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iveness of Rout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Additional Ultraviolet (UV) Disinfec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Hospital Operating Rooms
{"title":"The Effectiveness of Rout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Additional Ultraviolet (UV) Disinfec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Hospital Operating Rooms","authors":"Sohee Nam, Yeonjeong Heo, J. Jeong","doi":"10.14192/kjicp.2020.25.1.40","DOIUrl":null,"url":null,"abstract":"환자 환경의 청결은 질병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의료기관 환경은 병원균에 오염되기 쉬워 정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이다[1-3]. 오염된 표면을 통한 의료관련감염을 예 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환경 소독 전략이 필요하다[4,5]. 의료기관에서 다약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이 증가 하고[6-9], 의료기관 환경에 장기간 생존하면서 의료관련 감염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0-15]. 감염 환 자와 무증상 보균자로 오염된 표면이 제대로 소독되지 않 으면 의료종사자의 손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다른 환자 에게 전파시킬 수 있다[16-19]. 현재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정규적 환경관리 방법 은 환경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방 법이다. 세척은 물리적으로 환경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소독은 감염을 발생시키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 나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이다[2]. 의료기관 환경관리에 대 한 표준화된 청소 및 소독방법은 실무지침이나 의료기관마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40-45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40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Original Article","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13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4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환자 환경의 청결은 질병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의료기관 환경은 병원균에 오염되기 쉬워 정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이다[1-3]. 오염된 표면을 통한 의료관련감염을 예 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환경 소독 전략이 필요하다[4,5]. 의료기관에서 다약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이 증가 하고[6-9], 의료기관 환경에 장기간 생존하면서 의료관련 감염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0-15]. 감염 환 자와 무증상 보균자로 오염된 표면이 제대로 소독되지 않 으면 의료종사자의 손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다른 환자 에게 전파시킬 수 있다[16-19]. 현재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정규적 환경관리 방법 은 환경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방 법이다. 세척은 물리적으로 환경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소독은 감염을 발생시키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 나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이다[2]. 의료기관 환경관리에 대 한 표준화된 청소 및 소독방법은 실무지침이나 의료기관마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40-45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40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Original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