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o Understand Disabilities and Perception Change on Disabilities by Utilizing Korean Language Classes in a Middle School

Yang-won Seo, Misuk Lee
{"title":"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o Understand Disabilities and Perception Change on Disabilities by Utilizing Korean Language Classes in a Middle School","authors":"Yang-won Seo, Misuk Lee","doi":"10.18541/ser.2019.02.18.1.55","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시간에 교과서 단원과 연계한 장애이해 수업 실행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중학생의 장애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중학교 3학년 학생 3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3학년 2학기 국어교과서 5개 단원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국어교과 교육과정에 맞게 장애이해교육을 삽입한 수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어교과 각 단원으로부터 장애이해교육 주제를 선정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모든 영역을 활용하여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장애관련 동영상 시청, 수화 배우기, 장애 관련 만평 그리기, 장애인 인식관련 가정학습,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모의 협상, 장애 관련 도서 독서 골든벨하기 등의 다양한 학생활동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셋째, 장애이해교육을 받은 이후 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결론: 국어교과 수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은 중학생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하였으며, 교과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PeriodicalId":49697,"journ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volume":"6 1","pages":""},"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Physics Education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541/ser.2019.02.18.1.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국어 수업시간에 교과서 단원과 연계한 장애이해 수업 실행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중학생의 장애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중학교 3학년 학생 3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3학년 2학기 국어교과서 5개 단원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국어교과 교육과정에 맞게 장애이해교육을 삽입한 수업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어교과 각 단원으로부터 장애이해교육 주제를 선정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모든 영역을 활용하여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장애관련 동영상 시청, 수화 배우기, 장애 관련 만평 그리기, 장애인 인식관련 가정학습,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모의 협상, 장애 관련 도서 독서 골든벨하기 등의 다양한 학생활동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셋째, 장애이해교육을 받은 이후 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결론: 국어교과 수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은 중학생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하였으며, 교과를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利用中学韩国语课程开发残疾教育项目和改变对残疾的认识
研究目的:本研究是在中学国语课上提出与教科书单元相联系的残疾理解授课实行方法,以此来了解中学生的残疾人意识是如何变化的。研究方法:选定36名中学3年级学生为研究参与者,从3年级第2学期国语教科书5个单元中提取与残疾相关的内容,根据国语课程插入残疾理解教育的课程,收集和分析资料。研究结果:第一,从国语课程各单元选定残疾理解教育主题,活用国语课程的所有领域,组成残疾理解教育项目。第二,组织了观看与残疾相关的视频,学习手语,绘制与残疾相关的漫评,与残疾人认识相关的家庭学习,为设立特殊学校的模拟协商,与残疾相关的图书读书金钟等多样的学生活动来实行项目。第三,在接受残疾理解教育之后,学生们对残疾的肯定性认识发生了变化。结论:利用国语课程的残疾理解教育积极改善了中学生对残疾的认识,强调了扩大利用课程的残疾理解教育的必要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审稿时长
>12 weeks
期刊介绍: Physical Review Special Topics - Physics Education Research (PRST-PER) is a peer reviewed electronic-only journal sponsored by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AAPT) and the APS Forum on Education. The journal covers the full range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earch on the teaching and/or learning of physics. PRST-PER is distributed without charge and financed by publication charges to the authors or to the authors" institutions. The criteria for acceptance of articles include the high scholarly and technical standards of our other Physical Review journals.
期刊最新文献
Explo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sirabl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pecial Schools A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Softwar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sent and Future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n Kindergartens: A Qualitative Inquiry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stallation Status and Support Need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via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of Individualized Counseling Planning Process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for Special Child Counseling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