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hye Kim, Han-li Yu, Boncho Ku, Hyunho Kim, Jong-Yeol Kim, Y. Jeon
{"title":"Development of Clinical Protocol on the Correlation Between Disease Cause Pattern I dentification and Pulse Wave Variables","authors":"Jihye Kim, Han-li Yu, Boncho Ku, Hyunho Kim, Jong-Yeol Kim, Y. Jeon","doi":"10.15188/KJOPP.2014.12.28.6.662","DOIUrl":null,"url":null,"abstract":"寸口脈診은 望聞問切의 四診 중 切診의 하나로, 환자의 손목부 분 요골동맥 맥상파를 측정함으로써 건강 또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어 생리,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다1). 한의사는 손가락 감 각을 이용하여 경맥의 박동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氣血盛衰와 병의 順逆 및 進退를 판별할 수 있으며1), 五臟六腑와 經絡의 상태 를 진단할 수 있다2). 이는 병의 치료근거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한의 학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인 辨證施治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맥상파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季節의 外因 외에도, 인체의 體質 적인 특성, 性別, 年齡, 정신적·육체적 虛勞, 飮食攝食, 七情, 여성 의 月經 등이 거론되고 있다. 맥진은 측정이 용이한 비침습적 진단방법이라는 점에서 강점을 가지나 이를 측정하는 측정자의 감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견해가 개입될 요소가 많다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전통적 맥진의 객관화와 정량화를 위한 방안으로 다양 한 방식의 맥진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많은 연 구가 진행되어 왔다. 국내 한의학계에서 이루어진 맥진 연구들은 맥 측정기기의 정 밀도와 재현성을 높이는 연구와 맥진에 대한 문헌조사3) 및 식사에 따른 맥상파 변화 연구4-6), 당뇨병 및 사상체질과 맥상파 변화 연구 7-9), 중풍환자의 맥진 지표 연구10),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맥상파 차 이 연구11-13), 심혈관 노화에 따른 맥상파 변화 연구14,15), 맥진기 개 발 수요조사16,17), 맥진기술동향 조사18)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맥상파와 병인 변증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험 논문과 문헌 고찰이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고, 그 중 임상연구는 전체 연구에서 2%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거의 진행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맥상파와 병인변증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는 임상시험의 필요성을 확인한 바 예비 임상시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병인변증과 요골동맥 맥상파의 특성 파악을 위한 탐색적 관찰 연구 :","PeriodicalId":12937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volume":"8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2-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188/KJOPP.2014.12.28.6.66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寸口脈診은 望聞問切의 四診 중 切診의 하나로, 환자의 손목부 분 요골동맥 맥상파를 측정함으로써 건강 또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얻어 생리,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이다1). 한의사는 손가락 감 각을 이용하여 경맥의 박동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氣血盛衰와 병의 順逆 및 進退를 판별할 수 있으며1), 五臟六腑와 經絡의 상태 를 진단할 수 있다2). 이는 병의 치료근거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한의 학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인 辨證施治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맥상파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季節의 外因 외에도, 인체의 體質 적인 특성, 性別, 年齡, 정신적·육체적 虛勞, 飮食攝食, 七情, 여성 의 月經 등이 거론되고 있다. 맥진은 측정이 용이한 비침습적 진단방법이라는 점에서 강점을 가지나 이를 측정하는 측정자의 감각에 의존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견해가 개입될 요소가 많다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자 전통적 맥진의 객관화와 정량화를 위한 방안으로 다양 한 방식의 맥진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많은 연 구가 진행되어 왔다. 국내 한의학계에서 이루어진 맥진 연구들은 맥 측정기기의 정 밀도와 재현성을 높이는 연구와 맥진에 대한 문헌조사3) 및 식사에 따른 맥상파 변화 연구4-6), 당뇨병 및 사상체질과 맥상파 변화 연구 7-9), 중풍환자의 맥진 지표 연구10),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맥상파 차 이 연구11-13), 심혈관 노화에 따른 맥상파 변화 연구14,15), 맥진기 개 발 수요조사16,17), 맥진기술동향 조사18)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맥상파와 병인 변증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험 논문과 문헌 고찰이 대부분을 차지 하고 있고, 그 중 임상연구는 전체 연구에서 2%를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거의 진행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맥상파와 병인변증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는 임상시험의 필요성을 확인한 바 예비 임상시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병인변증과 요골동맥 맥상파의 특성 파악을 위한 탐색적 관찰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