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正常范围内血清γ -谷氨酰转移酶与心血管疾病危险因素的关系:基于Framingham风险评分","authors":"Hae-Jin Ko, Chang-Su Choi, Chang-Ho Youn, Duk Hee Lee, Sungyong Lee","doi":"10.7570/KJO.2013.22.1.21","DOIUrl":null,"url":null,"abstract":"261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 어 2010년 10만명 당 33.9명 이었으나 2011년 10만명 당 49.8 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1)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널리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위험 수준 평가 척도로, 성별,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 롤, 흡연여부, 수축기 혈압에 따라 10년 이내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예측한다. 2) 이를 이용해 심혈관 위험 수준을 파악 하고 조기에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정해주고자 하는 노력 이 진행되고 있다.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임상적으로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GGT 는 간에서 대부분 생산되긴 하지만, 상피세포의 글루타치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GGT의 상승은 산화 스트레스 를 반영한다고 알려진다. 3) 산화스트레스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므로, 심혈관 질환과 GGT의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 라 추측되어 왔다. Franzini 등은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에 GGT 유사단백이 존재하고 혈중 GGT의 활동성 이 직접적으로 경화반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 였고, Kozakova 등 은 조기 동맥경화반을 결정짓는 독립적 인 요인일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GGT를 심혈관 질환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로 보아야 한다는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GGT 농도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6-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술이나 간질환과 같은 GGT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단순 히 보정하는 정도의 분석만 시행하여 술과 같은 또 하나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역할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 다. 본 저자의 연구 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최소 화 하고자 고도 음주자, 비정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 간 질환자를 모두 제외하고 시행하였다. 또한 GGT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술이나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GGT를 포함한 간수치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만을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의 GGT와 심혈관계 위험 지수인 FR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상범 위 내라도 GGT는 심혈관계 위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에서는 이러한 유의성이 심혈 관 질환과 관계된다고 알려진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과, GG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698, P = 0.013). 다만 여성에서는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을 보정하였을 때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까지 보정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448, P = 0.105) 남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에는 첫째, FRS 계산식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FRS는 남녀를 고려하여 심혈관 위험을 예측하는 계산식으로, 남녀 별로 같은 위험인자에 대해 배점 이 다르며, 같은 점수가 계산되었을 경우 남자에서 10년 위 정상 범위 내의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Framingham Risk Score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3-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title\":\"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authors\":\"Hae-Jin Ko, Chang-Su Choi, Chang-Ho Youn, Duk Hee Lee, Sungyong Lee\",\"doi\":\"10.7570/KJO.2013.22.1.21\",\"DOIUrl\":null,\"url\":null,\"abstract\":\"261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 어 2010년 10만명 당 33.9명 이었으나 2011년 10만명 당 49.8 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1)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널리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위험 수준 평가 척도로, 성별,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 롤, 흡연여부, 수축기 혈압에 따라 10년 이내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예측한다. 2) 이를 이용해 심혈관 위험 수준을 파악 하고 조기에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정해주고자 하는 노력 이 진행되고 있다.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임상적으로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GGT 는 간에서 대부분 생산되긴 하지만, 상피세포의 글루타치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GGT의 상승은 산화 스트레스 를 반영한다고 알려진다. 3) 산화스트레스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므로, 심혈관 질환과 GGT의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 라 추측되어 왔다. Franzini 등은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에 GGT 유사단백이 존재하고 혈중 GGT의 활동성 이 직접적으로 경화반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 였고, Kozakova 등 은 조기 동맥경화반을 결정짓는 독립적 인 요인일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GGT를 심혈관 질환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로 보아야 한다는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GGT 농도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6-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술이나 간질환과 같은 GGT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단순 히 보정하는 정도의 분석만 시행하여 술과 같은 또 하나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역할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 다. 본 저자의 연구 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최소 화 하고자 고도 음주자, 비정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 간 질환자를 모두 제외하고 시행하였다. 또한 GGT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술이나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GGT를 포함한 간수치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만을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의 GGT와 심혈관계 위험 지수인 FR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상범 위 내라도 GGT는 심혈관계 위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에서는 이러한 유의성이 심혈 관 질환과 관계된다고 알려진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과, GG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698, P = 0.013). 다만 여성에서는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을 보정하였을 때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까지 보정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448, P = 0.105) 남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에는 첫째, FRS 계산식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FRS는 남녀를 고려하여 심혈관 위험을 예측하는 계산식으로, 남녀 별로 같은 위험인자에 대해 배점 이 다르며, 같은 점수가 계산되었을 경우 남자에서 10년 위 정상 범위 내의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Framingham Risk Score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3-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70/KJO.2013.22.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70/KJO.2013.22.1.2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摘要
261国内因心血管疾病而死亡的人数呈持续增加趋势,2010年每10万人中有33.9人死亡,2011年每10万人中有49.8人死亡,一直占据死亡原因的第三位。1) Framingham risk score (FRS)是一个广为人知的心血管疾病风险水平评估尺度,根据性别、年龄、总胆固醇、高密度胆固醇、是否吸烟、收缩压等情况,预测10年内心血管疾病危险度。2)利用心血管危险水平,早期调整这些危险因素的努力正在进行。血液中的gamma-glutamyltransferase (GGT)在临床上常用于评价脂肪肝等肝病。虽然GGT大部分在肝脏中生产,但GGT对上皮细胞的谷氨酸代谢有重要作用,因此GGT的上升反映了氧化压力。3)氧化压力是动脉硬化的主要原因,因此推测心血管疾病与GGT有密切关系。Franzini等人认为动脉硬化斑块中存在GGT类似蛋白,血液中GGT的活动性可能直接影响硬化斑块的发展,Kozakova等可能是决定早期动脉硬化斑块的独立因素。基于这一理论,有研究认为GGT是预测心血管疾病的主要因素。实际上,在各种研究中也发表了GGT浓度和心血管疾病的发生率和死亡率有着密切关系的结果。6-8)然而,这些研究大多只对可能对GGT产生重大影响的因素进行简单的修正,如酒或肝病,未能完全排除另一个心血管疾病危险因素的作用。本作者的研究为了将由此可能产生的偏见最小化,将高度饮酒者、显示非正常水数值的对象、肝病患者全部排除在外。另外,如果GGT上升,就很难鉴别是否是酒或肝病所致,因此只筛选出包括GGT在内的卤水值都在正常范围内的情况为对象。对筛选对象的GGT与心血管危险指数FRS的关系进行分析的结果显示,即使在正常范围内,GGT也与心血管危险程度有密切的联系。特别是在男性中,这种注意性在修正了被认为与心血管疾病有关的肥胖(体质指数,腰围)和能够对GGT产生影响的因子——肝酶数值和饮酒能力之后也持续了下来(多重回归分析结果:β = 0.698, P = 0.013)。只是女性肥胖(体质指数、腰围),在保定的时候有注意了,但肝酶数据和饮酒在保定的结果,注意到历史关联性没有出现,(多重회귀분석结果:β= 0。448,p = 0 . 105)按男女表现出不同的结果,第一,frs算式男女各不同,这一点可以考虑。FRS是根据男女因素预测心血管危险的计算方式,男女对相同的危险因素评分不同,如果计算相同的分数,男性10年以上正常范围内的血清Gamma-glutamyltransferase与心血管疾病危险因素的关联性: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261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 어 2010년 10만명 당 33.9명 이었으나 2011년 10만명 당 49.8 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1)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널리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위험 수준 평가 척도로, 성별,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 롤, 흡연여부, 수축기 혈압에 따라 10년 이내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예측한다. 2) 이를 이용해 심혈관 위험 수준을 파악 하고 조기에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정해주고자 하는 노력 이 진행되고 있다.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임상적으로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GGT 는 간에서 대부분 생산되긴 하지만, 상피세포의 글루타치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GGT의 상승은 산화 스트레스 를 반영한다고 알려진다. 3) 산화스트레스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므로, 심혈관 질환과 GGT의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 라 추측되어 왔다. Franzini 등은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에 GGT 유사단백이 존재하고 혈중 GGT의 활동성 이 직접적으로 경화반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 였고, Kozakova 등 은 조기 동맥경화반을 결정짓는 독립적 인 요인일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GGT를 심혈관 질환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로 보아야 한다는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GGT 농도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6-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술이나 간질환과 같은 GGT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단순 히 보정하는 정도의 분석만 시행하여 술과 같은 또 하나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역할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 다. 본 저자의 연구 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최소 화 하고자 고도 음주자, 비정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 간 질환자를 모두 제외하고 시행하였다. 또한 GGT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술이나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GGT를 포함한 간수치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만을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의 GGT와 심혈관계 위험 지수인 FR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상범 위 내라도 GGT는 심혈관계 위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에서는 이러한 유의성이 심혈 관 질환과 관계된다고 알려진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과, GG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698, P = 0.013). 다만 여성에서는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을 보정하였을 때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까지 보정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448, P = 0.105) 남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에는 첫째, FRS 계산식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FRS는 남녀를 고려하여 심혈관 위험을 예측하는 계산식으로, 남녀 별로 같은 위험인자에 대해 배점 이 다르며, 같은 점수가 계산되었을 경우 남자에서 10년 위 정상 범위 내의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Framingham Risk Score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