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맞벌이 부모의 초기양육경험의 내러티브 탐색","authors":"노은하, 송주은, 김문선","doi":"10.35476/TACA.2019.9.1.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을 내러티브 질적 연구 분석방법을 통해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기초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맞벌이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8년 7월부터 12월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7쌍의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의 의미는, 1) 상호보완적인 의사소통으로 결속력 있는 부모로 성장 중, 2) 조부모 의존적인 양육으로 부모는 경제적인 역할에 치우쳐감, 3) 부부 대화 능력 및 시간 부족으로 가정불화가 커지고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협함, 4) 부모로 준비되지 못해 전문적인 부모교육을 필요로 함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맞벌이 부모의 성공적인 부모됨과 긍정적인 양육경험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부모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히 자녀돌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교육뿐 아니라 부부간의 의사소통증진을 도모하는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PeriodicalId":231139,"journal":{"name":"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Research","volume":"23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ransactional Analysis Counseling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476/TACA.2019.9.1.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을 내러티브 질적 연구 분석방법을 통해 탐색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기초로 저출산 극복을 위한 맞벌이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8년 7월부터 12월까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7쌍의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맞벌이 부모의 양육경험의 의미는, 1) 상호보완적인 의사소통으로 결속력 있는 부모로 성장 중, 2) 조부모 의존적인 양육으로 부모는 경제적인 역할에 치우쳐감, 3) 부부 대화 능력 및 시간 부족으로 가정불화가 커지고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협함, 4) 부모로 준비되지 못해 전문적인 부모교육을 필요로 함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맞벌이 부모의 성공적인 부모됨과 긍정적인 양육경험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에 의한 부모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특별히 자녀돌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교육뿐 아니라 부부간의 의사소통증진을 도모하는 부모됨 적응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