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on Two Cases of Gilbert's Syndrome Found in the Process of Administering Herbs

Jong Deok Lee, D. W. Kim
{"title":"Report on Two Cases of Gilbert's Syndrome Found in the Process of Administering Herbs","authors":"Jong Deok Lee, D. W. Kim","doi":"10.15188/KJOPP.2014.12.28.6.657","DOIUrl":null,"url":null,"abstract":"길버트 증후군(Gilbert's syndrome)은 간질환이나 용혈의 증거 없이 간헐적인 비포합형 고빌리루빈 혈증을 보이는 양성 경과를 보 이는 증후군으로 흔히 건강검진이나 우연한 기회의 혈액 검사 중 발견된다1). 임상적으로 혈액화학 검사 결과에서 고빌리루빈 혈증이 발견되 면 간담도계의 다양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간 기능 검사와 영상 의학 검사들을 시행해야 한다. 특히 한약을 비롯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은 약물 대사 로 인한 간 기능의 변화와 연관 가능성 때문에 투약에 주의하고 때 로는 일정기간 중지해야 하며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 가 많다. 이들 중 혈중 AST (aspartate transaminase), ALT (alanine transaminase), ALP (alkaline phosphatate), G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와 같은 간기능을 나타내는 효 소 수치의 증가 없이 단지 고빌리루빈 혈증을 보이는 경우 일반 적:으로 길버트 증후군을 가능성 있는 원인 질환 중의 하나로서 고려하게 된다. 길버트 증후군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성인인구의 3-7% 에서 발견되고 서양인에서 약 16%에서 나타나는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서 공복상태, 급격한 열량섭취의 제한, 임신 등은 이들 환 자에게서 황달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2). 본 증후군에 관한 많은 연구와 임상 예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최근 한방 의료기관에서 한의학적 치료 과정 중 우연히 발견된 혈 중 빌리루빈치의 상승 된 환자를 길버트 증후군으로 진단하고 임상 경과 관찰을 하였던 보고도 있다3). 본 증례는 大棗 煎湯液의 약물 역동학을 알아보기 위한 임상 시험 연구 도중 우연히 발견된 고빌리루빈 혈증 2예가 길버트 증후 군으로 진단되었다. 이에 임상적 경과를 관찰하여(원광대학교 광주 한방병원 IRB 승인: WKIRB 14-11)보고한다. 단미 한약 복용중 발견한 Gilbert's syndrome 2예 임상고찰","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4.12.28.6.6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길버트 증후군(Gilbert's syndrome)은 간질환이나 용혈의 증거 없이 간헐적인 비포합형 고빌리루빈 혈증을 보이는 양성 경과를 보 이는 증후군으로 흔히 건강검진이나 우연한 기회의 혈액 검사 중 발견된다1). 임상적으로 혈액화학 검사 결과에서 고빌리루빈 혈증이 발견되 면 간담도계의 다양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간 기능 검사와 영상 의학 검사들을 시행해야 한다. 특히 한약을 비롯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은 약물 대사 로 인한 간 기능의 변화와 연관 가능성 때문에 투약에 주의하고 때 로는 일정기간 중지해야 하며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 가 많다. 이들 중 혈중 AST (aspartate transaminase), ALT (alanine transaminase), ALP (alkaline phosphatate), G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와 같은 간기능을 나타내는 효 소 수치의 증가 없이 단지 고빌리루빈 혈증을 보이는 경우 일반 적:으로 길버트 증후군을 가능성 있는 원인 질환 중의 하나로서 고려하게 된다. 길버트 증후군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성인인구의 3-7% 에서 발견되고 서양인에서 약 16%에서 나타나는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서 공복상태, 급격한 열량섭취의 제한, 임신 등은 이들 환 자에게서 황달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2). 본 증후군에 관한 많은 연구와 임상 예들이 다수 발표되었고 최근 한방 의료기관에서 한의학적 치료 과정 중 우연히 발견된 혈 중 빌리루빈치의 상승 된 환자를 길버트 증후군으로 진단하고 임상 경과 관찰을 하였던 보고도 있다3). 본 증례는 大棗 煎湯液의 약물 역동학을 알아보기 위한 임상 시험 연구 도중 우연히 발견된 고빌리루빈 혈증 2예가 길버트 증후 군으로 진단되었다. 이에 임상적 경과를 관찰하여(원광대학교 광주 한방병원 IRB 승인: WKIRB 14-11)보고한다. 단미 한약 복용중 발견한 Gilbert's syndrome 2예 임상고찰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用药过程中发现吉尔伯特综合征2例报告
吉尔伯特综合症(Gilbert's syndrome)是一种没有肝病或溶血证据,呈间歇性非混合型高胆红素血症的阳性症状,通常在健康检查或偶然的血液检查中发现。从临床角度看,如果在血液化学检查结果中发现高胆红素血症,应进行肝功能检查和影像医学检查,以鉴别肝胆计的多种疾病。特别是,服用包括韩药在内的药物的患者可能会因药物代谢导致肝功能发生变化,因此要注意用药,有时要在一定时间内停止服用,而且还要进行追加检查。血液中的AST (aspartate transaminase), ALT (alanine transaminase), ALP (alkaline phosphatate)如果出现高胆红素血症(G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肝功能功能的效素数值没有增加,通常会将吉伯特综合症视为可能的病因疾病之一。吉尔伯特症候群在包括韩国在内的亚洲成人人口中占3-7%,在西方人中约占16%,发病频率较高。空腹状态、热量摄取限制、怀孕等是诱发这些患者黄疸的因素。已经发表了很多有关本症候群的研究和临床例子,也有报告将最近在韩医医疗机关韩医学治疗过程中偶然发现的血液中比利·鲁·芬奇上升的患者诊断为吉伯特症候群,并对临床过程进行了观察。本症如大棗煎湯。冷藏的药物临床试验研究为了动态学途中偶然发现的高胆红素血症2例子吉尔伯特症状诊断为军了。对此进行临床观察(圆光大学光州韩方医院IRB批准:WKIRB 14-11)报告。Gilbert's syndrome 2例临床考察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Antidepressant-like and Hypnotic Effects of the Herbal Extract Combination of Stauntonia hexaphylla and Vaccinium bracteatum Fruit in Mice Effects of Amomum cadamomum Linne Extract on TNF-α-induc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3T3-L1 Adipocytes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Suppresses Melanogenesis via p38, JNK and Akt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 of Rosae Rugosae Flos on the Acetylcholinesterase, β-secretase, and β-amyloid Aggregation Case Report of Both Anterior Cerebral Artery Territory Infarction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