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Park, W. Jung, S. J. You, C. Lee, J. S. Kim, S. An, B. Jeon, Y. You, K. Kim
{"title":"Inhibitory Effects of Galla Chinensis Extract on Cariogenic Properties of Streptococcus mutans","authors":"B. Park, W. Jung, S. J. You, C. Lee, J. S. Kim, S. An, B. Jeon, Y. You, K. Kim","doi":"10.15188/KJOPP.2015.04.29.2.189","DOIUrl":null,"url":null,"abstract":"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구강건강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 다 치아우식증은 치면세균막내 세균의 당 대사를 통해 생성되는 산 . 에 의해 치질이 탈회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세균성 치아경조직 질환이다1) 이를 방치하게 되면 치수염을 일으켜 심한 통증을 느끼 . 게 되고 이로 인해서 치아를 상실할 수도 있다 치아우식증을 유발 , . 하는데 관련된 요인으로는 크게 미생물요인2) 숙주요인 및 식이요인 , 3)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미생물요인은 치아우식증의 원인균들과 , 관련된 중요한 인자이다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여러 세균 중에서 그 . 람양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는 외부로부터 섭취한 음식 물에 포함되어 있는 설탕 이나 포도당 등을 분해하여 치아 (sucrose) 우식증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로 지적되어왔다4) 또한 . , S. mutans 가 생산하는 는 자당을 기질로 하여 점착성의 비수용성 글 GTFase Galla Chinensis Streptococcus mutans","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5-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5","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5.04.29.2.1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5
Abstract
현대사회가 발전하면서 구강건강 문제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 다 치아우식증은 치면세균막내 세균의 당 대사를 통해 생성되는 산 . 에 의해 치질이 탈회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세균성 치아경조직 질환이다1) 이를 방치하게 되면 치수염을 일으켜 심한 통증을 느끼 . 게 되고 이로 인해서 치아를 상실할 수도 있다 치아우식증을 유발 , . 하는데 관련된 요인으로는 크게 미생물요인2) 숙주요인 및 식이요인 , 3)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미생물요인은 치아우식증의 원인균들과 , 관련된 중요한 인자이다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여러 세균 중에서 그 . 람양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는 외부로부터 섭취한 음식 물에 포함되어 있는 설탕 이나 포도당 등을 분해하여 치아 (sucrose) 우식증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로 지적되어왔다4) 또한 . , S. mutans 가 생산하는 는 자당을 기질로 하여 점착성의 비수용성 글 GTFase Galla Chinensis Streptococcus mut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