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韩国双轨制学徒制、工作投入与离职意向的结构关系","authors":"Wonseok Kang, Woocheol Kim","doi":"10.21329/khrd.2019.14.1.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일학습병행제의 관점에서 실시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에서 각각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일학습병행제 참여를 증가시켜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고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등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실증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학습근로자 340명을...","PeriodicalId":186696,"journal":{"name":"Kore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nstitute","volume":"83 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title\":\"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at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Apprenticeships in Korea,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authors\":\"Wonseok Kang, Woocheol Kim\",\"doi\":\"10.21329/khrd.2019.14.1.5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일학습병행제의 관점에서 실시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에서 각각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일학습병행제 참여를 증가시켜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고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등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실증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학습근로자 340명을...\",\"PeriodicalId\":186696,\"journal\":{\"name\":\"Kore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nstitute\",\"volume\":\"83 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nstitut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29/khrd.2019.14.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nstitut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29/khrd.2019.14.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at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Apprenticeships in Korea,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만족도와 업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일학습병행제의 관점에서 실시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에서 각각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일학습병행제 참여를 증가시켜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증가시키고 이직률을 감소시키는 등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실증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학습근로자 340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