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a Park, G. Park, D. Gu, Wonmin Ko, Youn-Chul Kim, Seoung‐Hoon Lee
{"title":"Inhibitory Effect of Paeoniae Radix Alba Ethanol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ormation","authors":"Bora Park, G. Park, D. Gu, Wonmin Ko, Youn-Chul Kim, Seoung‐Hoon Lee","doi":"10.15188/KJOPP.2015.02.29.1.51","DOIUrl":null,"url":null,"abstract":"뼈대사(bone metabolism)와 뼈재형성(bone remodeling)은 뼈 기질(bone matrix)를 만드는 조골세포(osteoblasts)와 뼈를 흡수하 는 파골세포(osteoclasts) 사이의 조화로운 균형을 통해 이루어진다 1). 다핵 성체 파골세포(multinucleated mature osteoclasts)는 조 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로부터 증식(proliferation), 분 화(differentiation), 융합(fusion) 그리고 활성화(activation)를 포함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다. 조골세포에서 생산되는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와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은 조혈모 세포로부터 분화된 monocyte/macrophage 전구세포들을 파골세 포로 분화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이다1,2). 조골 세포에서 생성된 RANKL이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표면에 있는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RANK)이라는 수용체에 결합을 하게 되면, 파골세포 분화, 활성 및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인 c-Jun N-terminal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등의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NF-κB 과 Akt의 활성화가 일어난다3). RANKL은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의 양성조절 자(positive modulator)로 작용하는 NF-κB, c-Fos,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 c1 등의 다양한 전사인자의 백작약 에탄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 억제 작용","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5-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7","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5.02.29.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7
Abstract
뼈대사(bone metabolism)와 뼈재형성(bone remodeling)은 뼈 기질(bone matrix)를 만드는 조골세포(osteoblasts)와 뼈를 흡수하 는 파골세포(osteoclasts) 사이의 조화로운 균형을 통해 이루어진다 1). 다핵 성체 파골세포(multinucleated mature osteoclasts)는 조 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s)로부터 증식(proliferation), 분 화(differentiation), 융합(fusion) 그리고 활성화(activation)를 포함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다. 조골세포에서 생산되는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와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은 조혈모 세포로부터 분화된 monocyte/macrophage 전구세포들을 파골세 포로 분화 생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이다1,2). 조골 세포에서 생성된 RANKL이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표면에 있는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RANK)이라는 수용체에 결합을 하게 되면, 파골세포 분화, 활성 및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체계인 c-Jun N-terminal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등의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NF-κB 과 Akt의 활성화가 일어난다3). RANKL은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의 양성조절 자(positive modulator)로 작용하는 NF-κB, c-Fos,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 c1 등의 다양한 전사인자의 백작약 에탄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및 생성 억제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