타났다. 1인가구의 지역 간 네트워크 분석 결과 관악구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 1인 가구의 집단별 공간분포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집단별 이동유형 역시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에서 상이하게 나타났다. 서울시와 경기도간 이동 유형은 권역별로 특성을 보였으며, 집단별 이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청년층의 이동유형이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해 이동빈도가 높고 이동 반경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85601,"journal":{"name":"Sud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volume":"54 1","pages":"91-119"},"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title\":\"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Flow Patterns of Seoul’s Single-Person Households\",\"authors\":\"Byun Mi-ree, Bo-gyeong Min, Park, Minjin\",\"doi\":\"10.31693/kjps.2019.12.42.4.91\",\"DOIUrl\":null,\"url\":null,\"abstract\":\"서울의 가구형태는 4인가구 중심에서 1인가구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서울의 3가구 중 1가구(2015년 기준 29.5%)는 1인가구이며, 1인가구는 규모뿐 아니라 증가 속도도 빠르다. 이 글은 서울시 1인가구의 집단별 공간분포와 이동특성, 그리고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이다. 서울시의 1인가구를 세 집단(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해 통계청의 국내인구이동통계 원자료를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과 주거이동 유형을 분석했다. 이동유형은 서울시내 이동과 서울시와 경기도간 행정경계를 넘어서는 이동을 나눠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서울시 내부 이동의 경우 전체적으로 인접지역과의 이동이 일반적이나 1인가구 최다 밀집지역인 관악구는 인근 지역 뿐 아니라 강서구, 광진구 등 비교적 원거리 지역과의 이동도 많이 나타났다. 1인가구의 지역 간 네트워크 분석 결과 관악구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 1인 가구의 집단별 공간분포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집단별 이동유형 역시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에서 상이하게 나타났다. 서울시와 경기도간 이동 유형은 권역별로 특성을 보였으며, 집단별 이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청년층의 이동유형이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해 이동빈도가 높고 이동 반경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85601,\"journal\":{\"name\":\"Sud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volume\":\"54 1\",\"pages\":\"91-119\"},\"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ud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93/kjps.2019.12.42.4.9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ud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693/kjps.2019.12.42.4.9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Flow Patterns of Seoul’s Single-Person Households
서울의 가구형태는 4인가구 중심에서 1인가구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서울의 3가구 중 1가구(2015년 기준 29.5%)는 1인가구이며, 1인가구는 규모뿐 아니라 증가 속도도 빠르다. 이 글은 서울시 1인가구의 집단별 공간분포와 이동특성, 그리고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이다. 서울시의 1인가구를 세 집단(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해 통계청의 국내인구이동통계 원자료를 활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과 주거이동 유형을 분석했다. 이동유형은 서울시내 이동과 서울시와 경기도간 행정경계를 넘어서는 이동을 나눠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서울시 내부 이동의 경우 전체적으로 인접지역과의 이동이 일반적이나 1인가구 최다 밀집지역인 관악구는 인근 지역 뿐 아니라 강서구, 광진구 등 비교적 원거리 지역과의 이동도 많이 나타났다. 1인가구의 지역 간 네트워크 분석 결과 관악구가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 1인 가구의 집단별 공간분포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집단별 이동유형 역시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에서 상이하게 나타났다. 서울시와 경기도간 이동 유형은 권역별로 특성을 보였으며, 집단별 이동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청년층의 이동유형이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해 이동빈도가 높고 이동 반경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