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31
Soyeon Park, Jeong-Young Lee, E. Kim, S. Kwak, M. Hong, Y. Lim, E. Kim, Jiwon Jung, Sung‐Han Kim
{"title":"Comparison of the Microbiological Efficacy of Disinfection Using Ultraviolet and Hydrogen Peroxide System for 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in a Healthcare Setting","authors":"Soyeon Park, Jeong-Young Lee, E. Kim, S. Kwak, M. Hong, Y. Lim, E. Kim, Jiwon Jung, Sung‐Han Kim","doi":"10.14192/kjicp.2021.26.1.31","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31","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5845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39
Chan Mi Lee, H. Goh, Hyo-Yeon Lee, Y. R. Oh, P. G. Choe, W. Park, N. Kim
{"title":"Microbial Contamination Rates of Hospital Privacy Curtains: A Prospective Culture Study","authors":"Chan Mi Lee, H. Goh, Hyo-Yeon Lee, Y. R. Oh, P. G. Choe, W. Park, N. Kim","doi":"10.14192/kjicp.2021.26.1.39","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39","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8172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24
Seungjin Lim, S. Lim, Sun Min Lee, I. Kim, Taehwa Kim, Su Jin Lee
{"title":"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Antibody Seropositivity among Healthcare Workers Working in Coronavirus Disease Wards","authors":"Seungjin Lim, S. Lim, Sun Min Lee, I. Kim, Taehwa Kim, Su Jin Lee","doi":"10.14192/kjicp.2021.26.1.24","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24","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7670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3
Young Rong Kim, D. Kim, Y. Choi
{"title":"Preparing for COVID-19 Vaccination: Guidances for Healthcare Personnel","authors":"Young Rong Kim, D. Kim, Y. Choi","doi":"10.14192/kjicp.2021.26.1.3","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3","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11090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1
Jina Yoo
{"title":"Hydrogen Peroxide as a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Tool","authors":"Jina Yoo","doi":"10.14192/kjicp.2021.26.1.1","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1","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3285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42
Kyungwon Lee
{"title":"Innovation in Clinical Microbiology Testing","authors":"Kyungwon Lee","doi":"10.14192/kjicp.2021.26.1.42","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42","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4298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1-06-30DOI: 10.14192/kjicp.2021.26.1.16
E. Chang, Hong-Bin Kim
{"title":"It Is Time to Address the Isolation Policy for Patients Colonized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authors":"E. Chang, Hong-Bin Kim","doi":"10.14192/kjicp.2021.26.1.16","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1.26.1.16","url":null,"abstract":"","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2995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0-06-30DOI: 10.14192/kjicp.2020.25.1.40
Sohee Nam, Yeonjeong Heo, J. Jeong
환자 환경의 청결은 질병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의료기관 환경은 병원균에 오염되기 쉬워 정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이다[1-3]. 오염된 표면을 통한 의료관련감염을 예 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환경 소독 전략이 필요하다[4,5]. 의료기관에서 다약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이 증가 하고[6-9], 의료기관 환경에 장기간 생존하면서 의료관련 감염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0-15]. 감염 환 자와 무증상 보균자로 오염된 표면이 제대로 소독되지 않 으면 의료종사자의 손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다른 환자 에게 전파시킬 수 있다[16-19]. 현재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정규적 환경관리 방법 은 환경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방 법이다. 세척은 물리적으로 환경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소독은 감염을 발생시키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 나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이다[2]. 의료기관 환경관리에 대 한 표준화된 청소 및 소독방법은 실무지침이나 의료기관마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40-45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40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Original Article
{"title":"The Effectiveness of Rout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Additional Ultraviolet (UV) Disinfec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Hospital Operating Rooms","authors":"Sohee Nam, Yeonjeong Heo, J. Jeong","doi":"10.14192/kjicp.2020.25.1.40","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40","url":null,"abstract":"환자 환경의 청결은 질병을 회복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며 의료기관 환경은 병원균에 오염되기 쉬워 정기적인 청소가 필수적이다[1-3]. 오염된 표면을 통한 의료관련감염을 예 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환경 소독 전략이 필요하다[4,5]. 의료기관에서 다약제 내성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이 증가 하고[6-9], 의료기관 환경에 장기간 생존하면서 의료관련 감염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0-15]. 감염 환 자와 무증상 보균자로 오염된 표면이 제대로 소독되지 않 으면 의료종사자의 손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을 다른 환자 에게 전파시킬 수 있다[16-19]. 현재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정규적 환경관리 방법 은 환경 표면을 세척하고 소독제를 이용하여 소독하는 방 법이다. 세척은 물리적으로 환경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소독은 감염을 발생시키는 미생물을 사멸시키거 나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이다[2]. 의료기관 환경관리에 대 한 표준화된 청소 및 소독방법은 실무지침이나 의료기관마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40-45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40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Original Article","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13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5428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0-06-30DOI: 10.14192/kjicp.2020.25.1.60
Ji Yeoung Yim, Na Yon Kim, Yeri Lee, Go Eun Kim, D. Jung, Eun Jin Kim, J. Heo, Y. Choi, Kwang Jin Lim
의 원인이 된다. 오염된 환경에 대한 청소와 소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교차감염으로 인해 환자에게 병원 균의 집락화 및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1]. 이에 각 의료기 관에서는 환경 청소 및 소독 절차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UV나 과산화수소 증기나 에어로졸 을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환경 소독 방법을 도입하는 병원 이 증가하고 있다. 비접촉식 환경 소독 방식은 적용 전 유 기물 제거를 위해 반드시 수동 청소가 필요하나, 청소나 소 독이 누락되기 쉬운 영역의 환경 관리를 보완해 줄 수 있다 [2,3]. 비접촉식 방법 중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환경소독 방법 은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소독이 가능하며 물품이 많아 그림자가 생기는 곳에도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과산화 수소를 이용한 환경소독 방법에는 열을 사용하여 30-35% 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생성하는 방법과, 5-6%의 과산화수 소를 압력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두 가지 방식 이 있다[1].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환경표면의 소독 효과는 다양한 연구에서 검증되었으나, 고농도의 과산화수소 멸 균 후 안전한 농도를 낮추기까지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며 [4,5], 흡입독성이 있어 사람이 없는 비어있는 공간에 적용 해야 한다. 과산화수소 6%와 질산은 17 ppm으로 이루어진 혼합액 액체를 터빈방식을 이용하여 마른안개로 분무하는 방식인 Nocospray (OXY’PHARM, Champigny-sur-Marne, France)는 식약처 허가 사항에 따라 분사 및 소독 적용 2 시간, 환기 1시간, 총 3시간의 소독시간을 권고하고 있다. 소독효과를 보이는 과산화수소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서 2 단계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고용노동부는 과산화수소 노출기준 1 ppm 이상이거나 노출제한 기준의 50% 이상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60-62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60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Brief Communication/Letter to Editor
的原因。对污染环境的清扫和消毒不充分,交叉感染可引起患者病原菌的聚落和感染[1]。为此,各医疗机构正在为改善环境清扫及消毒程序而努力,最近引进利用UV或过氧化氢蒸汽或气溶胶的非接触方式的环境消毒方法的医院正在增加。非接触式环境消毒方式在适用前,为清除遗物必须进行手动清扫,但可以完善清扫或容易遗漏消毒领域的环境管理[2,3]。在非接触式方法中,利用过氧化氢的环境消毒方法的优点是,可以对碰不到的部分进行消毒,而且对物品多出现影子的地方也有效果。利用过氧化氢的环境消毒方法有两种,一种是利用热生成30% -35%的过氧化氢蒸汽,另一种是利用压力或超声波喷雾5% -6%的过氧化氢[1]。利用双氧水对环境表面进行消毒的效果在各种研究中得到验证,但高浓度双氧水灭菌后,要想降低安全浓度需要一定的时间[4,5],适用于没有人的空空间。OXY ' PHARM (Champigny-sur-Marne, France)是利用涡轮方式将由6%过氧化氢和17 ppm硝酸组成的混合液液体用干雾进行喷雾的方式,根据食药厅的许可事项,建议使用喷射及消毒2小时,换气1小时,共3小时的消毒时间。具有消毒效果的过氧化氢在产业安全保健标准中被分类为第2阶段有害物质。雇佣劳动部表示,过氧化氢暴露标准超过ppm或超过50%的暴露限制标准与医疗相关的感染管理:第25卷第1号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 25 (1): 60 - 62 https: / / doi。org / 10 . 14192 / kjicp 2020 25: 1 . 60 pissn 2508 - 5999•eissn 1.2671 - 1216.9886 brief communication / letter to editor
{"title":"Residual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after Nocospray® Dispersion i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authors":"Ji Yeoung Yim, Na Yon Kim, Yeri Lee, Go Eun Kim, D. Jung, Eun Jin Kim, J. Heo, Y. Choi, Kwang Jin Lim","doi":"10.14192/kjicp.2020.25.1.60","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60","url":null,"abstract":"의 원인이 된다. 오염된 환경에 대한 청소와 소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교차감염으로 인해 환자에게 병원 균의 집락화 및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1]. 이에 각 의료기 관에서는 환경 청소 및 소독 절차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UV나 과산화수소 증기나 에어로졸 을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환경 소독 방법을 도입하는 병원 이 증가하고 있다. 비접촉식 환경 소독 방식은 적용 전 유 기물 제거를 위해 반드시 수동 청소가 필요하나, 청소나 소 독이 누락되기 쉬운 영역의 환경 관리를 보완해 줄 수 있다 [2,3]. 비접촉식 방법 중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환경소독 방법 은 손이 닿지 않는 부분까지 소독이 가능하며 물품이 많아 그림자가 생기는 곳에도 효과가 있는 장점이 있다. 과산화 수소를 이용한 환경소독 방법에는 열을 사용하여 30-35% 의 과산화수소 증기를 생성하는 방법과, 5-6%의 과산화수 소를 압력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무하는 두 가지 방식 이 있다[1].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환경표면의 소독 효과는 다양한 연구에서 검증되었으나, 고농도의 과산화수소 멸 균 후 안전한 농도를 낮추기까지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며 [4,5], 흡입독성이 있어 사람이 없는 비어있는 공간에 적용 해야 한다. 과산화수소 6%와 질산은 17 ppm으로 이루어진 혼합액 액체를 터빈방식을 이용하여 마른안개로 분무하는 방식인 Nocospray (OXY’PHARM, Champigny-sur-Marne, France)는 식약처 허가 사항에 따라 분사 및 소독 적용 2 시간, 환기 1시간, 총 3시간의 소독시간을 권고하고 있다. 소독효과를 보이는 과산화수소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서 2 단계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고용노동부는 과산화수소 노출기준 1 ppm 이상이거나 노출제한 기준의 50% 이상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60-62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60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Brief Communication/Letter to Editor","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57 43","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39575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0-06-30DOI: 10.14192/kjicp.2020.25.1.29
H. Cho, Y. Hong
한국 인구의 빠른 고령화와 가구구성의 변화 및 소규모 화는 돌봄 인력의 대체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한국 인 구는 2017년부터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단계로 진입하여 2067년에는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 이 46.5%, 80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20.7%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65세 이상 인구 중 만성질병을 2개 이상 지닌 복합이환자는 73.0%로 조사되었다[1,2]. 그러나 가 구규모 축소 및 노인 단독가구, 1인가구의 증가와 가족원 의 연령 상승에 따라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와 노인돌봄서비 스 사용이 증가하고 동거가족에 의한 수발이 간병인을 통 한 수발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2,3]. 간병인은 정신적, 육체적 장애로 인해 일상적이고 규칙 적으로 반복되는 기본적인 활동을 할 수 없는 환자의 가족 이나 환자와의 계약에 의하여 가족을 대신하여 환자에게 돌봄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정한 보수를 받는 이를 뜻하 며, 이러한 간병활동 중이거나 활동을 하고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간병사 자격시험관리기관인 대한간병진흥원[인 증평가(사)한국민간자격협회]에서 인정하는 자격을 취득한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29-39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29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Original Article
{"title":"A Study o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Statu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Caregivers","authors":"H. Cho, Y. Hong","doi":"10.14192/kjicp.2020.25.1.29","DOIUrl":"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29","url":null,"abstract":"한국 인구의 빠른 고령화와 가구구성의 변화 및 소규모 화는 돌봄 인력의 대체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다. 한국 인 구는 2017년부터 65세 이상 인구가 15세 미만 인구보다 많은 단계로 진입하여 2067년에는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 이 46.5%, 80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20.7%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65세 이상 인구 중 만성질병을 2개 이상 지닌 복합이환자는 73.0%로 조사되었다[1,2]. 그러나 가 구규모 축소 및 노인 단독가구, 1인가구의 증가와 가족원 의 연령 상승에 따라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와 노인돌봄서비 스 사용이 증가하고 동거가족에 의한 수발이 간병인을 통 한 수발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2,3]. 간병인은 정신적, 육체적 장애로 인해 일상적이고 규칙 적으로 반복되는 기본적인 활동을 할 수 없는 환자의 가족 이나 환자와의 계약에 의하여 가족을 대신하여 환자에게 돌봄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정한 보수를 받는 이를 뜻하 며, 이러한 간병활동 중이거나 활동을 하고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간병사 자격시험관리기관인 대한간병진흥원[인 증평가(사)한국민간자격협회]에서 인정하는 자격을 취득한 의료관련감염관리 : 제25권 제1호 2020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25(1):29-39 https://doi.org/10.14192/kjicp.2020.25.1.29 pISSN 2508-5999 • eISSN 2671-9886 Original Article","PeriodicalId":107151,"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volume":"20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0489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