资本流入与物价上涨率之间的动态相关关系分析:以亚洲8国小规模开放经济为中心(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Capital Inflow and Inflation: Evidence from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

Y. Choi, Jong Chil Son
{"title":"资本流入与物价上涨率之间的动态相关关系分析:以亚洲8国小规模开放经济为中心(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Capital Inflow and Inflation: Evidence from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authors":"Y. Choi, Jong Chil Son","doi":"10.2139/ssrn.3746104","DOIUrl":null,"url":null,"abstract":"<b>Korean Abstract:</b> 자본유입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자본유입이 환율의 평가절상을 야기하여 국내 경제를 위축시킨다는 먼델-플레밍 모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본유입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총수요를 자극하여 확장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성장, 물가 등에 확장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br><br>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콩, 인도, 한국,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등 8개 아시아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2000~2018년중 분기별 국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주식, 채권, 은행차입 등 자본유입 경로별 충격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 VAR 모형으로 분석하였다.<br><br>분석 결과, 자본유입 충격의 총수요 확장 효과가 환율효과보다 커 물가에 대체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유입 경로별로 보면 주식 및 은행차입을 통한 자본유입이 물가에 양(+)의 영향을, 채권투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투자를 통한 자본유입이 물가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금융시장 미성숙, 중앙은행 금리정책 등으로 금리하락이 제약됨에 따라 총수요 확장효과가 환율효과보다 작게 나타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분석대상 국가들의 제도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물가안정목표제(IT) 운영 여부와 금융시장 발전 정도에 따라 자본유입 경로별 충격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IT 국가에 비해 Non-IT 국가에서 자본유입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양(+)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T 국가의 경우 자본유입 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에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응한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식투자 충격의 경우 금융시장 성숙 국가와 미성숙 국가 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은행차입 충격의 경우 미성숙 국가가 성숙 국가에 비해 더 큰 양(+)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금융시장이 미성숙한 국가는 자본유입이 주로 은행차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자본유입 경로별로 물가에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본고의 분석결과는 정책당국이 자본유입 총량뿐 아니라 유입경로에 대해서도 유의해야 함을 시사한다.<br><br><br><b>English Abstract:</b>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type on domestic inflation for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 using panel VAR and data from 2000 to 2018. The estimation results overall indicated that expansionary effects from aggregate demand caused by capital inflow were larger than the exchange rate effect and subsequently, the capital inflow had overall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More specifically, first, the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 and other investments had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while foreign bond investments had a limited effect on inflation. This insignificance in capital inflow by bond investment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holding short-term interest rates and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Second, the increasing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equity and other investments on inflation were more pronounced in non-IT (inflation targeting) countries. Lastly,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other investments in the countries with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on inflation than in countries with developed financial markets. Meanwhile,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y groups for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PeriodicalId":120099,"journal":{"name":"Economic Anthropology eJournal","volume":"6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2-1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자본유입과 물가상승률 간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아시아의 8개국 소규모 개방경제를 중심으로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Capital Inflow and Inflation: Evidence from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authors\":\"Y. Choi, Jong Chil Son\",\"doi\":\"10.2139/ssrn.3746104\",\"DOIUrl\":null,\"url\":null,\"abstract\":\"<b>Korean Abstract:</b> 자본유입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자본유입이 환율의 평가절상을 야기하여 국내 경제를 위축시킨다는 먼델-플레밍 모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본유입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총수요를 자극하여 확장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성장, 물가 등에 확장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br><br>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콩, 인도, 한국,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등 8개 아시아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2000~2018년중 분기별 국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주식, 채권, 은행차입 등 자본유입 경로별 충격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 VAR 모형으로 분석하였다.<br><br>분석 결과, 자본유입 충격의 총수요 확장 효과가 환율효과보다 커 물가에 대체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유입 경로별로 보면 주식 및 은행차입을 통한 자본유입이 물가에 양(+)의 영향을, 채권투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투자를 통한 자본유입이 물가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금융시장 미성숙, 중앙은행 금리정책 등으로 금리하락이 제약됨에 따라 총수요 확장효과가 환율효과보다 작게 나타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분석대상 국가들의 제도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물가안정목표제(IT) 운영 여부와 금융시장 발전 정도에 따라 자본유입 경로별 충격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IT 국가에 비해 Non-IT 국가에서 자본유입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양(+)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T 국가의 경우 자본유입 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에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응한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식투자 충격의 경우 금융시장 성숙 국가와 미성숙 국가 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은행차입 충격의 경우 미성숙 국가가 성숙 국가에 비해 더 큰 양(+)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금융시장이 미성숙한 국가는 자본유입이 주로 은행차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자본유입 경로별로 물가에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본고의 분석결과는 정책당국이 자본유입 총량뿐 아니라 유입경로에 대해서도 유의해야 함을 시사한다.<br><br><br><b>English Abstract:</b>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type on domestic inflation for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 using panel VAR and data from 2000 to 2018. The estimation results overall indicated that expansionary effects from aggregate demand caused by capital inflow were larger than the exchange rate effect and subsequently, the capital inflow had overall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More specifically, first, the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 and other investments had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while foreign bond investments had a limited effect on inflation. This insignificance in capital inflow by bond investment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holding short-term interest rates and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Second, the increasing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equity and other investments on inflation were more pronounced in non-IT (inflation targeting) countries. Lastly,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other investments in the countries with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on inflation than in countries with developed financial markets. Meanwhile,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y groups for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PeriodicalId\":120099,\"journal\":{\"name\":\"Economic Anthropology eJournal\",\"volume\":\"6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12-1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conomic Anthropology e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7461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conomic Anthropology e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7461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摘要

Korean Abstract:对资本流入的理论和实证研究以资本流入导致汇率升值,使国内经济萎缩的蒙德尔-弗莱明模型为中心进行。但是,最近虽然正在进行资本流入在小规模开放经济中刺激总需求,显示出扩张性效果的研究,但具体通过什么途径在增长、物价等方面显示出扩张性效果的研究还不足。对此,本研究中对香港、印度、韩国、菲律宾、新加坡、斯里兰卡、台湾、泰国等8个亚洲国家的2000年至2018年小规模开放经济中各季度国家利用面板数据,股票,债券,은행차입等자본유입各渠道的冲击,通过什么途径是否影响物价上涨率的面板用var模型分析了。分析结果显示,资本流入冲击的总需求扩张效果大于汇率效果,对物价大体上产生“量”(+)的影响。从资本流入途径来看,通过股票及银行贷款的资本流入对物价产生“量”(+)的影响,债券投资对“阴”(-)的影响。据分析,通过债券投资的资本流入成为物价下跌压力的原因是,由于金融市场不成熟、中央银行利率政策等制约利率下跌,总需求扩张效果低于汇率效果。另外,分析对象国家的制度的差别,考虑物价稳定目标第(it)按照是否运营和金融市场发展程度자본유입各渠道的冲击对物价的影响进行分析的结果,在it国家相比non - it国家자본유입对物价上涨率的羊(+)的效果更大的显示。这可以解释为,从IT国家的情况看,中央银行积极应对了资本流入冲击带来的物价上涨压力。其次,在股票投资冲击方面,金融市场成熟国家和未成熟国家之间没有明显差异,但在银行贷款冲击方面,未成熟国家比成熟国家表现出更大的效果(+)。据分析,金融市场不成熟的国家的资本流入主要是通过银行贷款形成的。根据资本流入途径,对物价产生差别效果的分析结果暗示,政策当局不仅要注意资本流入总量,还要注意流入途径。英语: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type on domestic inflation for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 using panel VAR and data from 2000 to 2018。The estimation results overall indicated that expansionary effects from aggregate demand caused by capital inflow were larger than The exchange rate effect and subsequently;资本inflow had overall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more specifically, first,the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 and other investments had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while foreign bond investments had a limited effect on inflationThis insignificance in capital inflow by bond investment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central banks ' monetary policy holding short-term interest rates and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the increasing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equity and other investments on inflation were more pronounced in non-IT (inflation targeting) countries。lastly,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other investments in the countries with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on inflation than in countries with developed financial markets。Meanwhile,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y groups for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查看原文
分享 分享
微信好友 朋友圈 QQ好友 复制链接
本刊更多论文
자본유입과 물가상승률 간의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아시아의 8개국 소규모 개방경제를 중심으로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Capital Inflow and Inflation: Evidence from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
Korean Abstract: 자본유입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자본유입이 환율의 평가절상을 야기하여 국내 경제를 위축시킨다는 먼델-플레밍 모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본유입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총수요를 자극하여 확장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성장, 물가 등에 확장적인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콩, 인도, 한국, 필리핀, 싱가포르, 스리랑카, 대만, 태국 등 8개 아시아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2000~2018년중 분기별 국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주식, 채권, 은행차입 등 자본유입 경로별 충격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물가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패널 VAR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본유입 충격의 총수요 확장 효과가 환율효과보다 커 물가에 대체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유입 경로별로 보면 주식 및 은행차입을 통한 자본유입이 물가에 양(+)의 영향을, 채권투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투자를 통한 자본유입이 물가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금융시장 미성숙, 중앙은행 금리정책 등으로 금리하락이 제약됨에 따라 총수요 확장효과가 환율효과보다 작게 나타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분석대상 국가들의 제도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물가안정목표제(IT) 운영 여부와 금융시장 발전 정도에 따라 자본유입 경로별 충격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IT 국가에 비해 Non-IT 국가에서 자본유입이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양(+)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T 국가의 경우 자본유입 충격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에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응한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식투자 충격의 경우 금융시장 성숙 국가와 미성숙 국가 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은행차입 충격의 경우 미성숙 국가가 성숙 국가에 비해 더 큰 양(+)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금융시장이 미성숙한 국가는 자본유입이 주로 은행차입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자본유입 경로별로 물가에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본고의 분석결과는 정책당국이 자본유입 총량뿐 아니라 유입경로에 대해서도 유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English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type on domestic inflation for eight small open economies in Asia using panel VAR and data from 2000 to 2018. The estimation results overall indicated that expansionary effects from aggregate demand caused by capital inflow were larger than the exchange rate effect and subsequently, the capital inflow had overall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More specifically, first, the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 and other investments had positive (+) effects on inflation while foreign bond investments had a limited effect on inflation. This insignificance in capital inflow by bond investment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holding short-term interest rates and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Second, the increasing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equity and other investments on inflation were more pronounced in non-IT (inflation targeting) countries. Lastly, the effects of capital inflow by other investments in the countries with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s had greater positive effects on inflation than in countries with developed financial markets. Meanwhile,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y groups for capital inflow by foreign equity investments.
求助全文
通过发布文献求助,成功后即可免费获取论文全文。 去求助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期刊最新文献
Motives for economic migration: a review Could the Colombian Economy Grow Faster? How it Would be Possible? Social Trust and Patterns of Growth Violence, Wealth and Institutions: The Nature of and Road to the Market Fiscal Relations, Class Politics, and the Election Year in Ghana’s COVID-19 Context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已复制链接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
扫码分享
扫码分享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