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Determinants of FDI in Transition Economies and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Hyung-gon Jeong, Cheolwon Lee, Min Suk Park, Bong Geul Chun
{"title":"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Determinants of FDI in Transition Economies and Implications for North Korea)","authors":"Hyung-gon Jeong, Cheolwon Lee, Min Suk Park, Bong Geul Chun","doi":"10.2139/ssrn.3705163","DOIUrl":null,"url":null,"abstract":"<b>Korean Abstract:</b> 북한 당국은 김정은 체제 이후 경제 운영에 있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분권화 등의 조치를 확대하면서 사회주의경제체제 내에서의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를 위 한 정책을 넓혀가고 있으며, 27개의 경제개발구를 지정하여 해외자본 투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북한과 같이 저소득 국가이면서 자본과 기술이 부족한 국가에 있어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는 경제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북미 간 핵 협상이 원활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경제 회생을 위한 북한 당국의 외자 유치 정책과 과제에 대해 자세히 논하고 있다. 정책과제 도출을 위해 동유럽을 비롯한 아시아 체제전환국의 FDI 유치 성과와 정책을 먼저 비교 분석하였고, FDI 유입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후 북한 당국의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남한 역시 북한에 대한 최대 투자자가 될 수 있는바, 우리 기업의 성공적인 대북 투자를 위해 우리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다룬다. 본 연구는 먼저 국제기구의 통계를 기반으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현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세계은행에서 발표하고 있는 “Doing Business”를 토대로 각 체제전환국의 투자 환경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들 국가의 투자 환경, 제도, 그리고 FDI 유입과의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한다.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에 대한 계량 분석에 있어서는 국가별로 통계가 불안정하거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24개국으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였다. FDI 유입 데이터는 OECD 통계를 사용하였고,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스템 GMM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체제전환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FDI 유입 결정요인 외에도 FDI 유치에 성공적인 국가로 평가받는 비셰그라드 4국, 발트 3국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 구간별로 체제전환 당시 1인당 GDP가 2,000달러 미만인 체제전환국과 그 이상인 체제전환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체제전환국의 경우 WTO나 EU가입이 FDI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들 국가가 WTO나 EU에 가입한 시점을 근거로 더미변수를 사용하여 WTO 가입 그룹과 EU 가입 그룹이 FDI 유입에 있어서 어떤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비셰그라드 4국과 발트3국의 사례에서 초기 조건을 외부에서 정해지는 독립변수로 본다면, 체제전환 초기 가장 중요한 투자 유치 성공요인은 개혁의 속도와 개방의 폭이었다. 체제전환기에 얼마나 전면적이고 신속한 개혁을 통해 시장경제로 전환하고 세계경제에 편입되기 위해 자국 경제를 얼마나 큰 폭으로 개방하는가에 따라 투자 유치정책의 성패가 갈렸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환경은 개혁ㆍ개방과 전혀 상관없는 요인이 아니며, 어느 정도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점진적인 개혁과 부분적인 개방 정책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여건을 대폭 개선하여 투자 유치에 성공적이었던 중국과 베트남의 사례에서 비즈니스 환경 개선 또한 독립적으로 중요한 성공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자국 시장이 협소한 발트 3국, 마케도니아, 조지아 등은 비즈니스 환경의 대폭적인 개선을 통해 투자를 유치하여 인접 거대시장 진출의 거점 역할을 자처하였으며, 비즈니스 환경 평가요소 중에서도 무역부문의 환경 개선을 우선적으로 추진하였다. 즉 수출입 과정에서 요구되는 절차, 시간 및 비용을 상대적으로 탁월하게 개선하여 인근 거대시장의 판매 거점 투자를 자국에 유치하려는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이다. 체제전환국 비즈니스 여건의 지역별 특징에서는 EU에 가입한 국가는 물론 EU와 인접해 있는 체제전환국은 대체로 다른 어떤 평가요소보다 무역부문의 요소가 양호한 평가를 받고 있다. 체제전환국 중 Ease of doing Business 순위 20위권 국가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인근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시장규모나 풍부한 부존자원이 외국인투자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례가 많다. 중동부 유럽의 폴란드, EU 인접 CIS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동아시아의 중국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물론 개혁ㆍ개방과 비즈니스 환경 개선도 이루어졌지만, 인근 경쟁국에 비해 시장의 크기와 풍부한 부존자원의 여부가 FDI 유입에 상당 부분 역할을 하였다. 카자흐스탄은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통해 FDI를 적극 유치하여 자국의 부존자원을 개발, 경제발전의 주춧돌로 삼았다. 체제전환의 속도가 빠르지 않은 러시아도 풍부한 부존자원의 개발 잠재력으로 많은 FDI를 유치하였으며, G2 당사국인 중국도 점진적 개혁과 부분적 개방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규모의 FDI가 유입되었다. 이 밖에도 미국, EU 등 서방과의 관계 개선도 체제전환국 투자 유치의 주요 성공요인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체제전환 선도그룹의 EU 가입 과정과 후발 그룹의 대(對)EU 관계 강화 노력이 FDI 유입의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한 경우가 많다. 구(舊)유고 연방의 맹주였던 세르비아는 발칸지역 전쟁과 내전 등으로 UN과 대립이 지속되었으나 최근 EU 가입 노력으로 서방과의 관계가 개선 기미를 보임에 따라 FDI 유입이 크게 개선되었다. 베트남은 2006년 12월에 이루어진 미ㆍ베트남 항구적 정상 무역 관계 승인이 FDI 유입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에 대한 계량 분석과 체제전환국의 투자 및 제도 개혁의 성과 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북한 당국의 정책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① 국제금융기구로부터의 사전적 지원 확보 노력: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국제금융기구와 국제사회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면 외국인투자 유치 환경도 상당히 개선될 것이다. 특히 국제사회의 공적자금 조달이나 외국인투자는 북한경제를 재건하는 핵심적 재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국제금융기구와의 협력을 통해서 북한 투자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단 IMF, World Bank, ADB 등 국제금융기구가 북한에 지원을 한다는 것은 매우 큰 상징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북한으로의 FDI 유치에 큰 전환점을 만드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② 미국과의 무역 관계 정상화 노력: 미국과 북한의 무역 관계 정상화는 북한의 외자 유치에 있어서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물론 미국과 북한의 무역 관계 정상화에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러나 단계적으로 미국과 북한의 협상이 시작된다는 것만으로도 북한의 입장에서는 외국인투자 유치에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③ 시장의 규모와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 북한의 자체 시장은 작으나, 남한을 비롯해 중국, 일본 등 매우 큰 구매력을 지닌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시장으로의 확대 가능성은 매우 높다. 북한의 주변국이 시장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이다. 북미관계 개선은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기본 전제라고 할 수 있다. ④ 상대국과의 지리적 인접성 활용 극대화: 북한이 갖고 있는 ‘주변 거래시장과의 접근성’이라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북한에서 생산된 재화들이 중국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으로 수월하게 수출될 수 있도록 물리적 인프라와 관세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핵심이다. 물리적 인프라 구축 외에도 비관세 장벽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⑤ 경쟁정책을 통한 외자 유치: 체제전환국의 경쟁정책 수준이 보다 경쟁지향적 으로 개선될수록 FDI 유입량이 늘어났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경쟁 촉진을 위해 북한 당국은 정부의 조정, 통제, 가격 결정, 그리고 제한 등 경쟁제한 요소를 제거해야만 한다.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계약의 자유, 시장 진입의 자유, 가격 형성의 자유 등과 같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⑥ 무역개방도 확대: 무역개방도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WTO 가입이지만, 체제전환 초기에는 가입을 위한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더욱이 WTO 가입은 미국의 절대적 영향력이 미치는 분야로, 베트남과 같이 완전한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북미 간 수교 이후 항구적 정상교역관계(PNTR)가 체결되는 단계에서나 가능해 보인다. WTO 가입 이전까지는 선택과 집중에 의해 특구를 개발하여 대외 개방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⑦ 민간부문의 확대: 체제전환국의 민간부문 규모는 국유재산의 사유화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FDI 유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북한 당국이 민간부문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익권과 이용권을 경제주체에게 보장할 필요가 있다. 시장경제 제도하에서의 재산권이 아니더라도 수익권이 경제주체에게 보장될 경우 경제적 효율성이 높아지고 사유재산의 형성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민간부문이 확대된다. ⑧ 제조업 육성: 체제전환국이 높은 제조업 비중을 가질수록 FDI 유입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북한과 같이 저소득 국가이면서 산업기반이 거의 붕괴된 상태에서는 북한 내 제조업을 보고 투자하기보다는 노동력이나 자원을 활용하고자 하는 투자가 더 많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성장 과정에서 제조업이 빠르게 성장할수록 경제성장 기반은 더욱 확고해지고 외국인투자 역시 증가하게 된다. ⑨ 안정적 공공서비스 제공 및 거시경제적 안정성: 외국인투자자들은 보다 안정적인 공공부문을 유지하고 있는 체제전환국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조세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동시에 정치적 안정성과 폭력 부재 등을 장점으로 볼 수 있다. 반면 경제적 자유와 관련된 모든 지표에서는 세계 최하위 수준이어서 이 분야의 개선이 시급하다. 거시경제적 안정성은 경제성장과 FDI 유치에 중요요인이다. ⑩ 지역무역협정 및 WTO 가입을 통한 국제무역 질서로의 편입: 인접 선진시장과의 접근성은 체제전환국의 FDI 유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북한의 경우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등 주변 거대 선진시장과의 인접성을 통해 동유럽 체제전환국의 EU 가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주변국들과의 지역무역협정 체결 및 WTO 가입으로 교역의 편이성을 보장하고 제도적 불확실성을 제거해야 하며, 투자와 관련한 다양한 안전장치들을 보장함으로써 투자 유치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⑪ Doing Business 평가요소 환경 개선: 시장경제 제도로의 개혁 정도와 함께앞서 Doing Business 투자 환경에서 언급한 거주 환경, 경제적 자유, 통화 환전, 세금감면과 사업을 위한 행정절차 등의 사업 환경 개선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의 정책과제로 ① 우리 기업의 대북진출을 위한 미국의 수출통제규정(EAR) 완화 추진 ② 우리 기업 수출시장 확보를 위한 원산지규정 해결 ③ 북한의 FDI 유치를 위한 경제특구 경험 전수를 제안하였다.<br><br><b>English Abstract:</b> This study discusses North Korea’s foreign investment policy and tasks ahead of its government to revitalize the economy, based on the premise that nuclear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proceed smoothly. First of all, in order to derive policy task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s and policies of transition countries in Asia and Eastern Europe to attract FDI, also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s, after which we present policy tasks for North Korean authorities. As South Korea may very well become the largest investor in North Korea, our study also discusses task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pursue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successfully invest in North Korea. Based on data provided by the Doing Business project at the World Bank,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transition economy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environment, institutions, and correlations with FDI inflows. During our quantit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DI inflows in transition economies, we came upon many cases where statistics were unstable or difficult to secure, so this study limits target group to 24 countries. For FDI inflow data, we used OECD statistics and conducted our analysis through system GMM estimation, a method in wide use recently. In addition to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s for all transition economies, we also performed a separate analysis of the Visegrad Group (the “V4”) and the Baltic stat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in attracting FDI, classified into one grou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income categories by classifying them as transition economies with per capita GDP less than US$ 2,000 and those above. In the case of transition economies, we postulated that accession to the WTO or EU would have a great effect on FDI inflows for these nations. Based on this premise, we measured FDI inflows by using dummy variables based on when the nation joined the WTO or EU. In the case of the V4 and the Baltic states, the initial conditions were the externally determined independent variables.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s for investme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transition were the pace of reform and level of openness.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of investment inducement policy depends on how wide open the economy has been rendered and reformed rapidl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world economy. In the case of China and Vietnam, the improvement of the business environment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nflow of FDI. The Baltic states, Macedonia and Georgia all have limited domestic markets, which has led to these countries attracting investment by carrying out drastic improvements in their business environments, thus positioning themselves as a base for advancing into adjacent and larger markets.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trade sector were prioritized. In other words, efforts were made to attract investment in sales bases in neighboring large markets to the country by radically improving procedures and reducing the time and costs required in the import and export process.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country’s business conditions, the EU member states as well as the transition countries adjacent to the EU generally receive better evaluations in the trade sector than any other assessment factor. There are many instances of transition economies not included among the top 20 nations on the “Ease of Doing Business” ranking announced by the World Bank benefiting from a larger market or abundant resources in adjacent regions. This includes Poland in the Middle East and Europe, Russia and Ukraine in the CIS adjacent to the EU, Kazakhstan in Central Asia, and China in East Asia. Of course, reform and opening and improvement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were made, but the size of the market and the abundance of abundant resour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DI inflow compared to neighboring competitors. Kazakhstan has actively attracted FDI through improving its business environment, developing its own resources and utilizing this as the found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Even in Russia, which is not a rapidly transitioning nation, the rich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abundant resources attracted large amounts of FDI. China, now a “G2” economy, also attracted a huge amount of FDI despite carrying out reform in a gradual manner and opening its market only partially. In addition,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Western world, such as the US and the EU, is one of the major success factors for transition countries to attract investment. There are many cases in the leading group of transition economies w","PeriodicalId":259955,"journal":{"name":"ERN: Open Macroeconomics in Transition Economics (Topic)","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RN: Open Macroeconomics in Transition Economics (Topi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7051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Korean Abstract: 북한 당국은 김정은 체제 이후 경제 운영에 있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분권화 등의 조치를 확대하면서 사회주의경제체제 내에서의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를 위 한 정책을 넓혀가고 있으며, 27개의 경제개발구를 지정하여 해외자본 투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북한과 같이 저소득 국가이면서 자본과 기술이 부족한 국가에 있어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는 경제성장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북미 간 핵 협상이 원활히 진행되는 과정에서 경제 회생을 위한 북한 당국의 외자 유치 정책과 과제에 대해 자세히 논하고 있다. 정책과제 도출을 위해 동유럽을 비롯한 아시아 체제전환국의 FDI 유치 성과와 정책을 먼저 비교 분석하였고, FDI 유입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한 후 북한 당국의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남한 역시 북한에 대한 최대 투자자가 될 수 있는바, 우리 기업의 성공적인 대북 투자를 위해 우리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다룬다. 본 연구는 먼저 국제기구의 통계를 기반으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현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세계은행에서 발표하고 있는 “Doing Business”를 토대로 각 체제전환국의 투자 환경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고 이들 국가의 투자 환경, 제도, 그리고 FDI 유입과의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한다.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에 대한 계량 분석에 있어서는 국가별로 통계가 불안정하거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24개국으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였다. FDI 유입 데이터는 OECD 통계를 사용하였고,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스템 GMM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체제전환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FDI 유입 결정요인 외에도 FDI 유치에 성공적인 국가로 평가받는 비셰그라드 4국, 발트 3국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 구간별로 체제전환 당시 1인당 GDP가 2,000달러 미만인 체제전환국과 그 이상인 체제전환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체제전환국의 경우 WTO나 EU가입이 FDI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들 국가가 WTO나 EU에 가입한 시점을 근거로 더미변수를 사용하여 WTO 가입 그룹과 EU 가입 그룹이 FDI 유입에 있어서 어떤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비셰그라드 4국과 발트3국의 사례에서 초기 조건을 외부에서 정해지는 독립변수로 본다면, 체제전환 초기 가장 중요한 투자 유치 성공요인은 개혁의 속도와 개방의 폭이었다. 체제전환기에 얼마나 전면적이고 신속한 개혁을 통해 시장경제로 전환하고 세계경제에 편입되기 위해 자국 경제를 얼마나 큰 폭으로 개방하는가에 따라 투자 유치정책의 성패가 갈렸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환경은 개혁ㆍ개방과 전혀 상관없는 요인이 아니며, 어느 정도 상호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 하지만 점진적인 개혁과 부분적인 개방 정책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 여건을 대폭 개선하여 투자 유치에 성공적이었던 중국과 베트남의 사례에서 비즈니스 환경 개선 또한 독립적으로 중요한 성공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자국 시장이 협소한 발트 3국, 마케도니아, 조지아 등은 비즈니스 환경의 대폭적인 개선을 통해 투자를 유치하여 인접 거대시장 진출의 거점 역할을 자처하였으며, 비즈니스 환경 평가요소 중에서도 무역부문의 환경 개선을 우선적으로 추진하였다. 즉 수출입 과정에서 요구되는 절차, 시간 및 비용을 상대적으로 탁월하게 개선하여 인근 거대시장의 판매 거점 투자를 자국에 유치하려는 노력이 성과를 거둔 것이다. 체제전환국 비즈니스 여건의 지역별 특징에서는 EU에 가입한 국가는 물론 EU와 인접해 있는 체제전환국은 대체로 다른 어떤 평가요소보다 무역부문의 요소가 양호한 평가를 받고 있다. 체제전환국 중 Ease of doing Business 순위 20위권 국가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인근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시장규모나 풍부한 부존자원이 외국인투자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례가 많다. 중동부 유럽의 폴란드, EU 인접 CIS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 동아시아의 중국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물론 개혁ㆍ개방과 비즈니스 환경 개선도 이루어졌지만, 인근 경쟁국에 비해 시장의 크기와 풍부한 부존자원의 여부가 FDI 유입에 상당 부분 역할을 하였다. 카자흐스탄은 비즈니스 환경 개선을 통해 FDI를 적극 유치하여 자국의 부존자원을 개발, 경제발전의 주춧돌로 삼았다. 체제전환의 속도가 빠르지 않은 러시아도 풍부한 부존자원의 개발 잠재력으로 많은 FDI를 유치하였으며, G2 당사국인 중국도 점진적 개혁과 부분적 개방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규모의 FDI가 유입되었다. 이 밖에도 미국, EU 등 서방과의 관계 개선도 체제전환국 투자 유치의 주요 성공요인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체제전환 선도그룹의 EU 가입 과정과 후발 그룹의 대(對)EU 관계 강화 노력이 FDI 유입의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한 경우가 많다. 구(舊)유고 연방의 맹주였던 세르비아는 발칸지역 전쟁과 내전 등으로 UN과 대립이 지속되었으나 최근 EU 가입 노력으로 서방과의 관계가 개선 기미를 보임에 따라 FDI 유입이 크게 개선되었다. 베트남은 2006년 12월에 이루어진 미ㆍ베트남 항구적 정상 무역 관계 승인이 FDI 유입의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에 대한 계량 분석과 체제전환국의 투자 및 제도 개혁의 성과 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북한 당국의 정책과제를 도출할 수 있다. ① 국제금융기구로부터의 사전적 지원 확보 노력: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국제금융기구와 국제사회의 지원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면 외국인투자 유치 환경도 상당히 개선될 것이다. 특히 국제사회의 공적자금 조달이나 외국인투자는 북한경제를 재건하는 핵심적 재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국제금융기구와의 협력을 통해서 북한 투자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단 IMF, World Bank, ADB 등 국제금융기구가 북한에 지원을 한다는 것은 매우 큰 상징적 의미를 갖기 때문에 북한으로의 FDI 유치에 큰 전환점을 만드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② 미국과의 무역 관계 정상화 노력: 미국과 북한의 무역 관계 정상화는 북한의 외자 유치에 있어서 결정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물론 미국과 북한의 무역 관계 정상화에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러나 단계적으로 미국과 북한의 협상이 시작된다는 것만으로도 북한의 입장에서는 외국인투자 유치에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③ 시장의 규모와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 북한의 자체 시장은 작으나, 남한을 비롯해 중국, 일본 등 매우 큰 구매력을 지닌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시장으로의 확대 가능성은 매우 높다. 북한의 주변국이 시장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이다. 북미관계 개선은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한 기본 전제라고 할 수 있다. ④ 상대국과의 지리적 인접성 활용 극대화: 북한이 갖고 있는 ‘주변 거래시장과의 접근성’이라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북한에서 생산된 재화들이 중국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으로 수월하게 수출될 수 있도록 물리적 인프라와 관세 장벽을 제거하는 것이 핵심이다. 물리적 인프라 구축 외에도 비관세 장벽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⑤ 경쟁정책을 통한 외자 유치: 체제전환국의 경쟁정책 수준이 보다 경쟁지향적 으로 개선될수록 FDI 유입량이 늘어났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경쟁 촉진을 위해 북한 당국은 정부의 조정, 통제, 가격 결정, 그리고 제한 등 경쟁제한 요소를 제거해야만 한다.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계약의 자유, 시장 진입의 자유, 가격 형성의 자유 등과 같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⑥ 무역개방도 확대: 무역개방도를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WTO 가입이지만, 체제전환 초기에는 가입을 위한 전제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더욱이 WTO 가입은 미국의 절대적 영향력이 미치는 분야로, 베트남과 같이 완전한 관계 정상화 과정에서 북미 간 수교 이후 항구적 정상교역관계(PNTR)가 체결되는 단계에서나 가능해 보인다. WTO 가입 이전까지는 선택과 집중에 의해 특구를 개발하여 대외 개방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⑦ 민간부문의 확대: 체제전환국의 민간부문 규모는 국유재산의 사유화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FDI 유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북한 당국이 민간부문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익권과 이용권을 경제주체에게 보장할 필요가 있다. 시장경제 제도하에서의 재산권이 아니더라도 수익권이 경제주체에게 보장될 경우 경제적 효율성이 높아지고 사유재산의 형성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민간부문이 확대된다. ⑧ 제조업 육성: 체제전환국이 높은 제조업 비중을 가질수록 FDI 유입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북한과 같이 저소득 국가이면서 산업기반이 거의 붕괴된 상태에서는 북한 내 제조업을 보고 투자하기보다는 노동력이나 자원을 활용하고자 하는 투자가 더 많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성장 과정에서 제조업이 빠르게 성장할수록 경제성장 기반은 더욱 확고해지고 외국인투자 역시 증가하게 된다. ⑨ 안정적 공공서비스 제공 및 거시경제적 안정성: 외국인투자자들은 보다 안정적인 공공부문을 유지하고 있는 체제전환국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조세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동시에 정치적 안정성과 폭력 부재 등을 장점으로 볼 수 있다. 반면 경제적 자유와 관련된 모든 지표에서는 세계 최하위 수준이어서 이 분야의 개선이 시급하다. 거시경제적 안정성은 경제성장과 FDI 유치에 중요요인이다. ⑩ 지역무역협정 및 WTO 가입을 통한 국제무역 질서로의 편입: 인접 선진시장과의 접근성은 체제전환국의 FDI 유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북한의 경우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등 주변 거대 선진시장과의 인접성을 통해 동유럽 체제전환국의 EU 가입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주변국들과의 지역무역협정 체결 및 WTO 가입으로 교역의 편이성을 보장하고 제도적 불확실성을 제거해야 하며, 투자와 관련한 다양한 안전장치들을 보장함으로써 투자 유치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⑪ Doing Business 평가요소 환경 개선: 시장경제 제도로의 개혁 정도와 함께앞서 Doing Business 투자 환경에서 언급한 거주 환경, 경제적 자유, 통화 환전, 세금감면과 사업을 위한 행정절차 등의 사업 환경 개선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의 정책과제로 ① 우리 기업의 대북진출을 위한 미국의 수출통제규정(EAR) 완화 추진 ② 우리 기업 수출시장 확보를 위한 원산지규정 해결 ③ 북한의 FDI 유치를 위한 경제특구 경험 전수를 제안하였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North Korea’s foreign investment policy and tasks ahead of its government to revitalize the economy, based on the premise that nuclear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proceed smoothly. First of all, in order to derive policy task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s and policies of transition countries in Asia and Eastern Europe to attract FDI, also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s, after which we present policy tasks for North Korean authorities. As South Korea may very well become the largest investor in North Korea, our study also discusses task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pursue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successfully invest in North Korea. Based on data provided by the Doing Business project at the World Bank,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transition economy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environment, institutions, and correlations with FDI inflows. During our quantit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DI inflows in transition economies, we came upon many cases where statistics were unstable or difficult to secure, so this study limits target group to 24 countries. For FDI inflow data, we used OECD statistics and conducted our analysis through system GMM estimation, a method in wide use recently. In addition to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s for all transition economies, we also performed a separate analysis of the Visegrad Group (the “V4”) and the Baltic stat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in attracting FDI, classified into one grou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income categories by classifying them as transition economies with per capita GDP less than US$ 2,000 and those above. In the case of transition economies, we postulated that accession to the WTO or EU would have a great effect on FDI inflows for these nations. Based on this premise, we measured FDI inflows by using dummy variables based on when the nation joined the WTO or EU. In the case of the V4 and the Baltic states, the initial conditions were the externally determined independent variables.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s for investme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transition were the pace of reform and level of openness. 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of investment inducement policy depends on how wide open the economy has been rendered and reformed rapidl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world economy. In the case of China and Vietnam, the improvement of the business environment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nflow of FDI. The Baltic states, Macedonia and Georgia all have limited domestic markets, which has led to these countries attracting investment by carrying out drastic improvements in their business environments, thus positioning themselves as a base for advancing into adjacent and larger markets.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trade sector were prioritized. In other words, efforts were made to attract investment in sales bases in neighboring large markets to the country by radically improving procedures and reducing the time and costs required in the import and export process. 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country’s business conditions, the EU member states as well as the transition countries adjacent to the EU generally receive better evaluations in the trade sector than any other assessment factor. There are many instances of transition economies not included among the top 20 nations on the “Ease of Doing Business” ranking announced by the World Bank benefiting from a larger market or abundant resources in adjacent regions. This includes Poland in the Middle East and Europe, Russia and Ukraine in the CIS adjacent to the EU, Kazakhstan in Central Asia, and China in East Asia. Of course, reform and opening and improvement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were made, but the size of the market and the abundance of abundant resour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DI inflow compared to neighboring competitors. Kazakhstan has actively attracted FDI through improving its business environment, developing its own resources and utilizing this as the found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Even in Russia, which is not a rapidly transitioning nation, the rich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abundant resources attracted large amounts of FDI. China, now a “G2” economy, also attracted a huge amount of FDI despite carrying out reform in a gradual manner and opening its market only partially. In addition,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Western world, such as the US and the EU, is one of the major success factors for transition countries to attract investment. There are many cases in the leading group of transition economies w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Determinants of FDI in Transition Economies and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11改善Doing Business评价要素环境:在改革市场经济制度的同时,改善之前在Doing Business投资环境中提到的居住环境、经济自由、货币兑换、减免税金和为事业的行政程序等事业环境非常重要。最后,作为我国政府的政策课题,提出了以下建议:1 .为我国企业进军北韩,放宽美国的出口控制规定(EAR); 2 .解决为确保我国企业出口市场的原产地规定;3 .为吸引北韩FDI,传授经济特区经验。english abstract:This study discusses North Korea ' s foreign investment policy and tasks ahead of its government to revitalize the economy,based on the premise that nuclear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proceed smoothly。我们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s and policies of transition countries in Asia and Eastern Europe to attract FDIalso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s, after which we present policy tasks for North Korean authorities。As South Korea may very well become the largest investor in North Koreaour study also discusses task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pursue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successfully invest in North Korea世界银行的数据保护项目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transition economy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environment, institutions, and correlations with FDI inflows。During our quantitative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DI inflows in transition economies, we came upon many cases where statistics were unstable or difficult to secure,so this study limits target group to 24 countries。For FDI inflow data, we used OECD statistics and conducted our analysis through system GMM estimation, a method in wide use recently。In addition to the determinants of FDI inflows for all transition economies, we also performed a separate analysis of the Visegrad Group (the " V4 ") and the Baltic states,which ar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in attracting FDI, classified into one group。In addition, we analyzed the income categories by classifying them as transition economies with per capita GDP less than US$ 2000 and those above。In the case of transition economies, we postulated that accession to the WTO or EU would have a great effect on FDI inflows for these nations。“this premise, we measured FDI inflows by using dummy variables Based on when the nation joined the WTO or EU。”In the case of the V4 and the Baltic states, initial conditions were the externally determined independent variables。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s for investme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transition were The pace of reform and level of openness。This is because the performance of investment inducement policy depends on how wide open the economy has been rendered and reformed rapidl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world economy。In the case of China and Vietnam, the improvement of the business environment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for the inflow of FDIThe Baltic states, Macedonia and Georgia all have limited domestic markets, which has led to these countries attracting investment by carrying out drastic improvements in their business environmentsthus positioning themselves as a base for advancing into adjacent and larger markets。Among the evaluation factors,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trade sector were prioritizedin other words,efforts were made to attract investment in sales bases in neighboring large markets to the country by radically improving procedures and reducing the time and costs required in the import and exportprocess。《改变国家的商业联系》the EU member states as well as the transition countries adjacent to the EU generally receive better evaluations in the trade sector than any other assessment factor。There are many instances of transition economies not included among the top 20 nations on the " ase of Doing Business " ranking announced by the World Bank benefiting from a larger market or abundantresources in adjacent regions。这是<s:1> and Europe, Russia and Ukraine in the CIS adjacent to the EU, Kazakhstan in Central Asia, and China in East Asia。Of course, reform and opening and improvement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were made,but the size of the market and the abundance of abundant resource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DI inflow compared to neighboring competitors。Kazakhstan has actively attracted FDI through improving its business environment, developing its own resources and utilizing this as the found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Even in Russia, which is not a rapidly transitioning nation, the rich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abundant resources attracted large amounts of FDI。China, now a " G2 " economy, also attracted a huge amount of FDI despite carrying out reform ina gradual manner and opening its market only partially。In addition,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Western world, such as the US and the EU, is one of the major success factors for transition countries to attract investment。 在转型经济的主要集团中有许多这样的例子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북한의 관광정책 추진 동향과남북 관광협력에 대한 시사점 (The Trends of North Korean Tourism Policy and the Implications for Inter-Korean Cooperation)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Determinants of FDI in Transition Economies and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Main Trends and Key Takeaways Export and Inventory: Evidence from Chinese Firms Bilateral Rent-Seeking and Growth of FDI Inflow in China: Theory and Evidence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