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도시, 전통과 근대의 이중나선-사진엽서 󰡔京城百景(경성백경)󰡕을 중심으로

최현식
{"title":"식민도시, 전통과 근대의 이중나선-사진엽서 󰡔京城百景(경성백경)󰡕을 중심으로","authors":"최현식","doi":"10.35419/KMLIT.2019..67.006","DOIUrl":null,"url":null,"abstract":"이 논문은 일제시대 발행된 사진엽서 『경성백경』(총32매, 사진, 조선민요, 일본가요 탑재)의 가치와 의미를 묻기 위해 작성된다. 이 엽서세트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소개나 관광 안내만을 위해서 작성된 것이 아니다. 일제의 우월성과 식민지 조선의 열등성을 드러내기 위한 미학적·심리적 기호장치에 가깝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엽서의 사진과 노래는 조선의 자연 유산이나 궁중 건축 등 전통적 가치만 주목하지 않는다. 오히려 일제가 경성 곳곳에 세운 근대적 건축물과 시설, 학교와 신사 등을 집중적으로 포착함으로써 일제의 국가적 위상과 가능성을 자랑한다. 둘째, 엽서에 실린 일역(日譯)의 조선민요와 일본 와카(和歌)의 대조적인 정서와 표현에도 주목했다. 조선민요는 ‘지금 여기’의 역동적인 삶보다는 과거에 대한 회한과 슬픔의 표현에 집중되었다. 일본 노래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개척과 지배를 찬양하거나, 타자화된 조선의 수동성과 피동성을 이국정서에 기대어 표현한다. 셋째, 내선일체 및 황국 신민화에 필수적인 공공 제도와 시설들, 이를테면 학교와 신사, 병영의 식민주의적 본질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겉으로 보기에 식민권력의 요체들은 일본인과 조선인의 친선과 융화를 강조하는 듯하다. 하지만 경성에서 번창하는 퇴폐적인 유흥문화는 일제의 지배정책에 조선의 퇴폐성과 타락성을 조장하는 ‘우승열패’의 이념이 암암리에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경성백경』은 ‘꽃의 경성(京城)’을 노래하는 듯하지만, ‘칼의 케이죠(京城)’를 자랑하는 식민주의적·문화정치학적 기호로 보아 무방하다.","PeriodicalId":18702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volume":"13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419/KMLIT.2019..67.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논문은 일제시대 발행된 사진엽서 『경성백경』(총32매, 사진, 조선민요, 일본가요 탑재)의 가치와 의미를 묻기 위해 작성된다. 이 엽서세트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소개나 관광 안내만을 위해서 작성된 것이 아니다. 일제의 우월성과 식민지 조선의 열등성을 드러내기 위한 미학적·심리적 기호장치에 가깝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엽서의 사진과 노래는 조선의 자연 유산이나 궁중 건축 등 전통적 가치만 주목하지 않는다. 오히려 일제가 경성 곳곳에 세운 근대적 건축물과 시설, 학교와 신사 등을 집중적으로 포착함으로써 일제의 국가적 위상과 가능성을 자랑한다. 둘째, 엽서에 실린 일역(日譯)의 조선민요와 일본 와카(和歌)의 대조적인 정서와 표현에도 주목했다. 조선민요는 ‘지금 여기’의 역동적인 삶보다는 과거에 대한 회한과 슬픔의 표현에 집중되었다. 일본 노래는 식민지 조선에 대한 개척과 지배를 찬양하거나, 타자화된 조선의 수동성과 피동성을 이국정서에 기대어 표현한다. 셋째, 내선일체 및 황국 신민화에 필수적인 공공 제도와 시설들, 이를테면 학교와 신사, 병영의 식민주의적 본질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겉으로 보기에 식민권력의 요체들은 일본인과 조선인의 친선과 융화를 강조하는 듯하다. 하지만 경성에서 번창하는 퇴폐적인 유흥문화는 일제의 지배정책에 조선의 퇴폐성과 타락성을 조장하는 ‘우승열패’의 이념이 암암리에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경성백경』은 ‘꽃의 경성(京城)’을 노래하는 듯하지만, ‘칼의 케이죠(京城)’를 자랑하는 식민주의적·문화정치학적 기호로 보아 무방하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식민도시、传统和近代的双螺旋-照片明信片󰡔京城百,(经성백경)󰡕为中心
这篇论文是为了询问日本帝国主义统治时期发行的照片明信片《经成百经》(共32张,照片,朝鲜民谣,日本歌曲)的价值和意义而撰写的。该明信片套装并不是为了介绍殖民地朝鲜或观光而制作的。这接近于体现日本帝国主义的优越性和殖民地朝鲜的劣等性的美学和心理符号装置。其理由如下。第一,明信片的照片和歌曲并不只关注朝鲜的自然遗产或宫中建筑等传统价值。反而集中捕捉到了日本帝国主义在京城各处建立的近代建筑物和设施、学校和神社等,炫耀了日本帝国主义的国家地位和可能性。第二,注意到明信片上的朝鲜民谣和日本和歌的对比情绪和表现。朝鲜民谣比起《现在这里》充满活力的生活,更集中表现了对过去的悔恨和悲伤。日本歌曲赞扬了对殖民地朝鲜的开拓和统治,或者依靠异国情绪表现出被击球手化的朝鲜的被动性和被动性。第三,考察了内善一切及皇国新民化所必需的公共制度和设施,如学校和神社,兵营的殖民主义本质和作用。从表面上看,殖民权力的重点似乎是强调日本人和朝鲜人的友谊和融合。但是,在京城繁荣昌盛的颓废娱乐文化告诉我们,在日本帝国主义的统治政策中,助长朝鲜颓废和堕落性的“优胜劣败”理念在暗中运作。因此,《京成百经》虽然像是在歌颂“花的京城”,但也可以将其视为以“刀的京城”而自豪的殖民主义文化政治符号。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김북원(金北原)의 문학사적 복원과 해방기 활동 연구 4.19 혁명의 재현과 여성 시민권의 창출 -박경리와 손장순의 장편소설을 중점으로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장애인의 타자화된 몸과 윤리적 주체 엄흥섭 소설의 변모양상과 해방기 귀환서사 연구 -「귀환일기」와 「발전」을 중심으로 퀴어 소설에 나타난 가족 갈등 연구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