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상하이협력기구(SCO)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러중 전략적 안보관계를 중심으로","authors":"박정민","doi":"10.17331/KWP.2013.29.4.005","DOIUrl":null,"url":null,"abstract":"지난 2001년 6월 15일 상하이협력기구(SCO)가 지역 내 각종 안보·경제 문제를 논의하는 지역협력기구로 공식화된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다자 간 협력관계는 갈수록 강화되는 추세이다. 현재 SCO에서 가장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SCO를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 내 주요국에 대한 관리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러중관계가 SCO를 중심으로 더욱 가까워지고 있는바, 향후 SCO는 전 세계적 차원에서 러중 간전략적 협력기반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할 수 있다. 현재 SCO는 지역 공동안보이익 추구를 기초로 특정 영역에서의 협력이 다른 영역으로의 협력을 촉진하고 확산하는 다자지역안보기구로 발전 중에 있다. 이미 구소련 붕괴 이후독립한 국가들의 국경선 획정과 군사안보분야의 신뢰 구축이 진전되면서, 역내 안정과 평화, 경제발전 등 공통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중앙아시아 내 최대 다자안보체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 주요국 간의 정치, 경제, 군사 관계 및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다자안보협력기구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SCO는 러시아와 중국의 주도하에 중국과 그접경국 간 국경획정, 분리주의와 테러, 종교적극단주의라는 안보위협에 대해 공동대응을 벌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조직정비를 통해 조직, 인력, 예산을 갖춘 영향력 있는 기구로 발전하는 중이다. 최근 SCO는 안보영역에서 벗어나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범위를 확대해가고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내 중추적 핵심기구로 발돋움하고 있다.","PeriodicalId":268221,"journal":{"name":"Korea and World Politics","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3-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 and World Poli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31/KWP.2013.29.4.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지난 2001년 6월 15일 상하이협력기구(SCO)가 지역 내 각종 안보·경제 문제를 논의하는 지역협력기구로 공식화된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다자 간 협력관계는 갈수록 강화되는 추세이다. 현재 SCO에서 가장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SCO를 적극 활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 내 주요국에 대한 관리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러중관계가 SCO를 중심으로 더욱 가까워지고 있는바, 향후 SCO는 전 세계적 차원에서 러중 간전략적 협력기반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할 수 있다. 현재 SCO는 지역 공동안보이익 추구를 기초로 특정 영역에서의 협력이 다른 영역으로의 협력을 촉진하고 확산하는 다자지역안보기구로 발전 중에 있다. 이미 구소련 붕괴 이후독립한 국가들의 국경선 획정과 군사안보분야의 신뢰 구축이 진전되면서, 역내 안정과 평화, 경제발전 등 공통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중앙아시아 내 최대 다자안보체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중앙아시아 주요국 간의 정치, 경제, 군사 관계 및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다자안보협력기구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SCO는 러시아와 중국의 주도하에 중국과 그접경국 간 국경획정, 분리주의와 테러, 종교적극단주의라는 안보위협에 대해 공동대응을 벌이고 있으며 지속적인 조직정비를 통해 조직, 인력, 예산을 갖춘 영향력 있는 기구로 발전하는 중이다. 최근 SCO는 안보영역에서 벗어나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범위를 확대해가고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내 중추적 핵심기구로 발돋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